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10.20.(금) 세계 골다공증의 날*을 맞아 6개 전문 학회**와 공동으로 「골다공증 예방과 관리를 위한 10대 생활수칙」(이하 ‘골다공증 예방관리수칙’)을 개정하고, 적절한 영양섭취, 신체활동, 건강한 체중 유지, 검사 등 골다공증 예방관리를 위한 일상 속 실천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 세계 골다공증의 날(World Osteoporosis Day): 국제골다공증재단에서 골다공증의 예방, 진단, 치료에 대한 전 세계적인 인지 제고를 위한 캠페인을 운영하는 기념일
 ** 대한가정의학회, 대한골다공증학회,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내분비학회, 대한산부인과 학회, 대한정형외과학회 (가나다 순)


< 골다공증에 따른 질병 부담 증가 >

  골다공증은 말 그대로 뼈에 구멍이 많이 생긴다는 뜻으로, 뼈의 강도가 약해져 쉽게 부러지는 질환을 의미한다. 50세 이상 골다공증 유병률은 22.5%로 5명 중 1명이 골다공증 환자이며(남자 7.5%, 여자 37.5%),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여 70세 이상 여성의 경우 68.7%에 이른다.
  ※ 출처 : 국민건강영양조사, 질병관리청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골다공증 환자와 진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골다공증 진료 인원 : 2017년 91만명에서 2021년 114만명으로 24.6% 증가골다공증 진료비 : 2017년 2,152억원에서 2021년 3,268억원으로 51.9% 증가
 ※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보도자료,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골다공증, ‘21년 전체 환자의 94% 차지」 (‘23.2.10.)

  골다공증은 ‘조용한 뼈 도둑’이라고 불릴 정도로 초기 증상이 없지만 골다공증으로 인하여 고관절, 척추, 손목 부위 골절과 같은 합병증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 낙상·추락으로 인한 65세 이상 입원환자 : 2011년 11.8만명에서 2021년 20.8만명으로 76.3% 증가(퇴원손상심층조사, 질병관리청)

  고관절 골절 발생 시 남자 21%, 여자 15%가 1년 내 사망*하며, 특히 노년기 골절은 심혈관 질환, 폐렴, 패혈증 등 2차 질환으로 연결돼 급성 사망에 이르는 위험을 수반하기도 한다. 골절 환자의 50%는 이전과 같은 보행이나 거동이 어렵고 독립성 회복이 불가능한 만큼 적절한 예방관리와 치료가 중요하다.
  * 출처 : 건강보험 빅데이터(’08-’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


< 개정 골다공증 예방관리수칙 알림 >

  질병관리청은 변화된 골다공증 질환 관리 및 환경에 맞춰 6개 전문학회와 전문가 회의를 거쳐 ’13년 제정 이후 10년 만에 골다공증 예방관리수칙을 개정하였다.

  이번 골다공증 예방관리수칙은 ▲총 10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성장기부터 노년기까지의 실천 사항을 반영하여 전생애주기적 관리를 강조하고, ▲골다공증 예방관리에 중요한 적절 체중 유지, 영양·신체활동, 위험군에 대한 진단검사, 지속 관리를 포함하였다.

  2023년 개정된 골다공증 예방관리수칙과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성장기에 적절한 운동과 영양관리를 통해서 50대부터 시작되는 급격한 골 소실에 대비합니다.

  뼈는 청소년기를 거쳐 30대 초기 성년기까지 ‘최대 골량’을 이루게 되며, 약 35세에 총 골량이 천천히 감소하여 매 10년마다 약 3%씩 감소한다. 18~30세 사이에 칼슘을 충분히 섭취하고 운동을 하면 골 질량이 최대로 형성되어 노년기의 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저체중이 되지 않도록 적정 체중을 유지합니다.

  체중 감소는 골 감소 및 골다공증, 골절을 유발하는 요인이므로 저체중(체질량 지수가 18.5kg/m2 미만)인 경우 정상 범위가 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체중을 증가시켜야 한다.

3. 적정량의 칼슘과 비타민D를 섭취합니다.

  우리나라 성인의 1일 칼슘 권장섭취량은 700~800mg이며, 비타민D는 10~15㎍이다. 골다공증 치료를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칼슘과 비타민D를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칼슘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우유, 요구르트, 두부, 미역 및 녹색채소류 등이 있다. 비타민D는 햇빛 노출을 통해 피부에서 생성되거나 등푸른 생선, 달걀 노른자, 버섯 등 식품으로 섭취할 수 있다.

4. 술과 커피, 탄산음료를 마시지 않거나 적당량 이하로 줄입니다.

