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면역기능 개선 제품, 비타민 제품 성장세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지난 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은 1조 8,230억원으로 ’14년(1조 6,310억원)에 비해 11.8% 증가하였으며, 건강기능식품 생산은 ’11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 7.4%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 생산실적(억원): 13,682(’11)→14,091(’12)→14,820(’13)→16,310(’14)→18,230(’15)
○ 특히, 지난 해 일명 가짜 백수오 사건에도 불구하고 일상 속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로 면역기능 개선 제품이나 비타민 등과 같은 영양보충용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이 생산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 ’15년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는 2조 3,291억원으로 ’14년(2조 52억원)에 비해 16.2%가 증가하였으며, ’11년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 국내 시장규모: 생산+수입-수출
※ 국내 시장규모(억원): 16,855(’11)→17,039(’12)→17,920(’13)→20,052(’14)→23,291(’15)
- 수출은 904억원으로 ’14년(670억원)보다 34.9% 증가하였으나, 수입 또한 5,965억원으로 ’14년(4,412억원)보다 35.2% 증가하여 무역 적자규모가 5,061억원으로 ‘14년(3,742억원)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난 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주요 특징은 ▲건강기능식품 생산 지속적인 증가 ▲면역기능 개선 제품과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의 생산 큰 폭 상승 ▲다양해지는 개별인정형 제품 판매 등이었다.
※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고시된 품목 이외에 안전성, 기능성을 개별로 인정받은 원료로 제조한 건강기능식품(당귀혼합추출물,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 등)

〈 건강기능식품 생산 지속적인 증가 〉
○ ’15년 국내 제조업 GDP의 전년 대비 성장률은 2.3%인데 비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은 11.8% 증가하여 고속 성장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 2015년 국내 제조업 GDP 2.3% 성장[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2016.7]
○ 품목별로는 홍삼제품의 생산실적이 6,943억원으로 전체 생산실적(1조 8,230억원)의 38.1%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나, ‘11년 이래 점유율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 홍삼제품 점유율: (’11) 7,191억원(52.6%) → (’12) 6,484억원(46%) → (’13) 5,869억원(39.6%) → (’14) 6,330억원(38.8%) → (’15) 6,943억원(38.1%)
- 홍삼제품 다음으로는 개별인정형 17.5%(3,195억원), 비타민‧무기질 11.4%(2,079억원), 프로바이오틱스 8.7%(1,579억원), 밀크씨슬추출물 3.9%(705억원) 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 업체별로는 ㈜한국인삼공사(5,229억원)가 ’04년부터 ’15년까지 계속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야쿠르트(871억원), 고려은단㈜(862억원), 주식회사 노바렉스(805억원), 콜마비앤에이치(주)선바이오텍사업부문(793억원) 등의 순이었다.
- 지난 해 비타민 제품 및 면역기능 개선 제품의 판매 증가로 고려은단(주)(’14년 12위)과 콜마비앤에이치(주)선바이오텍사업부문(’14년 8위)이 상위 5개 업체에 새로 진입하였다.
○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수는 487개소로 ’14년(460개소) 대비 6% 증가하였고, 이 중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 지정업체는 ’14년 208개소에서 지난 해 216개소로 늘어났으며 전체 생산액(1조 8,230억원) 중 91.9%인 1조 6,751억원을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 면역기능 개선 제품과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의 생산 큰 폭 상승 〉
○ 지난 해에는 면역기능 개선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여 ’11년 이후 감소 추세였던 홍삼제품의 생산실적이 6,943억원으로 ’14년(6,330억원)에 비해 9.7% 증가하였으며, 특히 개별인정형 원료인 당귀혼합추출물의 생산실적은 ’14년 396억원에서 ’15년 714억원으로 80% 급증하였다.
- 또한, 일상에서 섭취하기 어려운 영양소 보충 등을 위한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여 해당 제품들의 생산실적이 ’14년 1,415억원에서 ’15년 2,079억원으로 47% 증가하였다.
○ 이러한 증가세는 일상 속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면역 기능 개선 제품과 영양보충용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
○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에 대한 수요증가는 수입에서도 나타나,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의 ’15년 수입액은 2,791억원으로 ’14년(1,945억원)에 비해 43.5% 증가하였으며 전체 건강기능식품 수입액 중 46.8%를 차지하였다.

