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SNS 광고, 소비자 불만 많고 청소년의 불법·유해 정보 노출 우려도 있어

- SNS 광고 차단 서비스 제공 등 선택권 확대 필요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가 효율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과도한 상업 광고와 일부 불법·유해 정보의 유통 경로로 악용되고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SNS란 사회관계망 서비스라고도 하며 이용자 간의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 그리고 인맥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시켜주는 온라인 플랫폼을 의미함.

과도한 상업적 게시물 불만, 10대의 상당수 불법·유해 정보 접해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주요 5* SNS를 이용하며 광고를 접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절반 정도가 하루 평균 최소 6편 이상의 광고를 보고 있고(47.0%, 235), 다른 매체에 비해 광고가 많다(49.6%, 248)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조사대상 SNS(5) :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밴드(서비스 개시 순)

1

소비자가 자주 접하는 SNS 광고 유형으로는 92.8%(464)상품 및 쇼핑몰 광라고 답했으며, 그 다음이 (App) 설치 광고’(72.0%, 360)였다. 특히, 25.2%(126)는 사설 도박, 음란물, 성매매 알선 등 불법·유해 정보를 접한다고 답했고, 이 중에는 10대 응답자도 27.8%(35)나 포함되어 있었다.(중복응답)

그러나 ‘SNS상 불법·유해 정보 모니터링 등 관리가 잘 되고 있다는 응답은 4.6%(23)에 불과했고, 이용하는 SNS의 신고서비스를 통해 불법·유해 정보를 신고(98)했을 때, 게시물 삭제 등 처리가 되었다는 응답은 21.4%(21)에 그쳐 사업자의 적극적인 조치가 요구되었다.

SNS 광고 차단 서비스 미비하고, 신고 메뉴 찾기 어려워

한편, SNS 상의 광고 실태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들이 불필요한 광고를 접하게 되어도 이를 차단할 수 있는 서비스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2

5개 조사대상 업체 중 광고 차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유료(30, 2,000)로 제공하는 밴드가 유일 했다. 나머지 4개 업체는 광고 숨기기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소비자가 이미 광고를 보고 난 후 해당 광고만 보이지 않게 하는 사후조치에 불과하여 광고 차단과는 거리가 있었다.

* 화면 : 밴드 앱 실행 - 설정 - 고객지원 - ADFREE 선택 화면

불법·유해 정보에 대해서는 5개 업체 모두 신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게시물 우측 상단의 작은 버튼을 눌러야 신고메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어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찾기 어려웠다.

광고 차단 서비스 제공 및 불법·유해 정보 신고 활성화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가 신뢰하고 이용할 수 있는 SNS 이용환경 조성을 위해, 해당 사업자에게 광고 차단 서비스 제공 및 신고 메뉴 개선을 권고하고, 관계 당국에 불법·유해 정보 근절을 위한 모니터링 및 감독 강화를 건의하는 등 불법·유해 정보 신고 활성화를 위한 방안 등을 모색할 계획이다.

더불어 소비자에게는 SNS상의 불법·유해 정보를 접하는 경우 해당 사업자의 신고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방송통신심의위원회(www.kocsc.or.kr)불법·유해정보 민원서비스를 통해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2016-07-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SNS 광고, 소비자 불만 많고 청소년의 불법·유해 정보 노출 우려도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6 161
2786 은행업감독규정 일부개정규정안 규정변경 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6 92
2785 금융위-금감원, 7.25.부터 대형 대부업자 등 직접 감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6 82
2784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서비스 대상범위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6 149
2783 알아두면 유용한 여름휴가철 금융정보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6 88
2782 여름 휴가철에 유행하는 보이스피싱 목소리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6 160
2781 「유방암」진료인원수 꾸준히 증가, 암검진 통한 조기발견 중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5 99
2780 금감원, 보험설계사 등 보험사기 브로커에 대한 기획조사로 혐의자 104명, 128억원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5 99
2779 여름휴가는 깨끗하고 안전한 농촌에서 힐링하며 알찬 여행 즐기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2 129
2778 이제 회사에서 인터넷으로 정부에 공문 제출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2 182
2777 주민등록증 발급사실, 문자메시지로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2 178
2776 과음 경고 문구 표시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2 100
2775 ‘16.8.12일부터 주택청약종합저축 2년이상 가입자 이자율 0.2%p(2.0%→1.8%) 인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2 81
2774 매실청, 건강에 도움 되지만 과도한 섭취 자제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2 85
2773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가입동향 및 분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2 80
Board Pagination Prev 1 ... 730 731 732 733 734 735 736 737 738 739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