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28일(월) 2024년 여성긴급전화 1366 운영실적을 발표했다.
ㅇ 긴급전화센터1366*(이하 ‘1366’)은 가정폭력·성폭력·성매매, 스토킹·교제폭력·디지털성범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피해자라면 남성·여성 누구에게나 365일·24시간 초기상담 및 긴급구조․보호서비스를 지원한다.
* 전화로 국번 없이 1366 또는 지역번호+1366 연결, 카카오톡 채널에서 ‘women1366’ 검색, 또는 사이버상담 누리집(www.women1366.kr) 접속
□ 지난해 1366은 29만 3천여 건의 폭력피해 상담을 지원(1일 평균 약 804건)해 ’23년 대비 소폭(921건) 감소했다.
ㅇ 가정폭력 피해 상담은 148,884건으로 ’23년 대비 1만 2천여 건 감소했으나, 전체 상담의 50.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 가정폭력(50.7%), 스토킹(5.0%), 성폭력(4.8%), 교제폭력(3.9%), 디지털성범죄(1.7%), 성매매(0.9%)
□ 2024년에는 특히 스토킹과 교제폭력 피해 상담이 증가했다.
ㅇ 스토킹 피해 상담의 경우 14,553건으로 ’23년(9,017건)에 비해 61.4% 증가하였고, 교제폭력 피해상담은 11,338건으로 ’23년(9,187건)에 비해 23.4% 증가했다.
ㅇ 이는, 스토킹처벌법 및 스토킹방지법의 시행과 함께 새로운 유형의 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가 상담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한편, 남성 피해자의 상담 이용률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ㅇ 전체 상담 중 남성 비율은 6.3%*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상담 유형은 가정폭력(66.2%), 디지털 성범죄(13.1%), 스토킹(12.6%)순으로 나타났다.
* 남성 상담률: ’22년 14,996건(5.2%) → ’23년 17,333건 (5.9%)→ ’24년 18,362건(6.3%)
□ 피해자의 긴급한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긴급피난처는 지난 한 해 동안 4,486명이 이용하였고 1인당 2.7일간 보호가 이루어졌다. 입소자 피해유형은 가정폭력(87.3%), 교제폭력(4.7%), 성폭력(2.2%)순으로 나타났다.
□ 한편, 지난 해 12월 세종특별자치시에 1366센터가 개소함에 따라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에 폭력피해자에 대한 초기상담 및 구조․보호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 조용수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장은 “여성긴급전화1366은 폭력피해자에 대한 초기상담과 긴급구조·보호기능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통합구조기관으로써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며,
ㅇ “성별과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나 1366을 통해 신속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신보라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원장은 “여성긴급전화1366은 여성폭력 방지와 피해자 보호를 위한 초기 지원기관으로 365일 24시간 여성폭력 피해자의 실질적 보호조치를 통해 안전과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며
ㅇ “확대되고 있는 복합피해‧고난도 피해자에게 신속‧통합‧실질적 보호조치를 할 수 있도록 여성긴급전화1366이 역할을 수행하는데 진흥원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여성가족부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