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최근 날씨가 추워지며 전기장판·난로 등 전열기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 시 화재 안전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 최근 3년(’22~’24)간 전기장판*과 전기난로** 관련 화재는 총 1,411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16명이 사망하고 131명이 부상을 입었다.

    * 전기장판, 전기담요, 전기방석류 포함       ** 전기히터, 전기스토브 

 ○ 시기별로는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12월과 1월에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 원인별로는 전기장판과 전기난로 모두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가장 많았다.

   - 부주의로 인한 화재 중, 전기장판은 취급 부주의가 대부분(298건, 87%)을 차지했다. 

   - 전기난로는 종이나 옷 등 불에 타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면서 발생한 화재(200건, 51%)가 가장 많았으며, 취급 부주의(145건, 37%), 
      화원방치(31건, 8%)가 그 뒤를 이었다.


□ 전열기를 사용할 때는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 전열기는 무엇보다 과열로 인한 화재에 주의한다.


    - 특히, 외출 등으로 오랜 시간 자리를 비우거나 사용을 마친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플러그를 뽑는다.


    - 부득이하게 전열기를 높은 온도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시간설정(타이머) 기능을 활용해 일정 시간마다 사용을 멈춘다.


  ○ 보관 중인 전열기를 꺼내 사용할 때는 플러그와 전선, 열선 등이 늘어나거나 벗겨진 곳은 없는지 먼저 살핀다.


   - 사용 중 전선이나 플러그에 균열, 변색, 과열로 탄 자국 등을 발견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가에게 점검을 맡긴다.


  ○ 전기장판은 바닥면이 접히거나 무거운 물체에 눌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이불을 과하게 덮어 열이 축적되지 않도록 조심한다.


    - 또한, 온도조절기 등 조작부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잠자리에 들기 전에는 시간설정 기능을 활용해 장시간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 전기난로는 주변에 불이 붙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정리를 철저히 한다.


    - 난로는 기울어지거나 넘어졌을 때 전원이 차단되는 기능이 있는 것이 안전하다.


□ 황기연 예방정책국장은 “겨울철은 실내 전열기 사용이 급격히 늘어나는 시기인 만큼, 전열기로 인한 화재 발생에 각별히 유의하며 안전한 겨울 보내시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행정안전부 2025-11-26 ]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