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음주 심층보고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본 보고서는 올해 진행한 정책연구용역*의 결과를 요약하였으며, 주요 내용으로 만19세 이상 성인의 음주행태에 대한 최근 10년 간 추이 변화, 취약집단의 음주행태 및 관련 요인 등의 분석 결과를 수록하였다.
 *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음주 심층분석 연구(’23.1.~8., 인제대 김광기 교수)

1. 주요 결과

[추이 변화, 2012~2021년]

  우리나라 성인의 음주행태는 최근 10년 간 큰 변화는 없었으며, 전반적으로 남자는 감소하고, 여자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남자가 여자보다 여전히 음주율이 높았고, 연령별로는 남자 40-50대, 여자 20-3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표별 추이 변화를 보면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은 남자는 감소(’12년 25.1%→’21년 23.6%)한 반면 여자는 증가(’12년 7.9%→’21년 8.9%)하여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그림 1 참고). 
 * 연간음주자 중 1회 음주량이 남자는 7잔, 여자는 5잔 이상을 주 2회 이상 마신 분율

  연령별로는 남자 40-50대, 여자 20-30대에서 높았다(그림 2 참고).

 연간음주자의 월간폭음률*의 경우 남자는 유의하게 감소(’12년 61.7%→’21년 56.0%)하였으나 여자(’12년 31.0%→’21년 31.1%)는 큰 변화가 없었고(그림 3 참고), 남자는 40-50대, 여자는 20-30대에서 높았다(그림 4 참고).
 * 연간음주자 중 1회 음주량이 남자는 7잔, 여자는 5잔 이상을 월 1회 이상 마신 분율

연간음주자의 지속적 위험음주율*도 남자는 10%, 여자는 3% 내외로 연도별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며(그림 5 참고), 남자의 경우 50-60대, 여자는 30대에서 가장 높았다(그림 6 참고).
 * 연간음주자 중 1회 음주량이 남자는 5잔, 여자는 3잔 이상을 주 4회 이상 마신 분율


[취약집단 음주행태] 

  담배 및 주류 둘 다 사용자(현재 흡연하면서 월간 음주) 비율은 최근 10년 간 감소 추세(남자 ’12년 36.2%→’21년 28.1%)이나, 담배 및 주류 둘 다 고위험사용자(매일 흡연하면서 고위험 음주)의 경우 최근 10년 간 큰 변화 없이 남자 10명 중 1명(’21년 10.6%)으로 나타났다(그림 7 참고).

  소량의 음주로 금세 얼굴이 빨개지는 알코올 홍조증*을 경험한 사람은 10명 중 4명(’21년 남 38.9%, 여 36.4%)이었다. 그 중 고위험음주를 하는 경우는 남자 14.0%, 여자 4.3%로 남자가 여자보다 3배 정도 더 높았다(그림 8 참고).
 * 알코올 분해효소가 부족하여 생기는 증상으로, 이런 증상을 가진 사람이 지속적으로 고위험음주 시 식도암 등 암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고 보고됨 Zhang et al. Facial flushing after alcohol consumption and the risk of cancer. Medicine (2017) 96:13.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자(만30세 이상,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천식 치료약을 1개 이상 복용)의 고위험음주율도 남자 20.4%, 여자 9.0%로 남자에서 높았다(그림 9 참고).


[음주행태 관련 요인] 

  음주행태 관련 요인으로는 성, 연령, 건강행동 실천* 등이었다. 
 * 현재 흡연, 고위험 음주, 신체활동 실천(30분 이상 주 2회 중등도 운동), 체중(BMI 25미만), 수면시간(평균 7-8시간), 아침식사, 간식섭취에 대해 건강생활 실천 시 점수 부여(0-7점)

  여자보다 남자(고위험음주 3.04배, 월간폭음 3.58배, 지속적 위험음주 5.07배), 70대 이상에 비해 낮은 연령(40대에서 고위험음주 2.44배, 월간폭음 2.85배, 지속적 위험음주 1.52배)에서 음주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또한 건강행동 실천 점수가 낮을수록(0-3점에서 고위험음주 33.62배, 월간폭음 3.12배, 지속적 위험음주 8.33배) 음주할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났다(표 7 참고).


2. 정책적 제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성인 음주행태 심층분석 결과, 최근 10년 간 남자가 여자보다 여전히 높은 음주율을 보이나 남자는 감소, 여자는 증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남자 40-50대, 여자 20-30대에서 높았다.

  또한 담배와 주류 둘 다 사용자, 홍조증 경험자,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자 등 취약집단에서 위험 음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심층분석 연구를 수행한 김광기 교수(인제대)는 “우리나라는 음주에 관대한 문화적 특성이 있으며, 특히 20-30대 여자 음주율이 높은 것은 도수가 낮은 술이나 과실주 등 주류상품 개발로 접근성이 높아지고, 음주에 대한 사회‧문화적 수용성도 높아진 영향으로 보여진다.”라고 전했다.

  “주류 소비 및 음주폐해 감소를 위해서는 대국민 음주가이드라인 개발, 음주 경고문구 강화와 주류광고 및 마케팅 규제, 장소‧시간적 음주 제한 등 주류이용가능성 제한 정책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음주 취약집단 대상으로 상담 및 교육 등 보건의료서비스 강화와 개인이 음주 위험성을 인지하고 자율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갖추는 등 음주 건강 문해력 향상을 위한 교육‧홍보가 필요하다.”라고 제언하였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음주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음주행태 개선을 위해서는 개인뿐만 아니라 음주조장 환경을 개선하는 사회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하며,

  “우리 청은 음주행태 감시와 근거 강화를 위한 국가건강조사를 지속하고 음주조장 환경 개선과 취약집단별 맞춤형 예방 정책 지원 등 음주폐해 감소 및 국민 건강증진을 위해 관계부처 간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이번에 발간된 심층보고서는 국가건강조사 분석보고서인 「국민건강통계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활용 가능하다.
  *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https://knhanes.kdca.go.kr)



[ 질병관리청 2023-10-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077 어려운 법령, 한눈에 이해되는 시각 콘텐츠로 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1 11
13076 장애인 반려동물 진료비, 걱정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1 8
13075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 피해자 구제를 위한 법적 근거 마련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1 9
13074 ‘23년 9월 주택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1 12
13073 내년 2월 1일부터 건설현장의 화장실 설치기준이 강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1 11
13072 욕실화 2종 자발적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8
13071 모성보호 신고센터가 권리구제를 도와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2
13070 경력단절여성의 일터 복귀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8
13069 이장·통장 처우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5
13068 네이버, 카카오 등 자주 쓰는 앱에서 이용하고 싶은 공공서비스를 제안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2
» 남자 40-50대, 여자 20-30대 음주행태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3
13066 임신진단테스트기는 식약처 인증 제품만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0
13065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10.30.)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1
13064 리츠, 자율성 높이고 투자자 보호는 두텁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6
13063 2023년 3분기 선불식 할부거래업자 등록변경사항 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9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