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7월 21일(월)부터 10월 23일(목)까지 ‘2025년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주민등록지와 실거주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고 있다. 

 ○ 참여하는 국민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7월 21일(월) 9시부터 8월 31일(일) 24시까지 ‘비대면-디지털 조사(이하 ‘비대면 조사’)’를 먼저 진행한다.

 ○ 이후, 이·통장 및 읍·면·동 공무원이 거주지를 방문해 직접 확인하는 방식으로 방문 조사(9.1. ~ 10.23.)를 진행할 예정이다.

□ 비대면 조사는 조사 대상자가 본인의 거주지(주민등록지)에서 ‘정부24’ 앱에 접속한 후 사실조사 사항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대상자가 주민등록지에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을 위치기반(GPS)으로 확인하기 위해 본인의 주민등록지에서 참여해야 하며, 이 경우 주소지가 같은 세대별 1인이 세대 전체를 대표하여 사실조사 사항에 응답할 수 있다.

 ○ 맞벌이 가구와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2022년 최초로 도입된 비대면 조사는 2024년에 799만 명이 참여해, 2023년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하는 성과를 보인 바 있다.

    * ’22년20만 8,674명 → ’23년420만 9,859명 → ’24년 799만 2,460명

□ 올해는 더욱 편리하게 비대면 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본인확인 방법을 ‘간편인증’ 외에 ‘모바일 신분증*’을 추가하는 등 조사 방식을 개선했다.

    * 모바일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국가보훈등록증·재외국민 신원확인증

 ○ 또한, 비대면 조사 기간을 2024년보다 6일을 늘리고, 해당 기간 동안 ‘정부24’ 앱에 접속하면 바로 비대면 사실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전용 페이지를 운영할 예정이다.

 ○ 참고로, ‘정부24’가 ‘정부24+’로 전면 개편됨에 따라, 정부24 앱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위치정보(GPS)가 확인될 수 있도록 휴대폰 환경설정에서 정부24 앱의 위치 접근 권한을 허용해야 조사에 참여할 수 있다.

□ 비대면 조사 기간 이후 진행되는 방문 조사는 비대면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세대와 중점 조사 세대를 대상으로 실시되며, 비대면 조사에 참여했더라도 중점 조사 대상인 경우에는 방문 조사가 진행된다.

 ○ 중점 조사 대상은 ▲100세 이상 고령자, ▲5년 이상 장기 거주불명자, ▲사망의심자, ▲고위험 복지위기가구 그리고 ▲장기 미인정 결석 및 학령기 미취학아동이 포함된 세대다.

 ○ 특히, ‘복지위기가구 발굴대상자’ 중 고위험군 세대*에 해당하는 복지위기가구의 사실조사 결과는 보건복지부와 공유해 복지 사각지대를 없애고 위기가구를 지원하는 데에 활용할 예정이다.

    * 장기 체납 등 위기 징후 정보를 통해 선별된 대상자 중 연락 두절 등 사유로 보건복지부에서 조사를 요청한 세대

□ 이·통장 방문 조사 결과 실거주가 확인되지 않거나 주민등록사항이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 담당 공무원이 추가 확인 조사를 실시한다.

 ○ 사실조사 결과 주민등록사항을 고칠 필요*가 있을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최고·공고 절차를 거쳐 직권으로 수정(10.24. ~ 11.20.)하게 된다.

    * 거주지 이동 후 전입신고 하지 않은 자, 사망 후 주민등록이 말소되지 않은 자 등

□ 김민재 차관은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복지, 주택, 선거, 과세 등 다양한 정책 수립에 기본자료가 되는 중요한 조사”라며, “7월 21일부터 시작되는 2025년 주민등록 사실조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25-07-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224 민·관 합동 모니터링 통해 의료기기 온라인 불법 해외직구 막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71
15223 건강기능식품 원료 기준·규격 강화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74
15222 “Hello AI”, 나는 모바일 신분증 AI 시대, 정부와 민간이 손잡고 '나'를 디지털로 증명하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91
15221 어린이와 함께 보고·느끼고·공감하는 안전의 모든 것, 2025 어린이 안전박람회 개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62
15220 고향사랑기부로 호우피해지역의 조속한 일상회복에 동참해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101
15219 6천 원 할인받고 영화관에서 시원한 여름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83
15218 안전하고 편리한 여름 휴가길을 위한 특별교통대책을 시행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85
15217 민생회복 소비쿠폰 부정유통 관리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2 89
15216 고령소비자 이동전화서비스 피해, 계약 관련 피해가 대부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2 70
15215 국립공원공단, 무더위 쉼터 176곳 운영… 폭염 속 온열질환 예방 총력 대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1 69
15214 호우 피해지역 가전제품 무상수리팀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1 69
» 7월 21일부터 주민등록 사실조사에 참여해 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1 63
15212 외식·급식 조리식품 위생·안전기준 강화로 국민 신뢰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1 60
15211 성장호르몬 주사, 키 크는 주사가 아닙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1 48
15210 식약처, 곰탕·삼계탕 미생물 안전 가이드라인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1 36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026 Next
/ 10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