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과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가을철 야외 농작업이 활발해지는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농업인 및 농촌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주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 :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진드기 매개 감염병

발생원인

주요 증상

특징

쯔쯔가무시증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

1~3(잠복기이내 고열오한 등

물린 부위에
검은딱지(가피)가 관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발생

4~15(잠복기이내 고열구토설사 등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치명률이 약 20%


□ 질병관리청은 2021년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중 역학조사가 완료된 4,876명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감염 위험요인으로 ‘농작업’의 비율이 50% 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농작업자에 대한 감염병 예방 및 관리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 농작업에 의한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수(비율) (2021년 기준)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중

역학조사 완료자()

농작업 중 감염 환자 수()

농작업에 의한 감염 비율(%)

쯔쯔가무시증

4,722

2,698

57.2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154

75

48.7


○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농업인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등 현안 공동 대응 및 협력을 위해 올해 7월에 농촌진흥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 각 지역 보건소 및 시군 농업기술센터와 협업하여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교육과 홍보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 아울러, 농업인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익히고 실천해야 한다. 



 ○ 농작업 전에는 진드기가 옷에 달라붙었을 때 바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밝은 색의 긴 소매, 긴 바지로 된 농업용 작업복을 입고, 장갑과 장화 등을 착용하여 최대한 피부 노출을 줄여야 한다. 


  - 보조적으로 진드기 기피제를 뿌리면 도움이 된다.



 ○ 농작업 중에는 풀 위에 바로 앉지 말고 작업용 방석이나 돗자리를 사용하며, 귀가 후에는 옷을 충분히 털어낸 뒤 바로 세탁하고, 샤워하면서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 만약, 몸에 진드기가 붙어있을 경우 손톱으로 진드기를 터뜨리거나 무리해서 떼어내려 하면 진드기의 혈액에 의해 감염될 수 있으므로, 가까운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제거해야 한다.



 ○ 또한 농작업 후 2~3주 이내에 발열, 두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진료받도록 한다.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과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가을철에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가 많이 발생하므로, 감염 예방을 위해 농작물 수확 등 농작업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 “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이 확인되었음에도 발열 등 증상이 지속되면 진드기 매개 감염병일 수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검사와 치료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2-08-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49 잘못된 의약품 정보에 절대 현혹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7 2020.01.21
3448 잘못된 라벨 부착된 The North Face Eco Trail Bed -7 침낭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2.18
3447 잔류농약 기준초과 검출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7.09.14
3446 잔류농약 기준이 초과 검출된 수입 ‘고추’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8.01
3445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19.02.22
3444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19.02.28
3443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9.03.14
3442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19.03.21
3441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9.03.28
3440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녹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21.04.15
3439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냉동 무청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1.06.07
3438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건목이버섯’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3.02.24
3437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목이버섯'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9.14
3436 잔류 농약이 초과 검출된 Kobe 조미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3.08.17
3435 작은 플라스틱 파편 혼입된 에너지바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36 2017.03.06
3434 작은 크기와 기준치 초과 자속 지수로 질식 위험 있는 큐브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11.03
3433 작은 조각으로 파손될 가능성 있어 해외에서 리콜된 Herobility 영·유아용 식기 구입가 환급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1.01.04
3432 작은 장난감 삼킴 사고 우려 있는 Bomb Cosmetic 입욕제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78 2020.04.14
3431 작은 장난감 삼킴 사고 우려 있는 Bomb Cosmetic 입욕제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6382 2020.04.14
3430 작은 장난감 삼킴 사고 우려 있는 Bomb Cosmetic 입욕제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38 2020.04.14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