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3월 말부터 13개 검역 구역(공항 및 항만)과 남부지역 4개 시도(제주, 부산, 경남, 전남)를 시작으로 2025년 국내 감염병 매개모기 감시사업을 시행한다.

모기가 전파하는 주요 감염병은 일본뇌염, 말라리아, 뎅기열, 황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웨스트나일열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감염병을 매개 할 수 있는 모기는 전국적으로 서식하고 있다.

국내 모기 매개 감염병으로는 일본뇌염과 말라리아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집중 감시를 수행하는 한편, 뎅기열 등 해외 감염병의 유입에 대비하여 전국적인 매개체 감시 사업도 매년 수행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서는 매개모기감시를 위해 국방부, 농림축산식품부, 지자체(보건환경연구원, 보건소) 및 민간(기후변화 거점센터)과 협력하여 3월부터 10월까지 전국 169개 지점*에서 감시를 수행한다.
  * 질병관리청(13개), 국방부(21개), 농림축산식품부(18개), 보건환경연구원(14개), 보건소(70개), 기후변화 거점센터(33개) 

감시사업에서는 유문등*을 이용하여 채집된 모기를 모기 지수**로 환산하고, 발생 변화(평년, 전년, 전주 대비 변화)를 확인하여 유전자검사를 통해 병원체 감염 여부를 조사한다.
  * 야행성 곤충이 좋아하는 350~370nm 파장의 빛을 내보내 모기를 유인하여 포집하는 기구
  ** 모기지수(Trap Index, TI) = 채집된 모기 수 / 유문등 수 / 채집 일 수

모기 지수 및 병원체 확인 결과 등을 기준으로 모기 방제와 예방을 위한 주의보 및 경보를 발령하고, 감시사업 결과는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에서 ‘병원체 및 매개체 감시 주간 정보’ 등으로 공개한다.
  * 질병관리청 감염병누리집/발간자료/실험실소식지 : http://www.npt.kdca.go.kr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기후변화에 따라 우리나라가 아열대화 되어가면서 모기 발생 시기가 점차 빨라지고, 발생량 또한 증가하고 있다”고 밝히며,

“질병관리청에서는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적극적인 매개모기 감시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누리집 등을 통해 제공하고 있으니, 지자체 등에서는 모기감시 정보를 바탕으로 유충 발생 지점 등에 대한 집중 방제를 수행하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예방 홍보·교육을 통해 매개모기 감염병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5-03-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39 악성민원 대응 공무원 보호를 위한 현장 조치 차질없이 안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5 11
14738 놀이공원 일회용컵 “이제 안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5 12
14737 2024 한국의 사회지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5 11
14736 「국어기본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에 발맞춰, 이해하기 어려운 정책용어 개선에 힘쓴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5 11
14735 하도급 거래의 부당한 특약 무효화 등 41개 법률공포안 국무회의 상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5 11
14734 부가통신 서비스 장애, 고지 의무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5 11
14733 불법스팸 문자, 스마트폰에서 알아서 거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5 11
14732 생활 속 불편함, 표준으로 해소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5 10
14731 올해 첫 청년, 신혼ㆍ신생아 매입임대주택 27일부터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5 9
14730 어린이 대상 ‘환경보건이용권’ 첫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4 9
14729 우리나라 결핵환자 13년 연속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4 6
» 이제 겨울 끝! 모기 감시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4 9
14727 휴대전화 개통 시 신분증 확인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4 8
14726 ‘25년 상반기 공동주택 하자 판정 상위 건설사 명단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4 7
14725 “1년 중 산불 민원의 절반이 봄철에?”… 국민권익위, ‘민원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3.24 6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990 Next
/ 99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