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린이놀이터 내 어린이 안전사고는 매년 1,000건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설치된 지 오래된 어린이놀이터는 놀이기구 등이 노후돼 관리주체**의 관리가 소홀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의 놀이터 관련 사고 접수 건 : (’21년) 1,164건, (’22년) 1,600건, (’23년) 1,585건
 ** 입주자대표회, 관리사무소 등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서울, 경기에 소재한 사용승인 25년 차 이상 노후 아파트 내 어린이놀이터 32개소*를 조사한 결과, 많은 놀이터가 놀이기구의 부식, 파손, 칠 벗겨짐, 바닥재 손상 등 관리상태가 미흡했고, 일부 고무 바닥재에서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 아파트 사용승인일 기준 25년 차 이상 30년 차 미만 놀이터 12개소, 30년 차 이상 놀이터 20개소

☐ 조사대상 아파트 내 어린이놀이터 90.6%, 안전관리 미흡 
  
어린이놀이터 관리자는「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에 따라 매월 자체 점검과 2년 주기의 정기시설검사를 실시하고 문제점이 확인되면 즉시 개선해야 한다.
 
관리실태 조사 결과, 조사대상 32개 중 29개소(90.6%)에 설치된 일부 놀이기구와 바닥재가 손상된 채 운영되고 있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놀이기구의 철재 골격이 부식되거나 계단, 안장 등이 파손된 곳이 21개소(65.6%), 손잡이·난간 등 놀이기구의 칠이 심하게 벗겨진 곳이 20개소(62.5%)였다. 또한, 고무 바닥재가 경화·손상돼 고무칩이 노출되거나 어린이가 걸려 넘어질 우려가 있는 곳이 19개소(59.4%)였다.

놀이기구별로는 조합놀이대*(31개소 설치)의 파손 및 도색이 벗겨진 경우가 24개소(77.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흔들놀이기구**(26개소 설치) 12개소(46.1%), 그네*** 1개소(3.8%) 순이었다.

  * 2개 이상의 놀이기구가 결합된 놀이기구
  **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며, 기구 지탱부를 중심으로 흔들리는 것(시소, 목마 등)
  *** 선회축이나 자재 이음쇠 아래로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며 움직이는 기구

☐ 어린이놀이터 바닥재에 대한 유해물질 안전관리 필요
  
어린이놀이터의 고무바닥재 또는 포설 도포 바닥재는「환경보건법」에서 규정한 ‘어린이활동공간에 대한 환경안전관리기준(이하 환경안전관리기준)’에 따라 중금속 4종(총 함량 1,000mg/kg 이하), 프탈레이트 7종(총 함량 0.1% 이하) 기준 등의 준수를 의무화하고 있다.
  
조사대상 놀이터 중 수거가 가능한 7개소의 고무 바닥재에 대해 유해물질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환경안전관리 기준에 적합했다. 
  
그러나 한국산업표준(KS) 등*을 준용할 경우, 6개소의 고무 바닥재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검출범위 11.2~ 31.1㎎/㎏), 3개소는 납(검출범위 92~244㎎/㎏)의 검출량이 준용 품질기준(PAHs 10mg/kg 이하, 납 90mg/kg 이하)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산업표준 : 실외 체육 시설(학교 포함)–탄성 포장재(KS F 3888-2)
  * 단체표준 : 어린이 놀이시설용 현장포설형 충격흡수바닥재(SPS-KSSFIA1-1994)


다환방향족탄화수소*와 납**은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에서 분류한 발암물질 또는 발암가능물질로 놀이터 바닥재에 함유되어 있을 경우, 어린이가 놀이 과정에서 노출될 우려가 있다.


  * 벤조(a)피렌(Benzo[a]pyrene) : 인체발암물질(group 1), 벤조(a)안트라센(Benzo[a]anthracene), 크라이센(Chrysen), 벤조(b)플로란센(Benzo[b]fluoranthene) : 인체발암가능물질(Group 2B)

  ** 납 : 인체발암가능물질(Group 2B)


한국소비자원은 조사대상 관리주체와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파손된 놀이기구 등의 신속한 보수와 안전점검 등 안전관리를 강화할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관계부처와 조사 결과를 공유했고 관계부처는 어린이놀이터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모니터링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24-12-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79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9 27
14378 2024 통계로 보는 1인가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9 22
14377 신축 건물 주소, 별도 신청하지 않아도 자동 부여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9 23
14376 인터넷서비스, 위약금 관련 소비자피해 38.9%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6 22
14375 의약품 부작용 치료 비용, 더욱 든든하게 지원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6 22
» 노후 아파트 내 어린이놀이터, 안전관리 미흡한 곳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5 34
14373 나를 위한 128가지 복지서비스, 복지멤버십이 알려드려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5 29
14372 연말에는 저렴해진 한우와 함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5 23
14371 연말정산 과다공제, 실수는 예방하고 꼼수에는 적극 대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5 126
14370 도심 버스터미널에 택배·주문배송 시설 들어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5 13
14369 12월의 추천 공공서비스, 놓치면 아쉬운 ‘내 숨은 돈’, 바로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4 47
14368 겨울철 내 주변 위험요소는 안전신문고로 신고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4 13
14367 12월부터 민간 앱·웹에서도 고향사랑기부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4 23
14366 2023년 생명표 작성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4 18
14365 2024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12.04 15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990 Next
/ 99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