  술, 커피, 탄산음료는 마시지 않는다. 술을 마시게 될 경우 하루 1-2잔 이하로 줄이고, 커피 등 카페인 음료는 하루 2잔 이하로 줄인다. 

5. 담배는 피우지 않습니다.

  흡연은 뼈를 만드는 조골세포를 파괴하고, 칼슘 흡수를 방해하므로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금연이 필수적이다.

6. 체중부하운동과 균형운동을 가능한 한 매일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골밀도와 골질을 개선하고 근육량과 균형능력을 증가시켜 뼈를 보호하고 낙상의 가능성을 줄여 골다공증과 골절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빠르게 걷기, 가볍게 뛰기, 줄넘기, 계단 오르기 등 자신의 체중을 이용하여 뼈와 근육에 자극 및 부하를 가하는 운동(체중부하운동)을 가능한 한 매일 하루 30~60분 정도 하고, 외발서기 등 균형운동 및 자세를 바르게 하는 운동을 매일 한다.

7.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정기적으로 골밀도 검사를 받고, 그 결과를 의사와 상의합니다.

  폐경 이후 여성과 노인 남성의 경우에는 급격한 뼈 손실이 진행되어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가족력, 조기폐경, 골절 병력, 키가 줄어든 경우 등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정기적으로 골밀도 검사*를 받고 관리 방법을 의사와 상의한다.
  * 현재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54세, 66세 여자를 대상으로 골밀도 검사를 시행 중

8. 골다공증을 꾸준히 관리합니다.

  골다공증을 방치하면 치명적인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치료를 통해 골밀도가 조금 향상되었다고 해도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지 않고 꾸준히 치료해야 한다.

9.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넘어지기 쉬운 생활환경을 개선합니다.

  골다공증성 골절은 90% 이상 가량 넘어지면서 발생하므로 넘어지지 않도록 주변 환경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밝은 조명, 욕조·샤워시설 손잡이, 바닥 매트 등을 설치하고, 바닥에 장애물을 정리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등 실내 환경을 개선한다. 균형감각을 떨어뜨릴 수 있는 약(고혈압약,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등)을 복용 중인 경우 더 주의해야 한다.

10. 노년기에는 근감소를 예방합니다.

  노년기에 적절한 근육량은 근력을 유지하여 보행장애와 낙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매일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하고 1주일에 2-3회의 근력 운동을 실시하여 근감소를 예방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골다공증은 50대 이상 성인에게 많이 발생하지만 청소년기, 초기 성년기에 충분한 영양 섭취와 신체활동을 통해 뼈를 튼튼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므로 전 생애주기에 걸쳐 관리가 필요한 질환임을 강조”하면서, 

  “질병관리청은 골다공증 예방관리수칙 개정·보급뿐 아니라 일차의료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임상진료지침 개발, 건강 및 영양에 대한 조사감시 등을 통해 골다공증의 예방관리를 위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골다공증 조사를 재개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밝히고,

  “고령화로 골다공증이 급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명에 치명적인 골절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국민분들께서 개정된 골다공증 예방관리수칙을 실천하여 건강한 생활습관을 만들고, 골다공증 예방과 관리에 함께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골다공증 예방과 관리를 위한 10대 생활수칙」은 리플릿과 카드뉴스로 제작하여 질병관리청 누리집*과 국가건강정보포털**에 게재된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 : https://www.kdca.go.kr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s://health.kdca.go.kr


[ 질병관리청 2023-10-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043 9월 국외여행 소비자 상담, 전년 동월 대비 약 1.8배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0 14
13042 실내 인공암벽장, 안전한 이용 위해 안전기준 구체화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9 8
13041 코로나19 신규백신 접종 오늘부터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9 9
» ‘조용한 뼈 도둑’ 골다공증 예방관리, 일상 속 작은 실천에서 시작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9 10
13039 야외활동하기 딱 좋은 가을, 적당한 운동으로 비만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9 9
13038 ‘전동킥보드 도로’ 설계 지침 마련… ‘안전 최우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9 9
13037 공사비 분쟁 완화 지원 방안… 20일부터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9 12
13036 야외활동하기 딱 좋은 가을, 적당한 운동으로 비만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8 8
13035 열차 승차권, 다양한 앱으로 예매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8 11
13034 루테인 건강기능식품, 기능 성분 함량 일일 섭취량 충족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7 9
13033 연립,다세대,도시형생활주택 등 건설자금 지원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7 13
13032 공동주택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7 13
13031 우리 동네 경로당·어린이집 등 소규모 취약시설이 보다 안전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7 11
13030 “불법 영상·웹툰 유통 사이트, 공익신고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7 7
13029 10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6 10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