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2년 상반기에 발생한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를 국가손상정보포털을 통해 공표(6.28.)한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2008년부터 급성심장정지조사를 도입하여 전국 규모의 병원 밖 급성심장정지 발생 현황 조사감시 사업을 추진해왔다(붙임 1 참고).


  그 결과로 연 단위 통계를 생산해왔으나, 코로나19 유행 이후의 의료환경 변화와 통계 이용자의 수요 등을 고려하여 올해부터는 공표 주기를 1년(연 1회)에서 반기(연 2회)로 단축하기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2022년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부터 반기별로 통계가 공표된다. 


  급성심장정지는 심장 활동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로, 2022년 상반기에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전체 17,668명이었고, 이 중 17,596명(99.6%)에 대한 조사가 완료되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①주요 발생원인으로는 심장병 등 질병(80.1%)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질병 외로는 추락(4.7%)으로 인한 발생이 많았다. ②발생장소는 비공공장소에서 주로 발생하였는데, 특히 가정에서의 발생이 7,946건(45.2%)으로 가장 많았다(붙임 2 참고).


  2022년 상반기에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중 ③생존 상태로 퇴원한 환자(생존율)는 7.3%였으며,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④뇌기능이 회복된 상태로 퇴원한 환자(뇌기능회복률)는 4.6%였다.


  한편, ⑤일반인*에 의해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는 4,455건(29.2%)이었다. ⑥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환자 4,455명 중 생존자는 504명(생존율 11.3%)이었으며, 시행되지 않은 환자 1,748명 중 생존자는 100명(생존율 5.7%)이었다. 


  또한, ⑦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환자 4,455명 중 뇌기능이 회복된 자는 357명(뇌기능회복률 8.0%)이었으며, 시행되지 않은 환자 1,748명 중 뇌기능이 회복된 자는 57명(뇌기능회복률 3.3%)이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생존율 및 뇌기능회복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환자 목격 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누구나 쉽게 심폐소생술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 영상 12종을 제작하여 질병관리청 누리집 및 유튜브 채널**, 국가손상정보포털***에 배포하는 등 심폐소생술 시행률을 높이기 위한 교육자료 개발과 홍보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붙임 3 참고).

  * 일반인 : 근무중인 구급대원 및 의료인 제외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 유튜브(질병관리청 아프지마TV)

*** 국가손상정보포털(http://www.kdca.go.kr/injury)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앞으로도 급성심장정지조사의 안정적 수행을 통해 역학적 특성과 환자의 생존‧회복 지표 등을 시의적으로 제공하여 관련 정책수립 기반 마련에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라며, 


  “더 나아가 대상별 심폐소생술 교육자료 개발 및 홍보를 통해 일반인 심폐소생술 제고를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2년 전체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는 2023년 12월에 발표할 예정이며, 「2022 상반기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는 국가손상정보포털(http://www.kdca.go.kr/injury)에서 이용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 2023-06-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91 재가 의료급여, 73개 시·군·구로 확대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30 14
12690 ‘23년 5월 주택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30 20
12689 지역별 탄소배출·흡수량 한눈에 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1
12688 우리 국민 당류 섭취량은 WHO 권고기준 미만…6~18세 어린이·청소년 3명 중 1명은 기준 초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4
12687 내 주변 민방위 대피소, 지도앱과 민간포털에서 쉽고 빠르게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16
12686 이륜자동차 소음증폭 막는다…소음·진동 관리법령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0
12685 행정자료 연계로 살펴본 주택 소유 현황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15
12684 지난해 코로나19 외 주요 감염병 6.6%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0
12683 공인중개사 자격증 양도ㆍ양수 알선만 해도 처벌받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15
12682 7월 1일부터 영화관람료도 문화비 소득공제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15
12681 캠핑카 오·폐수, 주유소에서 깨끗하게 처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14
12680 주택ㆍ중고차 미끼용 가짜매물 범정부 특별단속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1
12679 앱 마다 다르게 번역되는 공공표지판 실제 사용되는 표현으로 정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8 18
12678 편의점 도시락, 고기·반찬 양 제품별로 차이 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8 17
» 2022 상반기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 공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8 13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