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과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가을철 야외 농작업이 활발해지는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농업인 및 농촌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주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 :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진드기 매개 감염병

발생원인

주요 증상

특징

쯔쯔가무시증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

1~3(잠복기이내 고열오한 등

물린 부위에
검은딱지(가피)가 관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발생

4~15(잠복기이내 고열구토설사 등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치명률이 약 20%


□ 질병관리청은 2021년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중 역학조사가 완료된 4,876명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감염 위험요인으로 ‘농작업’의 비율이 50% 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농작업자에 대한 감염병 예방 및 관리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 농작업에 의한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수(비율) (2021년 기준)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중

역학조사 완료자()

농작업 중 감염 환자 수()

농작업에 의한 감염 비율(%)

쯔쯔가무시증

4,722

2,698

57.2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154

75

48.7


○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농업인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등 현안 공동 대응 및 협력을 위해 올해 7월에 농촌진흥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 각 지역 보건소 및 시군 농업기술센터와 협업하여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교육과 홍보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 아울러, 농업인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익히고 실천해야 한다. 



 ○ 농작업 전에는 진드기가 옷에 달라붙었을 때 바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밝은 색의 긴 소매, 긴 바지로 된 농업용 작업복을 입고, 장갑과 장화 등을 착용하여 최대한 피부 노출을 줄여야 한다. 


  - 보조적으로 진드기 기피제를 뿌리면 도움이 된다.



 ○ 농작업 중에는 풀 위에 바로 앉지 말고 작업용 방석이나 돗자리를 사용하며, 귀가 후에는 옷을 충분히 털어낸 뒤 바로 세탁하고, 샤워하면서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 만약, 몸에 진드기가 붙어있을 경우 손톱으로 진드기를 터뜨리거나 무리해서 떼어내려 하면 진드기의 혈액에 의해 감염될 수 있으므로, 가까운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제거해야 한다.



 ○ 또한 농작업 후 2~3주 이내에 발열, 두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진료받도록 한다.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과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가을철에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가 많이 발생하므로, 감염 예방을 위해 농작물 수확 등 농작업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 “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이 확인되었음에도 발열 등 증상이 지속되면 진드기 매개 감염병일 수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검사와 치료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2-08-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69 적합성 평가 미흡으로 익사 위험 있는 Swimbubs 유아용 수영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1.05
3468 저속 주행 시 고주파 소음 발생하는 기아(주) EV6 차량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2.06.13
3467 재료 결함으로 베임 우려 있는 Mammut 눈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2 2023.04.20
3466 재난지원금 및 소상공인 정책자금 등 정부의 자금지원을 빙자한 대출사기 문자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21.08.06
3465 재감염 및 60대 이상 환자비중 증가 따른 주의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8.16
3464 장치 결함으로 낙상 위험이 있는 Edelrid 등산 장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4.02.20
3463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집단발생에 따른 예방,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06.08
3462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예방 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20.06.22
3461 장난감으로 인한 가정 내 어린이 안전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0.04.23
3460 장난감 안전사고로부터 우리 아이를 지켜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20.06.10
3459 장난감 공(Flashing Spiky Ball), 부품 떨어져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5.17
3458 장기렌터카, 다른 렌탈 상품보다 대여료 연체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18.06.22
3457 잠수시간 오표시로 감압증 위험 있는 Aqualung 다이브 시계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3.04.04
3456 잠금핀 풀림으로 인한 부상 위험 있는 Little Tikes 유아용 보행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9.28
3455 잠금탭이 분리되어 손 부상 위험 있는 Mueller Austria 양파용 채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1.01.27
3454 잠금장치 열릴 수 있는 Sea to summit 코펠 냄비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01.27
3453 잠금장치 불량인 제트스키 승객용 좌석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12.06
3452 잠금장치 고장으로 내부 자석을 삼킬 위험있는 YETI 아이스쿨러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5.12
3451 잠금 단추가 쉽게 분리되어 삼킬 경우 질식 위험있는 버켄스탁(Birkenstock) 유아신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21.10.14
3450 잠금 기능에 결함이 있는 반려견용 리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2.20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