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수족구병 환자수가 5월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밝히며, 영유아가 있는 가정과 보육·교육시설에서의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가장 최근인 33주차(8.10.~8.16.기준) 수족구병 발생상황(의사환자분율*)은 26.7명/1000명으로 지난 5월말(21주 1.5명) 이후 지속적 증가추세에 있고, 특히, 0-6세는 36.4명/1000명으로 7-18세(7.1명)보다 더  높은 발생을 보였다. 수족구병은 봄에서 가을까지 주로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할 때, 당분간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의사환자분율(‰) : 수족구병의사환수/전체 외래환자수 × 1000 

수족구병은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로 인하여 발생하는 급성바이러스성 질환으로 환자의 대변 또는 분비물(침, 가래, 콧물, 수포의 진물 등)과 직접 접촉하거나, 이러한 것에 오염된 물건(공동사용하는 장난감, 집기 등) 등을 만지는 경우 전파된다. 

주요 증상으로 손, 발, 입안에 수포성 발진을 나타나며, 발열, 무력감, 식욕 감소, 위장관증상(설사, 구토)이 동반될 수 있다. 대부분은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지만, 드물게 뇌수막염, 뇌염, 마비증상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에, 수족구병이 의심되는 경우 의료기관 진료가 필요하다. 특히, ▲6개월 미만의 영아,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 ▲2일 이상의 발열 등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수족구병 환자인 경우 어린이집 등원 및 외출을 자제하여 다른 사람과 접촉을 피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편,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는 장난감, 놀이기구, 문손잡이 등 손이 닿는 집기 및 주변환경의 소독관리를 철저히 해야하고, 식사 전‧후, 화장실 사용 후 손씻기 등 개인 예방수칙을 잘 지키도록 해야한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수족구병 예방을 위해서 손씻기 및 철저한 환경관리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수족구병에 걸린 경우 완전히 회복한 후 등원할 수 있도록 안내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수족구병 예방수칙>

① 올바른 손 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씻기
 - 기저귀 뒤처리 후, 배변 후, 코를 풀거나 기침, 재채기 후, 환자를 돌본 후 
 - 특히 유치원, 어린이집 종사자 및 영유아 관련 자

② 올바른 기침예절
 - 옷소매 위쪽이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기침하기

③ 철저한 환경관리
 -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소독 하기(붙임 3 참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을 철저히 세탁하기

④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 받고 등원 및 외출 자제 하기(발병후 1주일)



[ 질병관리청 2025-08-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203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주소 누르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5.08.28
5202 털진드기 활동 시기 도래, 감시 돌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5.08.27
» 수족구병 5월 이후 지속적 증가 추세! 영유아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5.08.27
5200 “여드름 완화, 지방 연소 촉진”··· 화장품 허위·과대 광고 유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5.08.27
5199 박람회에서 가입하는 보험, 내게 필요한지 한 번 더 생각해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5.08.26
5198 위해 물질이 함유된 장난감 자동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5.08.22
5197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빵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5.08.22
5196 알레르기 성분이 표시되지 않은 아귀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5.08.22
5195 살모넬라균이 검출된 피스타치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5.08.22
5194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텐에 제과 빵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5.08.22
5193 제품 사용 중 화재 위험이 있는 리클라이너 소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5.08.22
5192 부품 탈락으로 부상 위험이 있는 Petzl 하네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5.08.22
5191 어린이 보호장치가 미비한 도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5.08.22
5190 화학물질 함유된 마사지 목베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5.08.22
5189 질식 위험이 있는 놀이매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5.08.22
5188 33.3℃ 이상일 때 온열질환자 급증…예방수칙(물, 그늘, 휴식)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5.08.22
5187 코로나19 입원환자 증가세 지속 일상 속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5.08.22
5186 유리조각 포함 가능성이 있는 Weleda 젖니 통증 완화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5.08.21
5185 화재 위험이 있는 매트리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5.08.21
5184 화학물질을 과다 함유한 Crosley 턴테이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5.08.2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1 Next
/ 26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