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의 실정을 고려해 저출산 시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의 ‘지자체 저출산 시책 지원방안’을 마련,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 상정했다.

정부는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1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첫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홍윤식 행정자치부 장관이 지자체 저출산 시책 지원방안을 보고했다.

지자체 저출산 시책 지원방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출산·육아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로 했다.

다자녀 가정과 고용확대 기업에 대한 지방세 지원 확대를 검토하고, 신혼부부의 주거부담이 완화되도록 지자체 차원에서 경기도의 ‘따복하우스’와 같은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공동체 차원의 육아지원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공동체와 연계한 지역육아 네트워크를 확산할 계획이다.

둘째, 지역실정에 맞는 출산·보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축한다. 출산·보육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기 위해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를 고도화하여 통합신청 범위를 확대하고, 분산 제공되는 임신·출산·보육 등 관련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전달하도록 원스톱 지역 거점센터를 확산할 계획이다.

또한, 저출산 지역인구진단시스템을 마련하여 지역의 다양한 인구특성을 고려한 종합진단체계를 마련하고, 농촌형과 도시형 등 지역별 유형에 맞는 지역특화형 시책 모델을 개발해 지자체에 제공할 예정이다.

셋째, 지역단위 거버넌스 역량을 강화한다.

지자체별로 자체기금 조성 등을 통해 안정적인 재정기반을 확충토록 지원하고, 육아공동체 운영 등에 있어 지역공동체·자원봉사기관 등과의 민간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한편, 지자체-중앙부처-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간의 협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넷째, 지역사회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홍보도 적극 나선다.

관계부처 및 지자체간 협력을 강화하여 여성·아동 친화도시의 지정 확산을 통해 저출산 극복 분위기를 조성하는 한편, 일·가정 양립과 아이·가족의 소중함에 대한 교육·홍보도 적극 실시할 계획이다.

홍윤식 행정자치부 장관은 “지자체 저출산 위기는 지방소멸과도 밀접하게 연계된 과제로, 현장접점인 지자체의 적극적인 추진이 필요하다.”라며, “지자체가 지역별 실정에 맞게 일자리, 일·가정 양립, 출산·육아 경제적 부담 경감 등 근본적인 대책을 통해 아이 키우기 행복한 지역사회를 구현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담당 : 자치행정과 정혜원 (02-2100-4235), 김보석 (4231)

 

[행정자치부 2017-04-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23 '17.3월 전월세 거래량은 16.7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3.9%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9 76
3922 SNS 쇼핑몰에서 구입한 의류·신발 소비자피해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9 62
3921 조건부 수강료 환급형 인터넷 강의, 수강료 환급받기 쉽지 않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9 63
3920 2016년도 금융민원 및 금융상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9 51
3919 사립학교·법인 부패 신고자도 법적 보호 받아…보상금 최고 30억원 지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9 52
3918 (참고자료)제품 광고시 친환경 사유·천연 함량 표시하여 소비자 보호 강화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8 53
3917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농산물(한약재)을 식품용으로 판매한 업자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8 73
3916 암 사망률 1위 ‘폐암’, 진료 잘하는 병원은 어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8 58
3915 전국 하루 평균 교통량 전년 대비 4.2%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8 51
3914 16년 인터넷상 불법금융광고 적발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8 47
3913 한국소비자원, 어린이 안전 포스터 공모전 개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7 49
3912 어린이날 대비 어린이 기호식품 전국 일제 점검 사전 알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7 50
3911 제품 광고시 친환경 사유·천연 함량 표시하여 소비자 보호 강화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7 51
3910 AI, 구제역 방역 개선대책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7 50
» 지역맞춤형 저출산 종합 시책 본격 추진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7 49
Board Pagination Prev 1 ...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