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면역기능 개선 제품, 비타민 제품 성장세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지난 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은 1조 8,230억원으로 ’14년(1조 6,310억원)에 비해 11.8% 증가하였으며, 건강기능식품 생산은 ’11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 7.4%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 생산실적(억원): 13,682(’11)→14,091(’12)→14,820(’13)→16,310(’14)→18,230(’15)
○ 특히, 지난 해 일명 가짜 백수오 사건에도 불구하고 일상 속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로 면역기능 개선 제품이나 비타민 등과 같은 영양보충용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이 생산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 ’15년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는 2조 3,291억원으로 ’14년(2조 52억원)에 비해 16.2%가 증가하였으며, ’11년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 국내 시장규모: 생산+수입-수출
※ 국내 시장규모(억원): 16,855(’11)→17,039(’12)→17,920(’13)→20,052(’14)→23,291(’15)
- 수출은 904억원으로 ’14년(670억원)보다 34.9% 증가하였으나, 수입 또한 5,965억원으로 ’14년(4,412억원)보다 35.2% 증가하여 무역 적자규모가 5,061억원으로 ‘14년(3,742억원)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난 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주요 특징은 ▲건강기능식품 생산 지속적인 증가 ▲면역기능 개선 제품과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의 생산 큰 폭 상승 ▲다양해지는 개별인정형 제품 판매 등이었다.
※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고시된 품목 이외에 안전성, 기능성을 개별로 인정받은 원료로 제조한 건강기능식품(당귀혼합추출물,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 등)

〈 건강기능식품 생산 지속적인 증가 〉
○ ’15년 국내 제조업 GDP의 전년 대비 성장률은 2.3%인데 비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은 11.8% 증가하여 고속 성장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 2015년 국내 제조업 GDP 2.3% 성장[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2016.7]
○ 품목별로는 홍삼제품의 생산실적이 6,943억원으로 전체 생산실적(1조 8,230억원)의 38.1%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나, ‘11년 이래 점유율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 홍삼제품 점유율: (’11) 7,191억원(52.6%) → (’12) 6,484억원(46%) → (’13) 5,869억원(39.6%) → (’14) 6,330억원(38.8%) → (’15) 6,943억원(38.1%)
- 홍삼제품 다음으로는 개별인정형 17.5%(3,195억원), 비타민‧무기질 11.4%(2,079억원), 프로바이오틱스 8.7%(1,579억원), 밀크씨슬추출물 3.9%(705억원) 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 업체별로는 ㈜한국인삼공사(5,229억원)가 ’04년부터 ’15년까지 계속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야쿠르트(871억원), 고려은단㈜(862억원), 주식회사 노바렉스(805억원), 콜마비앤에이치(주)선바이오텍사업부문(793억원) 등의 순이었다.
- 지난 해 비타민 제품 및 면역기능 개선 제품의 판매 증가로 고려은단(주)(’14년 12위)과 콜마비앤에이치(주)선바이오텍사업부문(’14년 8위)이 상위 5개 업체에 새로 진입하였다.
○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수는 487개소로 ’14년(460개소) 대비 6% 증가하였고, 이 중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 지정업체는 ’14년 208개소에서 지난 해 216개소로 늘어났으며 전체 생산액(1조 8,230억원) 중 91.9%인 1조 6,751억원을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 면역기능 개선 제품과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의 생산 큰 폭 상승 〉
○ 지난 해에는 면역기능 개선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여 ’11년 이후 감소 추세였던 홍삼제품의 생산실적이 6,943억원으로 ’14년(6,330억원)에 비해 9.7% 증가하였으며, 특히 개별인정형 원료인 당귀혼합추출물의 생산실적은 ’14년 396억원에서 ’15년 714억원으로 80% 급증하였다.
- 또한, 일상에서 섭취하기 어려운 영양소 보충 등을 위한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여 해당 제품들의 생산실적이 ’14년 1,415억원에서 ’15년 2,079억원으로 47% 증가하였다.
○ 이러한 증가세는 일상 속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면역 기능 개선 제품과 영양보충용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
○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에 대한 수요증가는 수입에서도 나타나,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의 ’15년 수입액은 2,791억원으로 ’14년(1,945억원)에 비해 43.5% 증가하였으며 전체 건강기능식품 수입액 중 46.8%를 차지하였다.

〈 다양한 개별인정형 제품 판매 〉
○ 지난 해 개별인정형 제품의 생산은 3,195억원으로 ’14년(3,177억원)에 비해 0.6% 증가에 그쳤다.
- 이는 지난 해 일명 가짜 백수오 사건으로 백수오등복합추출물의 생산실적이 380억원으로 ’14년(1,193억원)에 비해 급감한 것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 개별인정형 생산액(%는 전년대비 증가율): (’11)1,433억원→(’12)1,807억원(26%)→(’13)2,324억원(29%)→(’14)3,177억원(37%)→(’15) 3,195억원(0.6%)
○ 지난 해 생산 실적 중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은 당귀혼합추출물(면역기능)이 714억원으로 1위(22.3%)를 차지하였으며, 백수오등복합추출물(갱년기 여성건강) 380억(11.9%), 황기추출물등복합물(키 성장) 266억원(8.3%),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간 건강) 255억원(8.0%), 미역 등 복합추출물(체지방 감소) 183억(5.7%) 등의 순이었다.
- 개별인정형 제품 상위 5개 제품의 비중은 56.3%(1,799억원)으로 ’14년 상위 5개 제품이 70%를 차지하던 것에 비해 대폭 감소하였다.
○ ’15년 총 89 종류의 개별인정형 제품이 판매되어 ’14년 77 종류, ’13년 78 종류에 비해 다양한 개별인정형 제품들이 생산‧판매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관심이 다양한 제품(기능성)으로 분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특히, ’15년부터 판매된 황기추출물등복합물(키성장, 266억), 와일드망고종자추출물(체지방 감소, 173억)이 상위 10개 제품에 포함되었다.
- 미역 등 복합추출물(체지방 감소)이 190%(’14년 63억→’15년 183억), 과채유래유산균(피부건강)이 96%(’14년 57억→’15년 112억), 당귀혼합추출물(면역기능 개선)이 80%(’14년 396억→’15년 714억)로 생산실적이 급성장하였다.

□ 식약처는 소득 증가에 따른 건강중시형 소비 증가로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꾸준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앞으로 건강기능식품 산업 발전을 위해 기능성 평가 체계 개선, 기능성 원료 개발 기술지원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8-1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91 택배서비스에 대한 평가 기준 마련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2 79
2890 국제에듀케이션, 계약해지 관련 피해 다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2 83
2889 전자금융거래가 더욱 안전하고 편리해집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2 78
2888 공정거래조정원, 상반기 분쟁조정 971건 처리, 피해구제 성과 490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1 82
» ‘15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1.8조원, 지난 해 대비 12%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1 85
2886 잔류농약 기준초과 검출 수입 ‘키위’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1 76
2885 2016년 6월 소비자상담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1 112
2884 자동차보험 '가입(운전)경력 인정제도' 개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1 136
2883 휴가철 나들이용 식품 대형마트가 저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175
2882 바닷가 주변 횟집 비브리오균 특별검사 강화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121
2881 자살을 부추기거나 돕는 것은 범죄입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92
2880 폭염 대비 독거노인 보호활동 강화 요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77
2879 비엠더블유, 한국지엠 리콜 실시(총 13개 차종 12,352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76
2878 ’16년 7월 자동차 산업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115
2877 안마의자·타이어 렌탈서비스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132
Board Pagination Prev 1 ... 725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