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여성가족부(장관 김현숙)는 제28회 양성평등주간을 기념하여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한 남녀의 모습을 부문별 통계로 살펴보는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을 9월 6일(수) 발표했다.

□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22년 1인 가구는 750만 2천 가구로 ‘21년 대비 4.7% 증가했고, 남성 1인 가구는 30대(22.0%), 여성은 60대(18.3%)가 가장 많았다.
 * 연령별 1인 가구 구성비(%)

 

20세 미만

20

30

40

50

60

70

80세 이상

여성

0.7

18.1

12.7

9.5

12.7

18.3

15.2

12.7

남성

0.7

18.9

22.0

16.5

17.6

15.1

6.3

3.0


 ㅇ 2022년 초혼 건수는 14만 8천 건으로, ‘21년 대비 0.6% 감소했고,  평균 초혼 연령은 남성 33.7세, 여성 31.3세로 ‘21년 대비 각 0.3세, 0.2세씩 상승했다.
* 평균 초혼 연령:(’21) 남성 33.4세, 여성 31.1세 → (’22)남성 33.7세, 여성 31.3세 

 ㅇ 2022년 다문화 가구 가구원은 115만 1천 명으로 ‘21년 대비 2.8% 증가했고, 그중 여성 가구원이 52.6%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 2022년 15~64세 여성 고용률은 60.0%로, ‘10년(52.7%) 대비 7.3%포인트(p) 상승해 처음으로 60%에 진입하였다. 

 ㅇ 2022년 여성 취업자 중 300인 이상 규모 사업체에 취업한 비율은 8.4%로 ‘10년 대비 2.8%포인트(p) 상승했고, 남성은 12.4%로 2.4%포인트(p) 상승했다.
* 취업자 중 300인 이상 사업체 비율(%):(’10) 남성 10.0, 여성 5.6 → (’22)남성 12.4, 여성 8.4

 ㅇ 2022년 여성 저임금(중위임금의 2/3 미만) 근로자는 22.8%, 남성 저임금근로자는 11.8%로 ‘10년 대비 여성은 17.0%포인트(p), 남성은 4.4%포인트(p) 감소했다. 
* 저임금근로자 비율(%):(’10) 남성 16.2, 여성 39.8 → (’22)남성 11.8, 여성 22.8

□ 2022년 육아휴직자는 약 13만 1천 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19년(10만 5천 명) 대비 남성은 약 1만 6천 명, 여성은 약 1만 명 증가했다.
* 육아휴직자(명):(‘19) 여성 82,886, 남성 22,295 → (’22) 여성 93,245, 남성 37,884

 ㅇ 2022년 남성 육아휴직자는 3만 8천 명으로 ‘19년(2만 2천 명) 대비 1.7배 증가하여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 육아휴직자 성별 구성비(%):(‘19) 여성 78.8, 남성 21.2 → (’22) 여성 71.1, 남성 28.9

 ㅇ 2022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활용한 근로자는 1만 9천 명으로  ‘19년(5천 6백 명) 대비 3.4배 증가했다.

 ㅇ 2022년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근로자는 남성(17.3%)과 여성(14.4%) 모두 ‘19년 대비 5.0%포인트(p) 이상 증가했다(남 5.1%p, 여 5.4%p).
*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19) 남성 12.2, 여성 9.0 → (’22) 남성 17.3, 여성 14.4 

□ 2022년 기준 가사분담을 ‘아내가 전적으로 책임진다’는 응답 비율이 여성(23.7%)과 남성(18.2%) 모두에서 ‘20년 대비 각 1.4%포인트(p), 2.9%포인트(p)씩 감소했다.
* (가사분담 실태) ‘아내가 전적으로 책임진다’ 응답비율(%):(’20) 여성 25.1, 남성 21.1

□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통계를 기반으로 현장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국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참고) 
ㅇ 이 자료는 공표된 자료들을 활용하여 작성하였기 때문에 각 통계에 따라 활용가능한 시계열 기간이 달라 수록된 자료의 시계열이 서로 다를 수 있음
ㅇ 각 영역별 시계열 비교 시점은 장기 추세, 코로나19, 자료 공표 시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최신 통계와 비교함
  - (인구) ‘21년 대비, (노동시장) ’10년 대비, (일·생활균형) ‘19년 대비, (사회인식) ’20년 대비



[ 여성가족부 2023-09-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6 16
12910 항공 운임 ‘총액’으로 꼼꼼하게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6 22
12909 개인투자용 국채, 확실한 자산형성 위한 새로운 선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6 45
12908 카셰어링 이용 시, 본인확인 및 외관 점검 절차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5 38
12907 2023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5 37
12906 「의료급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5 22
12905 「아동수당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5 25
12904 내 앞에 있는 전자세금계산서 진짜일까? 확인해 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5 21
12903 할부거래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5 20
12902 2021년 전체 입원환자, 암보다 손상환자가 더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4 28
12901 2023년 귀속 상반기분 근로장려금 신청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4 22
12900 우리 아이 마음 건강 돌보기, 전문의가 쉽게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4 25
12899 ‘중대재해 사이렌’의 모든 자료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홈페이지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1 46
12898 국제거래, 물품구매보다 서비스거래에서 피해경험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1 35
12897 내 혈관은 건강한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1 41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