•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산후조리 일반 현황

 ○ (산후조리 장소) 장소별 이용률은 ‘산후조리원’(85.5%), ‘본인집’(84.2%), ‘친정’(11.2%), ‘시가’(1.0%) 순으로 나타났다. * 중복 응답 가능 문항

   -(선호하는 산후조리 장소) ‘산후조리원’(70.9%), ‘본인집’(19.3%), ‘친정’(3.6%) 순으로 조사되었다.

   - (만족도) ‘시가ㆍ산후조리원‘에서의 만족도가 3.9로 가장 높고, ’본인집‘(3.6), ’친정‘(3.5) 순으로 나타났다. (5점 척도)

 ○ (산후조리 기간) 평균 30.7일이며, ‘본인집(22.3일)‘에서의 기간이 가장 길고, ‘친정(20.3일)‘, ’시가‘(19.8일), ’산후조리원‘(12.6일) 순이다.

   - (장소별 기간) `21년보다 가정(본인집, 친정 등)에서의 산후조리 기간은 감소하였으나, 산후조리원에서의 기간은 증가(12.3일→12.6일)하였다. 

 ○ (산후조리 비용) 산후조리 기간(30.7일) 중 산후조리원에서 평균 286.5만 원, 집(본인·친정·시가)에서 평균 125.5만 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산후조리원 이용 비용의 증가는 전반적인 물가 상승(인건비, 임대료) 등 복합적인 영향에 따른 것으로 보이며,

    - 재가 산후조리 이용 비용은 `21년 산모ㆍ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기준 확대(중위소득 120% 이하→ 150% 이하)에 따른 서비스 이용 증가 영향으로 파악된다.  

 ○ (산후조리 관련 결정) 산모 중 82.8%는 산후조리와 관련된 제반사항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주도적(주도적인편 + 매우 주도적)이었다고 응답하였으며,

    - 산후조리의 주된 목적은 ‘산모의 건강회복’(91.2%), ‘돌봄방법 습득’(6.2%), ‘아이와의 애착·상호작용’(2.2%) 순으로 나타났다.

 ② 산모의 건강상태 및 산후조리 인식

 ○ (건강상태인식) 본인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좋음+매우좋음)하는 비율은 임신중(49.4%)이 가장 높고, 산후조리 기간(30.8%)이 가장 낮으며, 조사시점 최근 일주일 동안 건강 상태가 좋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33.5%로 나타났다

 ○ (산후조리 동안 불편했던 증상) 산모들은 수면부족을 67.5%로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상처부위 통증(41.0%), 유두통증(35.4%), 우울감(20.0%) 순으로 산후조리기간 동안 불편감을 느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 복수 응답 가능  

 ○ (산후우울감) 분만 후 산후우울감을 경험한 산모는 68.5%, 경험기간은 분만 후 평균 187.5일, 실제 산후우울증 진단을 받은 경우는 6.8%로 출산 이후 산모 대상 정신 건강관리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산후우울감 해소에 도움을 준 사람은 ‘배우자’(57.8%), ‘친구’(34.2%), 배우자를 제외한 ‘가족’(23.5%), ‘의료인·상담사’(10.2%) 순이며, 도움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는 23.8%로 조사되었다.

 ○ (모유수유) 모유수유 비율은 90.2%로 ’21년 91.6%보다 감소하였으며,

   -모유수유를 선택한 이유는 ’아기신체건강(86.7%)‘, ’아기정서발달(65.8%)‘ 순이고, 모유수유를 하지 않은 이유는 ’모유량 부족(28.7%)‘, ’본인 건강 이상(16.4%)‘ 순으로 나타났다.

 ○ (출산·육아휴직) 출산 직전 취업상태였던 산모는 82.0%였으며, 이들 중 출산휴가는 58.1%, 육아휴직은 55.4%가 사용하였다고 응답하였다.

   - 배우자는 55.9%가 출산휴가를 사용했으며, 육아휴직은 17.4%가 사용하였다고 응답하여 `21년 조사와 비교시 배우자 육아휴직 사용이 대폭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③ 산모 희망 산후조리 필요 정부 정책

 ○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해 ’산후조리 경비지원(60.1%)‘,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확대(37.4%)‘, ’산모의 출산휴가 기간 확대(25.9%)‘, ’배우자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22.9%)‘ 순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 복수 응답 가능 문항

  보건복지부 김상희 인구아동정책관은 “출산 후 지원정책 수립ㆍ추진을 위해 2021년에 이어 세 번째로 실시된 산후조리 실태조사를 통해 변화된 산후조리 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고 밝히며,

 “산후조리 비용 지원뿐 아니라 배우자의 육아휴직 활성화, 산모ㆍ배우자의 출산휴가 기간 확대와 같은 제도적 뒷받침에 대한 정책 욕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앞으로 건강한 산후조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산모들의 정책 욕구를 충분히 검토하여 필요한 정책을 개발ㆍ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 보건복지부 2025-02-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561 스크린골프 만족도, ‘결제 편의성’ 높고 ‘부가 지원 서비스’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7 10
14560 화장품 제품정보, 더욱 쉽게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7 4
14559 2월의 추천 공공서비스 이사 할 때 폐가전 무상으로 처리하고, 우편물은 새 주소지로 편리하게 받아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6 7
14558 다중이용시설의 슬라이딩 도어 끼임·충돌 예방대책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6 3
14557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한 번에 확인해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6 4
14556 담배 유해성분 의무 공개 내년부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6 4
14555 “신차 실내공기질 조사 결과 발표”… 18개 차종 기준 충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6 5
»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5 4
14553 미리채움서비스로 주식 양도소득세 편리하게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5 5
14552 '25.1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5 3
14551 올해 처음 시행되는 주거안정장학금, 2월 4일부터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4 5
14550 [태블릿 PC 품질비교 결과] 주용도를 고려해 꼼꼼하게 선택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4 4
14549 착한가격에 할인까지? 착한가격업소 이용하고 혜택을 누리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2.03 8
14548 문화누리카드 1만 원 인상, 더 두텁고 촘촘하게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31 8
14547 2월 개인투자용 국채 1,000억원 발행 계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1.31 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73 Next
/ 97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