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정부 조사에 따르면 국내 친환경 시장 규모는 34조 원*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으나, 소비자의 친환경 생활 실천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환경부(2024.01.), 202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민생과 함께하는 환경복지, 미래로 나아가는 녹색강국”
**한국소비자원(2023),「한국의 소비생활지표」, ’19년62.1점→’21년61.1점→’23년57.1점으로 실천 점수 지속 하락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전국의 성인 소비자 3,200명을 대상으로 일상에서 참여할 수 있는 친환경 제도 이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의 66.4%(2,125명)가 현재 친환경 제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대 친환경 제도인 탄소중립포인트,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e-라벨,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을 이용하는 1,530명의 58.0%(886명)가 ‘경제적 혜택’이 있다면 계속해서 제도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 소비자 10명 중 6명, ‘경제적 혜택’이 있어 친환경 제도를 계속 이용해
  
소비자의 친환경 제도 이용 경험을 조사한 결과, 전기수도 사용량을 절약하거나 텀블러 및 다회용기 등을 사용하면 현금으로 전환되는 포인트를 지급하는 ‘탄소중립포인트’를 한 번이라도 이용해 본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29.0%(928명)로 나타났다. 전기 절감량에 따라 전기요금을 할인받는 ‘주택용 에너지캐시백’은 20.7%(663명), 화장품, 식품의 표시정보를 QR코드로 제공하는 ‘e-라벨’은 9.2%(295명), 녹색제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은 9.1%(290명)였다.
  
4대 친환경 제도를 이용하는 소비자 1,530명의 58.0%(886명)는 ‘경제적 혜택’이 있다면 친환경 제도를 계속 이용하겠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는 제휴처가 적어 더 이상 제도를 이용하지 않는 소비자도 일부 있어, 친환경 생활 실천률 제고를 위해서는 포인트 제휴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탄소중립포인트의 경우 한 번이라도 이용해 본 소비자(928명)가 현재에도 이용하는 비율이 77.5%(719명)로 친환경 제도 중 가장 높았고, 이 중 이용의 주요 이유는 ‘경제적 혜택’(65.6%, 472명)으로 나타났다. 주택용 에너지캐시백도 경제적 혜택의 유무가 제도를 계속 이용하거나 중단하는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반면, e-라벨을 이용해 본 소비자(295명)의 54.6%(161명)가 계속해서 제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더 이상 이용하지 않는 45.4%(134명)와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고,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은 다른 세 가지 친환경 제도와 달리 이용을 중단한 소비자(194명)의 20.8%(31명)가 ‘이용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더 이상 이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현재 녹색매장(녹색제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지정 및 지원하는 환경부 제도)은 ’25년까지 850개소를 지정할 계획*인 반면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은 4개사(우체국쇼핑, 인터파크, 홈플러스, 현대이지웰)만 운영 중이다.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도 일상 소비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확대 운영할 필요가 있다.
* 환경부 제4차 녹색제품 구매촉진 기본계획(’21~’25), 녹색매장 지정 계획 ’20년 620개소 → ’25년 850개소
** ‘25년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 신규 확대 : 쿠팡, 컬리, ssg.com

☐ 소비자의 60.1%는 QR코드로 새활용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길 원해
  
국내 새활용 제품 시장 규모가 40억 원*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새활용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도 전체 응답자의 29.4%(941명)로 나타났다.
* EBS 뉴스(2022.12.01.), 커져가는 새활용 시장인프라 부족에 “정부 나서야” 
  
새활용은 단순히 물건을 재사용하는 재활용과 달리 버려지는 물건으로 신상품을 만드는 작업이므로 제품에 사용된 재료, 품질, 안전성을 소비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유럽에서는 이를 제도화하여 ‘27년부터 제품 정보를 QR코드로 제공할 예정이며, 국내의 경우 새활용 제품 인증서 내에 QR코드로 새활용 정보를 제공하는 새활용 민간 인증*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 환경부(2023) ‘새활용 산업 육성 지원사업’ 일환으로 한국환경산업협회를 통해 운영, 폐자원 활용 비율, 소재 수급 정보, 유해물질 검출여부, 제품성능 시험분석 등을 통과한 제품에 새활용 제품 인증서 발급 및 인증서 내 QR코드로 새활용 정보를 제공함.
  
