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농림축산식품부(김재수 장관, 이하 농식품부)는 `16년도 제6차 농산물 수급조절위원회*(9.30, 이하 수급위원회)를 개최하여,
* 생산자 대표(마늘산업연합회, 무배추생산자연합회, 농협 등), 소비자유통업체(한국소비자단체 협의회, 한국외식업중앙회 등), 학계(KREI, 대학), 정부(농식품부, 기재부 등)
○ 폭염 등에 따른 작황악화로 가격이 급등한 고랭지 배추무 수급상황 및 대책 추진상황을 긴급 점검하고, 가을배추무 수급 전망을 통해 선제적 수급대책을 논의하였다.
1. 배추·무 수급동향 및 전망
□ (동향) 고랭지배추는 유례없는 폭염에 따른 작황 악화로 공급량이 크게 감소한 상황에 포장 김치 소비증가에 따른 김치업체의 원료 확보 등으로 배추 가격은 평년대비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 최근에는 주산지 가뭄저온 등 영향으로 준고랭지 배추 출하시기가 지연(10일)되어 9월 하순까지 가격 상승하였다가, 10월 들어 준고랭지 배추 출하가 시작되며 하락세로 전환되었다.
* 9월 하순 주산지 기온 평년(19℃)보다 높게 예보되었으나(기상청), 17℃ 수준 유지
* 배추 도매가(원/포기): (9월.상) 6,677→ (9월.중) 5,867→ (9월.하) 6,158→ (10월.상) 4,051
○ 다만, 배추 가격상승으로 최근 포장 김치가 대체 소비됨에 따른 김치업체의 원료 수요 증가로 가격 하락폭은 제한적인 상황이다.
* 도매(가락)시장의 김치업체 배추 구매비중은 전년 19%→ 금년 30% 이상
○ 무 가격도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작황 악화와 배추 가격 급등으로 인한 대체소비 증가 등으로 평년대비 강보합세이다.
□ (전망) 배추·무 가격은 10월 준고랭지 작형(배추 중순, 무 상순) 본격 출하로 현 수준에서 하락하고, 가을작형 출하가 시작되며(배추 10월 하순, 무 11월 상순)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
○ 특히, 11~12월 김장철에 소비될 가을배추·무는 현재까지 생육이 양호한 상황이고, 재배면적도 안정적인 수준을 확보하여, 향후 기상이변이 없다면 수급은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 가을배추 재배면적(12,402ha)은 공급과잉으로 가격이 하락했던 전년에 비해 2.5% 감소하고, 가을무(5,554ha)는 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 가격 강세로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증가추세를 보였다.
* 재배면적 조사(KREI): (6월) 11,935ha→ (8월) 12,240→ (9월) 12,402(전년대비 △2.5%)
□ (배추수급 구조) 월별 가격변화 패턴(`11~`15년 소비자물가지수) 분석에 따르면, 배추가격은 고랭지배추 출하기(7~10월) 상승하다, 가을배추(11~12월) 출하기 크게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 고랭지배추는 강원도 산간에서 재배되어 생산비가 높고, 재배지역이 강원도에 집중되어 집중호우, 폭염 등 일부지역의 기상악화가 전체 생산량 감소로 이어져 가격 급등이 잦은 반면,
○ 가을배추는 전국적으로 재배되어 특정지역의 작황피해가 전체 수급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고, 기상여건도 여름철에 비해 안정적이라서 가격도 하향 안정화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 또한, 가구당 월별 배추 구입액은 가을배추에(11~12월) 60% 이상 집중되어 있고, 생산량도 가을배추가 전체 배추 생산량의 67%를 차지하고 있다.

2. 배추·무 수급안정대책
□ (대책) 농식품부는 가을배추무 본격 출하 전까지, 정부 보유물량(고랭지)을 시장에 집중 공급하여 수급불안을 최소화하고, 김장철 수급안정을 위해 배추무 수급조절 물량을 사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공급조절물량 확보) 10월 중순까지 생산안정제(잔량 배추 680톤), 출하안정제(잔량 배추 4,800톤, 무 830) 및 상시비축 물량(월 배추 2,500톤, 무 900)을 시장에 집중공급하고,
- 가을배추·무 상시비축(월 배추 3,400톤, 무 900) 및 출하안정제(배추 52,000톤, 무 1,600) 물량을 사전에 확보하여 김장철 수급불안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모니터링 강화 및 안정생산 지원) 태풍, 이상저온 등에 따른 작황악화에 대비하여 현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농가 재배기술 지도 강화를 통해 신속한 회복을 지원할 계획이다.
- 농업관측본부(KREI) 산지기동반 특별 운영(~12월)을 통해 작황 및 시장 동향을 수시점검하고, 속보발행을 통해 수급정보를 실시간 제공하고,
- 고랭지작형에서 운영 중인 병해충·시설 전문가 현장기술단(농진청, 농업기술센터)을 가을작형에 확대하여 운영할 예정이며, 기술 지원자료 및 리플릿 배포 등을 통해 안정생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할인판매 등) 코리아 세일 페스타와 연계한 배추 등 할인공급을 통해 소비자의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한 노력도 병행할 예정이다.
* 하나로마트 등 농협계통 매장 배추 49% 할인(10.6∼16, 10.20∼30)
- 특히, 10월 중순 이후에는 배추무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소비자들도 구매 시기를 조절 하는 등 합리적 소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농식품부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정부 보유 물량을 도매시장에 집중 공급하고, 민간 저장물량의 출하를 유도하여 수급불안을 최소화 할 계획”이라고 말하며,
○ 가뭄, 폭염 등 기상이변으로 수급불안이 잦은 고랭지 채소의 근본적 수급안정을 위해 고랭지 생산단지에 다단양수, 대형저수조 등 용수개발사업 등 기반 시설을 확충하고,
* 안반데기지구 용수개발사업 추진(`15.9∼, 총 63억원) 통해 양수장 4개소, 저수조 6개, 송급수관로 20km 등 설치 중(공정률 90%), `17년부터 활용 가능
○ 기상이변, 기후변화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기후변화 대응 특별대책」마련, 농업관측 고도화와 생산안정제 확대 등 수급안정제도 체계화를 통해 구조적인 수급불안 문제를 해소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2016-10-0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80 한미약품 올리타정(올무티닙) 말기암 환자 치료 고려 제한적 사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5 96
» 김장철 배추·무 수급 큰 문제 없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5 85
3078 세살 암 예방 버릇을 여든까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5 72
3077 우리 집에 하자 발생하면 이렇게 대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5 84
3076 프로야구 경기장 판매 조리식품 안전기준에 적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5 71
3075 반영구화장용 문신 염료, 유해물질 다량 검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5 79
3074 신용카드 여러 장 분실하셨어요? 전화 한 통이면 해결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5 275
3073 “새마을금고 가계대출 관리 대폭 강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4 166
3072 건강한 겨울나기 준비! 2016-2017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4 62
3071 ‘4시간 운전 후 30분 휴식’ 등 버스차량의 안전이 강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4 96
3070 '16년 8월 항공여객 986만 명으로 20.1%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4 95
3069 '결제와 현금을 동시에'(캐시백서비스) 도입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4 88
3068 민관합동조사반, 코웨이 3종 얼음정수기 제품 결함 조사 결과 발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30 83
3067 허용되지 않은 원료가 함유된 치약제 회수 관련 질의·응답(참고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30 69
3066 ‘가을 정취를 느끼기 좋은 농촌관광코스 10선’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30 90
Board Pagination Prev 1 ...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