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지난주 대비 73% 증가, 특히 아동·청소년(7~12세, 13~18세) 에서 유행기준(6.5명/1,000명)의 13.4배(86.9명)·10.4배(67.5명) 발생 
-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 검사없이도 항바이러스제 요양급여 적용
 * 소아, 임신부,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대사장애, 심장질환, 폐질환, 신기능장애 등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적극 참여 및 호흡기감염병 예방 수칙 준수 당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아동·청소년 중심의 인플루엔자 유행이 급증하여 최근 5년 동기간 대비 최대규모로 발생하고 있기에, 전 국민이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것을 당부하였다. 
 * 10월 4주 인플루엔자의사환자 분율: (’18)4.9명, (’19)4.5명, (’20)1.7명, (’21)1.6명, (’22)7.6명, (’23)32.6명

 10월 4째주(10.22.∼10.28.) 기준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호흡기감염병 의원급 표본감시 결과, 방문 외래환자 천 명당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은 32.6명으로 전주(10.15.~10.21) 대비 73% 증가하였다. 이 수치는 ’23~’24절기 인플루엔자 유행 기준**의 5배에 해당하고, 지난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19~’20절기 12월 2째주(12.8.∼12.14.) 기록된 28.5명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Influenza-like illness, ILI): 38.0℃ 이상 갑작스런 발열, 기침 또는 인후통이 있는 사례

  연령대별*로는 아동·청소년에서 인플루엔자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10월 4째주(10.22.∼10.28.) 기준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발생은 7∼12세(86.9명), 13∼18세(67.5명), 19∼49세(30.3명)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7-12세(86.9명) > 13-18세(67.5명) > 19-49세(30.3명) > 1-6세(27.9명) > 50-64세(12.6명) > 0세(9.0명) > 65세 이상(6.0명) 

  또한, 인플루엔자는 입원환자와 중증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 중에서도 큰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어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10월 4째주(10.22.∼10.28.)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전국 급성호흡기감염병 표본감시 병원(218개)에 입원한 환자의 35.0%, 상급종합병원급(42개소)에 입원한 중증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의 39.0%가 인플루엔자 환자로 확인되었다.     
  * 최근 4주 입원환자 중 인플루엔자 비율:14.2% → 20.2% → 28.6% → 35.0%
 ** 최근 4주 중증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 중 인플루엔자 비율: 13.9% → 10.3% → 29.2% → 39.0%

  한편, ’23-’24절기 유행주의보가 이미 발령(9.15.)되었기 때문에 인플루엔자 고위험군* 환자에게 적용하는 항바이러스제에 대해서는 검사 없이도 요양급여가 인정되고 있다. 
* 소아, 임신부,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대사장애, 심장질환, 폐질환, 신장기능 장애 등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현재 인플루엔자 유행은 과거 겨울철 유행의 증가세가 지금 시작되고 있는 양상으로 9월말부터 시행중인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특히, “어린이(6개월~13세)의 경우 백신 접종률이 47.5%(11.2. 기준)로 전년 동 기간(51.8%) 대비 접종률이 낮아(붙임 4 참고) 적극적인 예방접종 참여로 대비가 필요함을 구체적으로 강조”하면서,                     

  “단체생활을 하는 아동·청소년의 유행이 예년에 비해 높은 수준임을 감안하여, 아동·청소년은 고위험군이 아니더라도 예방접종에 반드시 참여하고, 일상생활에서 기침예절을 실천할 수 있도록 부모님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더불어 “호흡기증상이 있는 경우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고, 대중교통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방문하는 경우 가급적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권고하였다.  


[ 인플루엔자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 수칙 ]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받기
  - 해당 대상자는 접종 시기에 맞춰 접종하기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용변 후 등

○ 기침 예절 실천(붙임 5) 준수하기
  ①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②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③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④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실내에서는 자주 환기하기

○ 발열 및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 받기  


[ 질병관리청 2023-11-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71 수분으로 변질된 Bio Ceuticals 프로바이오틱스(함량 미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2.03.07
2570 고용량의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함유한 불법 대마 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22.03.07
2569 에틸렌옥사이드가 허용치 초과 검출된 Cartimax 반려동물 식이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2.03.07
2568 에틸렌옥사이드가 허용치 초과 검출된 Indomie 라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2.03.07
2567 허용치 이상의 니코틴 함유한 Elf Bar 1500 일회용 전자담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9 2022.03.07
2566 알레르기 유발 성분(땅콩) 미표기된 Tohato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2.03.07
2565 알레르기 유발 성분(겨자, 황산염ㆍ이산화황) 미표기된 OPies 호두 피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2.03.07
2564 건전지가 쉽게 분리되어 질식의 위험 있는 피아노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2.03.07
2563 일부 부품 쉽게 분리되어 질식 위험있는 Wearxi 농구골대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3.07
2562 절연 미흡으로 감전 위험 있는 Out Well 전기아이스박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2.03.07
2561 ‘노스페이스’ 사칭 해외 온라인 쇼핑몰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2.03.04
2560 해빙기, 얼음판 출입에 각별히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2.02.24
2559 대광프라자몰 / DG프라자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8 2022.02.24
2558 코로나19 관련 자가검사키트 공급,구매 및 정책지원금 안내 등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2.02.24
2557 식품 중 '신종 패류독소' 오염수준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22.02.23
2556 식용불가 '나비완두콩 꽃' 사용 음료 섭취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2.02.23
2555 신덕종합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6 2022.02.23
2554 청년층 대상 고액 아르바이트 사칭 현금 수거책 모집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2.02.22
2553 절대로 신분증.신용카드 사진을 보내지 마세요.-질병관리청 사칭, 지원금 지급한다며 신분증.신용카드 사진 요구한 사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2.21
2552 갑작스러운 추위에 한랭질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2.02.16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