전체 응답자의 60.1%(1,922명)가 새활용 제품 정보를 모바일을 통해 QR코드로 제공하는 제도를 이용하겠다고 응답했다. 대상별로는 ‘60대 이상’이 25.4%(488명), ‘50대’ 25.3%(486명), ‘40대’ 20.5%(394명) 등 순이었다. 특히, 60대 이상 소비자 673명의 72.5%(488명)가 제도 이용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경우 새활용 제품 정보를 모바일로 확대해서 볼 수 있기에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활용 표시에 포함할 필요가 있는 정보로는 ‘새활용된 소재를 사용한 비율, 원산지, 안전성 인증 등에 대한 정보’가 64.4%(2,060명)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내구성’ 55.4%(1,772명), ‘폐기 방법’ 23.6%(755명) 등 순으로 나타났다.

☐ 느린 배송 제도가 도입된다면, 소비자는 할인쿠폰보다 포인트 적립 혜택을 선호해
  
느린 배송 제도는 소비자가 온라인으로 물건을 주문했을 때 즉시 배송하지 않고, 배송차량에 물건이 가득 찼을 때 배송하는 제도를 말한다. 미국의 의류업체 갭(GAP)과 유럽의 가구업체 이케아(IKEA)가 5일이 소요되는 느린 배송에 할인된 요금을 적용하여 소비자의 호응을 얻고 있다*.
* 한국교통연구원(2024), 글로벌 물류산업 동향
  
국내에는 아직 도입되지 않은 제도인 느린 배송 방식을 이용할 의향을 조사한 결과, ‘포인트가 적립되는 느린 배송 방식’을 선택한 소비자는 전체 응답자의 56.7%(1,815명)로 ‘할인쿠폰이 지급되는 느린 배송 방식’ 36.3%(1,160명) 보다 높게 나타났다. 
  
평균 배송기간(2일)보다 더 기다려 이 제도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소비자 2,175명 중 85.9%(1,868명)는 추가로 1~3일을 더 기다릴 수 있다고 응답했고, 4~7일로 답한 소비자도 14.1%(307명)였다. 소비자가 기다릴 수 있는 느린 배송 기간은 평균 3.5일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의 결과를 ▲한국소비자원 누리집에 공개하고, ▲유관부처와 지자체에 제도 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일상 속 소비자의 친환경 실천 수준과 제도 개선의 성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한국의 소비생활지표」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5-05-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친환경 제도, 소비자를 위한 경제적 혜택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3 5
14930 국가·지방자치단체 중심의 공적 입양체계 개편 시행 위한 법령 완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3 4
14929 청년층 자살시도자 치료비 지원, 5월부터 더 확대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3 7
14928 공익직불금 감액없는 똑똑한 준비, 교육 이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3 6
14927 “방치된 빈집, 국민 불편 키운다.” 빈집 관련 민원, 지속적 증가세 보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3 4
14926 2025년 1분기 국제거래 소비자상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2 7
14925 섬 마을 아이들의 소중한 꿈, 고향사랑기부로 응원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2 6
14924 5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2 7
14923 생명을 지키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혈압측정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2 8
14922 50대 이상이라면 누구나, “금융골든벨”에 도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2 8
14921 「통신사기피해환급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25.5.12.~6.23.)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2 3
14920 우리집 전기에너지 줄이면 금융 혜택까지 … 12일부터 최대 3.5% 우대 금리 상품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2 4
14919 “나도 모르게 사라지는 교통카드 충전금액”… ‘국민생각함’에서 개선방안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2 1
14918 국민의 눈으로 도로안전을 살펴 주세요 “2025 도로안심·서비스 국민참여단” 모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09 11
14917 생활인구 유입·체류를 늘려 지역활력 높일 2025년 ‘고향올래’ 12개 사업지 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08 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96 Next
/ 99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