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식약처·해수부 등 관계부처 합동 단속 결과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지난 6월과 7월 해양수산부(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경찰청 및 지방자치단체와 합동으로 젓갈 제조업체 및 판매업체 931개소를 단속한 결과,「식품위생법」등 관련 법령을 위반한 36개소를 적발하였다고 밝혔다.
○ 이번 단속은 다소비 식품 중 하나인 젓갈의 위생적 제조와 원산지 표시 준수 의무를 정착시켜 젓갈에 관한 국민들의 걱정을 해소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 단속 대상은 5대 젓갈전문시장(강경, 광천, 곰소, 소래포구, 외포항)의 제조업체 88개소 및 판매업체 356개소, 과거 언론에 거론된 적이 있는 지역(기장, 여수, 군산, 제주 등)에 있거나 최근에 단속을 받지않았던 제조업체 241개소 및 판매업체 246개소였다.
○ 주요 적발 내용은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13개소) ▲자가품질검사 미실시(10개소) ▲무등록영업(1개소) ▲시설기준 위반(2개소) ▲생산기록 미작성(4개소) ▲기타(6개소) 등 이었다.
- 이번에 적발된 36개 업체에 대해서는 올해 중으로 개선 여부 확인을 위한 추가 단속을 실시하고, 개선의지가 없거나 중대한 위반행위를 반복하는 업체에 대하여는 영업등록 취소 등 퇴출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 식약처는 이번 단속을 통해 중소형 젓갈 업체도 재래식 젓갈 숙성탱크를 개량하거나 해충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설비를 보강하는 등 제조환경을 정비하고, 주기적인 청소를 생활화하는 등 업계의 노력이 가시화되어 젓갈 위생 수준이 개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 젓갈업체 위생법규 위반율: (’14)10.9%(339개소 점검, 37개소 적발) → (’15)5.3%(740개소 점검, 39개소 적발) → (’16)3.9%(931개소 점거, 36개소 적발)
○ 특히, 부안 곰소지역 업체들은 젓갈 숙성 탱크를 현대화하고, 논산 강경지역 업체들은 지자체와 협력하여 판매시설 위생상태 및 원산지 위·변조 등을 수시로 자체 점검하는 등 각 지역별로 취약한 부분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식약처는 앞으로도 젓갈 제조업체 및 판매업체의 위생 수준 향상을 위해서 영업자에 대한 지도·교육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단속을 통해 비위생적인 젓갈 제조‧판매 행위를 근절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아울러, 다소비 식재료인 고추, 계란 등과 관련된 불법행위들을 근절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지도·단속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국민들이 식품 관련 불법 행위를 목격할 경우 국번없이 신고전화 ‘1399’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8-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03 금융꿀팁 200선 - (1)현명한 신용관리요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7 98
2902 '16년 상반기 대포통장 발생현황 분석 및 대응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7 112
» 젓갈 제조업체 등의 위생 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있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6 85
2900 여름 감기로 착각한 ‘바이러스 수막염’, 60%가 10세 미만 아동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6 102
2899 '16.7월 전월세 거래량은 11.0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10.1%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6 105
2898 '16.7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9.6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13.6%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6 107
2897 공정거래조정원, 상반기 분쟁조정 971건 처리, 피해구제 성과 490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6 73
2896 2016년도 2/4분기 다단계 판매업자의 휴·폐업 등 주요정보 사항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6 112
2895 기능성화장품 범위 확대로 다양한 소비자 요구에 맞는 프리미엄 화장품 육성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2 116
2894 감기에 항생제 필요 없다! 5년 후에는 감기 항생제 처방, 절반 수준으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2 88
2893 일선 의사에게 신종감염병 정보 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2 78
2892 발달장애인 행동문제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가 쉬원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2 94
2891 택배서비스에 대한 평가 기준 마련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2 79
2890 국제에듀케이션, 계약해지 관련 피해 다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2 83
2889 전자금융거래가 더욱 안전하고 편리해집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2 78
Board Pagination Prev 1 ...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