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최근 날씨가 추워지며 전기장판·난로 등 전열기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 시 화재 안전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 최근 3년(’22~’24)간 전기장판*과 전기난로** 관련 화재는 총 1,411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16명이 사망하고 131명이 부상을 입었다.

    * 전기장판, 전기담요, 전기방석류 포함       ** 전기히터, 전기스토브 

 ○ 시기별로는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12월과 1월에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 원인별로는 전기장판과 전기난로 모두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가장 많았다.

   - 부주의로 인한 화재 중, 전기장판은 취급 부주의가 대부분(298건, 87%)을 차지했다. 

   - 전기난로는 종이나 옷 등 불에 타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면서 발생한 화재(200건, 51%)가 가장 많았으며, 취급 부주의(145건, 37%), 
      화원방치(31건, 8%)가 그 뒤를 이었다.


□ 전열기를 사용할 때는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 전열기는 무엇보다 과열로 인한 화재에 주의한다.


    - 특히, 외출 등으로 오랜 시간 자리를 비우거나 사용을 마친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플러그를 뽑는다.


    - 부득이하게 전열기를 높은 온도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시간설정(타이머) 기능을 활용해 일정 시간마다 사용을 멈춘다.


  ○ 보관 중인 전열기를 꺼내 사용할 때는 플러그와 전선, 열선 등이 늘어나거나 벗겨진 곳은 없는지 먼저 살핀다.


   - 사용 중 전선이나 플러그에 균열, 변색, 과열로 탄 자국 등을 발견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가에게 점검을 맡긴다.


  ○ 전기장판은 바닥면이 접히거나 무거운 물체에 눌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이불을 과하게 덮어 열이 축적되지 않도록 조심한다.


    - 또한, 온도조절기 등 조작부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잠자리에 들기 전에는 시간설정 기능을 활용해 장시간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 전기난로는 주변에 불이 붙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정리를 철저히 한다.


    - 난로는 기울어지거나 넘어졌을 때 전원이 차단되는 기능이 있는 것이 안전하다.


□ 황기연 예방정책국장은 “겨울철은 실내 전열기 사용이 급격히 늘어나는 시기인 만큼, 전열기로 인한 화재 발생에 각별히 유의하며 안전한 겨울 보내시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행정안전부 2025-11-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370 무신고 수입 ‘밀랍랩’ 회수 조치 new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1.28
5369 중금속 기준 초과 검출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new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1.28
5368 소비기한 경과 원료 사용 식품 회수 조치 new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1.28
5367 유사 콘도회원권, 소비자 기만 상술로 인한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5.11.27
» 전기장판·난로 화재 안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5.11.26
5365 이물 혼입된 ‘혼합음료’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5.11.26
5364 중고 스마트폰, 최근 미배송 등 소비자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5.11.24
5363 주요 분쟁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자동차 시세하락 손해 관련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5.11.24
5362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볶음땅콩'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5.11.21
5361 서울시 헬스장 피해 증가...“환불 규정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5.11.20
5360 온열 기능 다리 마사지기, 저온화상·피부손상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5.11.20
5359 세균수 초과 검출된 ‘영.유아용 이유식’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5.11.19
5358 해외 파생상품 투자자는 상품구조 및 위험을 충분히 이해하고 투자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5.11.17
5357 고령자, 버스·지하철 이용 시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5.11.14
5356 청소년 비만치료제, 비만 환자만 사용해야 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5.11.14
5355 쉽고 간편한 오픈뱅킹, 보이스피싱이 염려된다면” 오픈뱅킹 안심차단서비스로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5.11.14
5354 고령자,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 시 안전사고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5.11.12
5353 안과 질환 유발 가능성이 있는 Trucosmetics 아이래쉬 세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5.11.12
5352 제품 풍미가 변질된 카페오레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5.11.12
5351 전문의약품 성분(비마토프로스트)이 검출된 화장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5.11.1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9 Next
/ 26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