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위원장 한용호, 이하 ‘위원회’)가 SK텔레콤㈜(이하 ‘SKT’)의 유심 해킹 사고에 관한 집단분쟁조정 절차를 개시하기로 9월 1일 결정했다.

지난 4월 18일 SKT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의 유심 정보 유효성을 확인하는 장비‘HSS(Home Subscriber Server)’의 해킹 사고(이하 ‘해킹 사고’) 발생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5월 9일 소비자 58명*은 해킹 사고에 따른 손해배상, 재발 방지 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며 위원회에 집단분쟁조정을 신청했다.

 * 집단분쟁조정 신청 당시 59명이었으나 중복 신청자 제외하고 58명으로 확인

당시 위원회는 다수의 기관이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조사 중이므로 추가적인 사실 조사가 필요해 집단분쟁조정 절차 개시를 보류했다.(6.30.)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민관합동조사단이 유심 정보 25종 유출 및 SKT의 계정 정보 관리 부실 등에 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함에 따라 절차 개시 심의를 재개했다.(7.4.)

위원회는 심의를 통해 ▲ 해킹사고로 피해를 입은 소비자 수가 50명 이상이고, ▲ 사건의 중요한 쟁점이 사실상 또는 법률상 공통되어 집단분쟁조정 절차 개시 요건*을 갖추었다고 판단하고 지난 9월 1일 집단분쟁조정 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 소비자기본법 제68조 제1항, 제2항 및 법 시행령 제56조의 각호

위원회는 9월 26일까지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 및 일간신문을 통해 절차 개시를 공고한다.

다만 이번 해킹 사고의 경우 피해자가 최대 2,300만여 명*에 달할 수 있고, 다른 분쟁조정 기구에 유사한 사건이 다발적으로 접수된 상황 등을 고려하여 공고는 하되 추가 참가 신청은 받지 않기로 했다. 위원회는 향후 사업자가 조정결정 내용을 수락하면 보상계획안을 제출받아 조정 참가 신청을 하지 않은 소비자들도 일괄적으로 보상받을 수 있게 추진할 방침이다.

* 2025년 4월말 SKT 이동통신 회선 수 기준(2025. 7. 4.자 민관합동조사단 최종 조사 결과 발표 기준
 유출된 가입자 식별번호 건수는 2,696만여 건)

한용호 소비자분쟁조정위원장은“다수의 소비자가 관련되어 사회적 관심이 높은 사안인 만큼 소비자의 권익 보호 관점에서 신속하고 합리적인 조정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개시 공고 이후 진행되는 조정 결정은 소비자기본법 제68조 제7항에서 정한 기간(공고가 종료된 날로부터 30일,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각 30일 이내의 범위에서 2회 연장 가능) 이내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5-09-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79 「2025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new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02 1
15378 로봇청소기 구매할 때, 보안도 반드시 확인하세요! new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02 1
15377 신청한 적 없는 카드가 배송되었다면 일단 사기를 의심하고 카드배송 원스톱 조회서비스로 확인하세요!! new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02 1
15376 10개 결혼준비대행업체의 거짓․과장 및 기만광고 행위 제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02 1
15375 일부 로봇청소기, 카메라 사진 열람 등 보안 취약점 발견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02 1
»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고 관련 집단분쟁조정 절차 개시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02 1
15373 2040 건강관리의 첫 단추,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알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01 2
15372 코로나19 확산세 8주째 지속, 어르신 등 고위험군은 사람이 많은 행사 참여 자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01 3
15371 식약처, 추석명절 성수식품 일제 점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01 3
15370 일한 만큼 지원받는 근로장려금, 미리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01 2
15369 현재 228일인 업무상 질병 산재 처리 기간을 120일(~‘27년)로 단축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01 2
15368 공동체 신뢰 회복을 위한 ‘5대 반칙 운전’ 집중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01 1
15367 ’24년 식중독 통계발표, 주요 원인균은 살모넬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9 9
15366 입양을 생각하신다면? “동동마을”에 놀러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9 10
15365 ‘25년 7월 주택통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9 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26 Next
/ 10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