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현재 최고 17%까지 부과하는 공공기관 공공부과금(부담금·사용료·요금 등)의 연체금을 연 6% 이내로 내리고 코로나19 감염병 등이 발생할 경우 연체금을 감경하도록 하는 제도개선 방안이 나왔다.
* 공공부과금: 환경개선부담금, 물이용부담금, 국·공유재산 사용료, 시설임차 사용료, 도로점용료, TV수신료, 상하수도요금, 우편요금 등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이 같은 내용의 ‘공공부과금 연체금 부담 경감방안’을 마련해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13개 중앙행정기관에 제도개선을 권고했다.
 
□ 국민권익위의 실태조사 결과, 공공부과금은 119개로 이를 기한 내 납부하지 않으면 일정 금액이 연체금으로 가산돼 부과된다. 국ㆍ공유재산만 보더라도 연간 사용료 부과액은 약 1조 원으로 지난 9월 기준 미납 사용료 연체금은 379억 원(41,877건)에 달한다.
 
공공부과금의 연체금 수준은 연이율 기준으로 최저 2.5%에서 최고 17%까지 7배 차이가 났다. 5년 장기 연체를 가정하면 최저 2.5%에서 최고 75%까지 30배 차이가 났다.
 
                                               <공공부과금 연체금 수준 비교>
                                                                                                   (원금 1만 원 가정 환산)
부과금 종류
단기 연체 시
장기 연체 시
1년 미납
연이율
차이
5년 미납
원금대비 비율
차이
전기사용자부담금
250원
2.5%
1
250원
2.5%
1
하수도요금
300원
3%
1.2
300원
3%
1.2
광해방지부담금
500원
5%
2
500원
5%
2
국유재산사용료
1,000원
10%
4
5,000원
50%
20
재건축부담금
1,200원
12%
4.8
4,800원
48%
19.2
공유재산사용료
1,500원
15%
6
7,500원
75%
30
우편요금
1,740원
17.4%
7
7,500원
75%
30
 
또 코로나19 등 감염병이 발생하면 부과권자가 연체금을 감경해 주고 싶어도 적용할 규정이 없어 적극적인 지원정책 시행에 한계가 있었다.
 
이밖에도 하루만 연체해도 한 달 치 연체금을 받는 불합리한 경우도 있었고 연체금에 대한 법적 근거 없이 부과권자별로 자의적으로 연체금을 설정하는 사례도 있었다.
 
□ 이에 국민권익위는 우편요금(연 17.4%), 공유재산사용료(연 15%), 재건축부담금(연 12%) 등 19개 공공부과금의 연체금을 연 6% 이내로, 연체금 상한은 원금 대비 30% 이하로 낮추도록 했다.
 
또 코로나19 감염병 등 발생 시 연체금 감경 등 부담 경감방안을 마련하도록 했다. 이어 연체금 산정을 하루 단위로 계산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연체금 부과에 대한 법적 근거를 법률로 명확히 규정하도록 했다.
 
□ 국민권익위 양종삼 권익개선정책국장은 “이번 권고안으로 30배 차이가 나는 공공부과금의 연체금 수준이 합리적으로 개선돼 코로나19 상황에서 국민의 경제적 부담이 경감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2-01-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68 전기요, 전기매트 등 6개 제품 리콜 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5 10
2767 전기요금 등 요금감면 신청, 전입신고할 때 같이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2 38
2766 전기요금 적정성 분석 보도자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2 179
2765 전기용접기, 천공기, 코드 등 7개 제품 결함보상(리콜)명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4 118
2764 전기용접기, 천공기, 코드 등 7개 제품 결함보상(리콜)명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30 199
2763 전기용품, 생활용품에 대한 안전관리가 일원화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1 135
2762 전기이륜차! 충전 대기시간 없이 달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8 6
2761 전기자동차 무료로 체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5 24
2760 전기자동차 충전소, 안전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3 86
2759 전기자전거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4 56
2758 전기자전거, 1회 충전 후 주행거리는 제품 간 최대 약 1.9배 차이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4 60
2757 전기자전거, 자전거도로에서 타도 안전에 문제없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9 171
2756 전기장판, 온도균일성·소비전력량에서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30 11
2755 전기저장장치(ESS) 활용촉진 전기요금제 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3 142
2754 전기찜질기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102
Board Pagination Prev 1 ... 731 732 733 734 735 736 737 738 739 740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