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7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령자 낙상사고 주로 '침대'에서 발생
- 골절, 뇌출혈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져 -

고령자 낙상사고는 골절, 뇌출혈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재활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대부분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올바른 정보 제공을 통한 사전 예방이 더욱 중요하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과 위해정보제출기관*인 가천대 길병원(병원장 이근)은 고령자 낙상사고 위해사례를 분석하여 소비자안전주의보를 공동으로 발령했다.

* 위해정보제출기관 : 「소비자기본법」 제52조 및 동법 시행령 제39조에 따라 위해정보 제출이 의무화된 기관(병원 62개·소방서 18개)

CISS(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검색조건


□ 위해다발 품목 1위는 ‘침대’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3년 간(2013~2015)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65세 이상 고령자 낙상사고 위해사례 총 1,250건을 분석한 결과, 2013년 294건, 2014년 402건, 2015년 554건으로 매년 35%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 품목으로는 ‘침실가구’가 587건(47.0%)으로 나타났고, 특히 ‘침대(581건, 99.0%)’에서 떨어진 경우가 많았다. ‘의료용구(100건, 8.0%)’가 원인이 되는 경우에도 ‘의료용 침대’에서 떨어진 사고가 60건(60.0%)에 달했다.

□ 고령자 중상해 사고비율, 전체 연령대 대비 3.5배 높아

치료기간이 확인되는 376건을 분석한 결과, ‘1개월 이상의 치료기간이 소요된 중상해 사고’는 49건(13.0%)으로 전체 중상해 사고비율(3.7%)보다 약 3.5배 높았으며, 사망 사고는 2건(0.5%)으로 전체 사망 사고 발생비율(0.05%)의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낙상사고 시 ‘골절’, ‘뇌출혈’ 많이 발생

한편, 가천대 길병원에 따르면 고령자 낙상 시 ‘골절(179건, 50.3%)’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골다공증에 의한 정상적인 골조직 감소, 골절에 대한 저항력 감소 등이 주 원인이다.

또한, ‘뇌진탕·뇌출혈(71건, 19.9%)’ 발생비율도 높았는데, 머리 손상 시 사망률이 다른 연령군보다 4배 정도 높아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낙상사고를 당한 고령자는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고령자 본인 및 보호자, 의료기관 종사자 등은 안전사고 예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소비자원과 가천대 길병원은 고령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특히 침대 사용 시 추락으로 인한 낙상사고에 주의하고 ▲가급적 낮은 높이의 침대를 사용하며 ▲ 안전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고령자 안전에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6-12-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94 웨딩박람회에서의 계약도 청약철회 할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4.09.20
3493 원자재 ETF,ETN 투자유의 관련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1 2022.03.17
3492 원료 함량이 승인 배합량과 다른 마쓰다 입욕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2.08.23
3491 원료 원산지 정보 잘못 기재한 불독(ブルドック) 오꼬노미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8 2021.01.27
3490 원료 봉투에 이물질이 혼입된 유카리도제과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4.11.21
3489 원금보장·고수익으로 당신의 재산을 노리는 유사수신업체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5.02.11
3488 웁스(WHOOPS)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0 2024.01.23
3487 우유 성분이 실제보다 적게 표기되어 알레르기 발생 위험이 있는 초콜릿 제품 판매 중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13 2016.06.09
3486 우유 성분 미표기한 비타민제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10 2017.03.06
3485 우유 성분 미표기로 알레르기 위험 있는 UpSpring 영유아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0.10.05
3484 우유 성분 미표기로 알러지 위험 있는 Black Instant Coffee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43 2015.05.22
3483 우유 성분 미표기된 쿠키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0 2017.03.06
3482 우유 성분 미표기된 초콜렛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7 2017.03.06
3481 우유 성분 미표기된 Nature’s Way 어린이 영양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0.11.23
3480 우수판매업소 지원 확대 및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7 2016.07.26
3479 우센지코리아 / 화청주식회사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5 2022.06.14
3478 우리의 안전은 우리가 지켜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3 2017.02.24
3477 우리 동네 교통사고 줄이는 교통안전시설 대폭 확충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8.09.20
3476 우대금리 금융상품 가입시 소비자 유의사항 - 소비자경보 “주의”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11.24
3475 우간다 마버그열 환자 발생, 여행자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2 2017.10.25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257 Next
/ 25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