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원장 손수정)은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으로 보고된 의료용 마약류 취급내역을 분석해 ‘2024년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 통계’(국가승인통계)를 6월 24일 발표했다.
    * 마약류 제조업자, 도매상, 의사, 약사 등 마약류 취급자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료용 마약류의 취급정보를 전산 보고하는 시스템

식약처는 2019년부터 매년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 통계에는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의료용 마약류 처방・조제(투약) 현황, 마약류 취급자 수, 마약류 제조・수입・수출 실적 등 국내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과 변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의료용 마약류 처방환자 수]

최근 5년 동안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받은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지난해 한 번 이상 처방받은 환자는 2,001만 명(중복제외)으로,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4명이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받았으며, 총 처방량(19억 2,663만 개)을 기준으로 하면 1인당 약 96개의 의료용 마약류가 처방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받은 환자 중 56.6%(1,132만명)가 프로포폴(마취제), 38.2%(764만명)가 미다졸람(최면진정제)을 처방받았으며, 이는 건강검진 시 시행되는 수면내시경에 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성분들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2024년 처방 환자 수: (프로포폴) 11,321,041명, (미다졸람) 7,642,323명
   ** 수면내시경 종류에 따라 상기 성분 중 1개 또는 2개의 약물을 병용 처방받음

연령별 처방받은 환자 수는 50대가 20.8%(415만 명)로 가장 많았고 60대 19.7%(393만 명), 40대 19.1%(383만 명) 순이었으며, 40대~60대의 처방 환자 수가 전체 처방 환자 수의 59.5%(1,191만 명)를 차지했다.

이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질환 발생율이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되며, 앞으로도 국내 인구 고령화 추세와 의료서비스의 선진화에 따라 의료용 마약류 사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용 마약류 처방건수 및 처방량]

의료용 마약류 처방 건수는 약 1억 건, 처방량은 19억 2,663만 개로 최근 5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연령별 처방량도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10대 이하의 경우 5년간 처방 환자 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 반면, 처방량은 5년 전에 비해 약 1.9배 증가했다. 이는 최근 급격히 증가한 10대 이하의 ADHD 환자 수*로 인해 ADHD 치료제 처방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분석되고 있다.
    * 0-19세 ADHD 환자 수: (’20) 59,197명 → (’23) 118,747명(출처: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효능군 및 주요 성분 처방・조제(투약) 현황]

효능군별 처방량은 항불안제(9억 2,121만 개, 47.8%)가 가장 많았고, 최면진정제(3억 1,222만 개, 16.2%), 항뇌전증제(2억 4,614만 개, 12.8%), 식욕억제제(2억 1,924만 개, 11.4%) 순이었다.

특히 처방량이 급격히 증가한 효능군은 ADHD 치료제*로, 최근 5년간 처방량이 매년 20% 이상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DHD 치료제를 사용하는 질병 특성상 소아‧청소년 환자 중 50%가량은 성인까지 지속적으로 치료가 필요하고, 정신건강의학과 병의원에 대한 접근성 향상 등 보건의료 환경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ADHD 치료제 처방량 : (’20) 3,771만 개 → (’24) 9,020만 개 (139.2%▲)

그에 반해 최근 5년 동안 감소 추이가 보이는 효능군과 성분은 식욕억제제*와 펜타닐(정, 패치)**인 것으로 집계됐다.
    * 식욕억제제 처방량 : (’20) 2억 5,371만 개 → (’24) 2억 1,924만 개 (13.6%▼)
   ** 펜타닐(정, 패치) 처방량 : (’20) 930만 개 → (’24) 739만 개 (20.6%▼)

이는 ‘사전알리미*’,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환자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에 따른 정책 효과로 분석된다.
    * 오남용 조치기준을 벗어나 처방한 의사에게 해당 내용을 서면으로 통지하고 개선 여부를 추적·관리하는 제도
   ** 의료용 마약류(펜타닐 패치, 정제)를 처방할 때, 환자의 최근 1년간 마약류 의약품 투약내역을 의무적으로 조회하여 과다, 
       중복처방 등 오남용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처방 또는 투약을 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시행 후 6개월간 전년도 동일 기간 
       대비 펜타닐 패치 처방량 14% 감소 효과)

[마약류 취급자 수]

2024년 의료용 마약류 취급자 수는 총 48,417개소*로,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20년 이래로 계속 증가하였다.
    * 약국(23,557개소), 의료기관(17,821개소), 동물병원(3,825개소), 도매업자(2,090개소), 학술연구자(960개소), 
       원료사용자(60개소), 제조업자(57개소), 수출입업자(47개소)
   ** 마약류 취급자 수 : (‘20) 44,855개소 → (‘22) 46,541개소 → (‘24) 48,417개소

그리고 2024년 마약류를 처방한 실적이 있는 의사, 치과의사, 수의사 수도 2023년도에 비해 95명이 늘어난 총 11만 4,108명으로 집계됐다.
    * 의료용 마약류 처방의사 현황 : (‘20) 107,709명 → (‘22) 111,461명 → (‘24) 114,108명

[마약류 제조・수입・수출 실적]

2024년 우리나라 의료용 마약류 생산량은 16억 6,107만 개, 수입량은 2억 9,075만 개, 수출량은 1,426만 개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에 비해 생산량은 1억 2,128만 개 감소, 수입량은 4,898만 개 감소, 수출량은 76만 개 증가한 수치이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매년 약 1억 3,000만 건에 달하는 마약류 취급보고 정보를 토대로 오남용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홍보와 의료기관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오남용 의심 사례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등 의료용 마약류의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통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 기관별통계 → 중앙행정기관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료용마약류취급현황)’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06-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122 '25년 1분기 주요 민원분쟁사례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5 4
15121 재규어랜드로버·현대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5 8
15120 “전입신고 늦었지만 실 거주하는 신혼부부”… 결혼장려금 지급하도록 ‘의견표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4 6
» 2024년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4 6
15118 요소수 무력화 장치, 판매 중개하거나 구매 대행할 경우 과태료 부과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4 4
15117 국민 누구나 더 쉽고 편하게 공공기관 누리집·앱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4 5
15116 생활 속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사진·영상 공모전 개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4 4
15115 안심상속 서비스 기준일, 실종선고일로 개정해 실종자 유족 아픔 던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4 4
15114 장기요양등급 갱신 유효기간 늘어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4 4
15113 합법 민박업소 확인하고 안전한 국내 여행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4 4
15112 농림지역 단독주택 허용 등 지역 살리기 본격 추진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4 2
15111 청년,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 ‘25년도 2차 입주자 모집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4 6
15110 “임신 예비 부모를 위한 검사비 지원”… 제대로 지원받도록 관련 절차 개선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4 8
15109 [벽걸이형 에어컨 품질비교 결과] 냉방속도·온도편차 등 주요 성능과 가격·에너지비용에 차이 있어 용도에 맞는 제품 선택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4 3
15108 소비자중심경영(CCM) 인증제도 운영·심사에 관한 규정 개정·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24 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11 Next
/ 101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