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2년 상반기에 발생한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를 국가손상정보포털을 통해 공표(6.28.)한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2008년부터 급성심장정지조사를 도입하여 전국 규모의 병원 밖 급성심장정지 발생 현황 조사감시 사업을 추진해왔다(붙임 1 참고).


  그 결과로 연 단위 통계를 생산해왔으나, 코로나19 유행 이후의 의료환경 변화와 통계 이용자의 수요 등을 고려하여 올해부터는 공표 주기를 1년(연 1회)에서 반기(연 2회)로 단축하기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2022년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부터 반기별로 통계가 공표된다. 


  급성심장정지는 심장 활동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로, 2022년 상반기에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전체 17,668명이었고, 이 중 17,596명(99.6%)에 대한 조사가 완료되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①주요 발생원인으로는 심장병 등 질병(80.1%)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질병 외로는 추락(4.7%)으로 인한 발생이 많았다. ②발생장소는 비공공장소에서 주로 발생하였는데, 특히 가정에서의 발생이 7,946건(45.2%)으로 가장 많았다(붙임 2 참고).


  2022년 상반기에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중 ③생존 상태로 퇴원한 환자(생존율)는 7.3%였으며,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④뇌기능이 회복된 상태로 퇴원한 환자(뇌기능회복률)는 4.6%였다.


  한편, ⑤일반인*에 의해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는 4,455건(29.2%)이었다. ⑥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환자 4,455명 중 생존자는 504명(생존율 11.3%)이었으며, 시행되지 않은 환자 1,748명 중 생존자는 100명(생존율 5.7%)이었다. 


  또한, ⑦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환자 4,455명 중 뇌기능이 회복된 자는 357명(뇌기능회복률 8.0%)이었으며, 시행되지 않은 환자 1,748명 중 뇌기능이 회복된 자는 57명(뇌기능회복률 3.3%)이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생존율 및 뇌기능회복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환자 목격 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누구나 쉽게 심폐소생술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 영상 12종을 제작하여 질병관리청 누리집 및 유튜브 채널**, 국가손상정보포털***에 배포하는 등 심폐소생술 시행률을 높이기 위한 교육자료 개발과 홍보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붙임 3 참고).

  * 일반인 : 근무중인 구급대원 및 의료인 제외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 유튜브(질병관리청 아프지마TV)

*** 국가손상정보포털(http://www.kdca.go.kr/injury)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앞으로도 급성심장정지조사의 안정적 수행을 통해 역학적 특성과 환자의 생존‧회복 지표 등을 시의적으로 제공하여 관련 정책수립 기반 마련에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라며, 


  “더 나아가 대상별 심폐소생술 교육자료 개발 및 홍보를 통해 일반인 심폐소생술 제고를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2년 전체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는 2023년 12월에 발표할 예정이며, 「2022 상반기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는 국가손상정보포털(http://www.kdca.go.kr/injury)에서 이용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 2023-06-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66 21년 12월 결산법인은 3월 말까지 법인세 신고·납부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2 42
2665 125만 가구에 '21년 하반기분 근로장려금 신청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2 52
2664 장기요양기관 돌봄 인력 36만 명에게‘한시 지원금’지급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2 61
2663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일부개정안 입법예고(3.2~4.1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2 57
2662 새학기 청소년 고민, 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상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2 60
2661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성능·사용감은 제품에 따라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2 58
2660 특수형태근로종사자·프리랜서의 생계안정을 위한 "5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사업 시행 공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3 51
2659 ‘채용 신체검사’ 대신 ‘국가건강검진 결과’ 활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3 49
2658 버스기사 특별지원금, 3월 말부터 지급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3 52
2657 금속 귀걸이, 목걸이에서 안전기준을 초과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3 49
2656 3월 5일부터 국민비서로 재택치료자 맞춤형 안내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3 44
2655 "과속운전 꼼짝 마” 3월부터 암행순찰차 탑재형 과속 단속 장비 본격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4 89
2654 특수형태근로종사자(노무제공자) 고용보험추가 적용방안 고용보험위원회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4 43
2653 “증여세 중대·명백하게 잘못 부과했다면 기간 상관없이 환급해 줘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4 52
2652 르노삼성·아우디·혼다·야마하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4 41
Board Pagination Prev 1 ...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