〈 다양한 개별인정형 제품 판매 〉
○ 지난 해 개별인정형 제품의 생산은 3,195억원으로 ’14년(3,177억원)에 비해 0.6% 증가에 그쳤다.
- 이는 지난 해 일명 가짜 백수오 사건으로 백수오등복합추출물의 생산실적이 380억원으로 ’14년(1,193억원)에 비해 급감한 것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 개별인정형 생산액(%는 전년대비 증가율): (’11)1,433억원→(’12)1,807억원(26%)→(’13)2,324억원(29%)→(’14)3,177억원(37%)→(’15) 3,195억원(0.6%)
○ 지난 해 생산 실적 중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은 당귀혼합추출물(면역기능)이 714억원으로 1위(22.3%)를 차지하였으며, 백수오등복합추출물(갱년기 여성건강) 380억(11.9%), 황기추출물등복합물(키 성장) 266억원(8.3%),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간 건강) 255억원(8.0%), 미역 등 복합추출물(체지방 감소) 183억(5.7%) 등의 순이었다.
- 개별인정형 제품 상위 5개 제품의 비중은 56.3%(1,799억원)으로 ’14년 상위 5개 제품이 70%를 차지하던 것에 비해 대폭 감소하였다.
○ ’15년 총 89 종류의 개별인정형 제품이 판매되어 ’14년 77 종류, ’13년 78 종류에 비해 다양한 개별인정형 제품들이 생산‧판매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관심이 다양한 제품(기능성)으로 분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특히, ’15년부터 판매된 황기추출물등복합물(키성장, 266억), 와일드망고종자추출물(체지방 감소, 173억)이 상위 10개 제품에 포함되었다.
- 미역 등 복합추출물(체지방 감소)이 190%(’14년 63억→’15년 183억), 과채유래유산균(피부건강)이 96%(’14년 57억→’15년 112억), 당귀혼합추출물(면역기능 개선)이 80%(’14년 396억→’15년 714억)로 생산실적이 급성장하였다.

□ 식약처는 소득 증가에 따른 건강중시형 소비 증가로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꾸준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앞으로 건강기능식품 산업 발전을 위해 기능성 평가 체계 개선, 기능성 원료 개발 기술지원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8-1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95 '안전한(韓)-TV'에서 「안전골든벨」 도전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7 15
2794 여름방학 중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HPV) 무료 예방접종 놓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7 15
2793 장애인등편의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19 15
2792 중증장애아동을 위한 돌봄서비스 지원시간 확대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8 15
2791 부패신고자 보호·보상 강화한 ‘부패방지권익위법’ 5일부터 본격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5 15
2790 지방 투기과열지구 해제 등 규제지역 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1 15
2789 2022년 5월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16 15
2788 스포츠클럽법 시행으로 누구나 일상에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환경 만든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16 15
2787 비엠더블유·볼보트럭·마세라티·볼보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16 15
2786 “사유지를 공원으로 무단 사용하면서 사용료 내지 않는 것은 부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0 15
2785 국민권익위 경찰옴부즈만, “올 한해 교통민원 중 교통안전시설 설치·개선 요구 가장 많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3 15
2784 국민권익위, “면책 결정 시 개인회생개시결정 이후 발생한 국세체납액 가산금 감면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0 15
2783 국세청, 취업 후 학자금 상환 누리집 새롭게 개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0 15
2782 한국소비자원의 서비스 비교정보, 소비자의 선택에 영향 미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3 15
2781 고령자용.암환자용 맞춤형 특수식품 나온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30 15
Board Pagination Prev 1 ... 735 736 737 738 739 740 741 742 743 74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