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과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가을철 야외 농작업이 활발해지는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농업인 및 농촌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주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 :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진드기 매개 감염병

발생원인

주요 증상

특징

쯔쯔가무시증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

1~3(잠복기이내 고열오한 등

물린 부위에
검은딱지(가피)가 관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발생

4~15(잠복기이내 고열구토설사 등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치명률이 약 20%


□ 질병관리청은 2021년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중 역학조사가 완료된 4,876명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감염 위험요인으로 ‘농작업’의 비율이 50% 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농작업자에 대한 감염병 예방 및 관리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 농작업에 의한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수(비율) (2021년 기준)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중

역학조사 완료자()

농작업 중 감염 환자 수()

농작업에 의한 감염 비율(%)

쯔쯔가무시증

4,722

2,698

57.2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154

75

48.7


○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농업인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등 현안 공동 대응 및 협력을 위해 올해 7월에 농촌진흥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 각 지역 보건소 및 시군 농업기술센터와 협업하여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교육과 홍보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 아울러, 농업인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익히고 실천해야 한다. 



 ○ 농작업 전에는 진드기가 옷에 달라붙었을 때 바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밝은 색의 긴 소매, 긴 바지로 된 농업용 작업복을 입고, 장갑과 장화 등을 착용하여 최대한 피부 노출을 줄여야 한다. 


  - 보조적으로 진드기 기피제를 뿌리면 도움이 된다.



 ○ 농작업 중에는 풀 위에 바로 앉지 말고 작업용 방석이나 돗자리를 사용하며, 귀가 후에는 옷을 충분히 털어낸 뒤 바로 세탁하고, 샤워하면서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 만약, 몸에 진드기가 붙어있을 경우 손톱으로 진드기를 터뜨리거나 무리해서 떼어내려 하면 진드기의 혈액에 의해 감염될 수 있으므로, 가까운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제거해야 한다.



 ○ 또한 농작업 후 2~3주 이내에 발열, 두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진료받도록 한다.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과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가을철에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가 많이 발생하므로, 감염 예방을 위해 농작물 수확 등 농작업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 “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이 확인되었음에도 발열 등 증상이 지속되면 진드기 매개 감염병일 수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검사와 치료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2-08-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53 가을 나들이철 위험 신고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17.10.10
3652 가을 나들이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10.23
3651 가을 단풍 시작, 등산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10.04
3650 가을 등산, 안전수칙 준수로 안전산행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10.14
3649 가을 산행 및 벌초 시 벌 쏘임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3.09.07
3648 가을 산행은 무리하지 말고 안전을 먼저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10.18
3647 가을 수확기 안전수칙 준수로 농기계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18.10.25
3646 가을 수확철,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0.26
3645 가을 신학기 대비 학교급식 식중독 예방 합동점검 사전예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7.08.08
3644 가을 지역축제 안전수칙 반드시 지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17.10.12
3643 가을, 등산과 낚시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10.18
3642 가을철 건강한 나들이를 위한 식중독 예방 요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18.08.30
3641 가을철 구별 어려운 독버섯, 먹을 경우 생명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17.09.25
» 가을철 농작업 시 진드기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30
3639 가을철 농작업 중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9.07
3638 가을철 땅벌 주의, 작은 틈새까지도 집요하게 공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18.10.01
3637 가을철 발열 질환 진드기·설치류 매개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18.09.05
3636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7.10.20
3635 가을철 발열성 진드기·설치류 매개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19.10.18
3634 가을철 안전위험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집중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9.25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