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과 충북, 충남 등 충청지역에서 A형간염 환자 증가

 

조개류는 익혀먹고, 안전성이 확보된 조개젓 판매 및 제공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1년 3월부터 A형간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A형간염 예방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21년 들어서 주당 환자수가 100명 이하로 유지되었으나, 11주(3.7-13.)부터 환자가 100명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4월 들어 16주(4.11-17.) 158명, 17주(4.18-24.) 192명 등으로 ’20년 동기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였다.


   - 올해 17주까지 1,722명의 환자가 신고되어 ’19년 대규모 유행을 제외하고는 ’12년 이후 동기간 환자 수가 가장 많았다.



<주별 A형간염 환자 신고 현황 그림 붙임 참조>



□ 특히,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과 충북, 충남 등 충청지역에서 환자 발생이 많고*, 인구 10만 명당 신고건수는 충남, 경기, 인천, 충북, 서울 순이다.**


   * ’21년 시·도별 신고건수 : 경기 660명, 서울 393명, 충남 126명, 인천 123명, 충북 66명


   ** 인구 10만 명당 신고건수 : 충남 5.93명, 경기 5.02명, 인천 4.16명, 충북 4.13명, 서울 4.03명


 ○ 신고된 환자는 30-49세가 많은데*, 이는 ’70년 이후 태어난 사람들은  위생상태 개선으로 어린 시절 A형간염을 앓은 적이 없고, 예방접종도 받지 않아 A형간염에 대한 면역이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 ’21년 신고 환자 연령 : 40대 658명(38.2%), 30대 483명(28.0%), 50대 264명(15.3%), 20대 150명(8.7%)


□ A형간염은 물이나 식품으로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예방을 위해서는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조리하여 익혀먹고, 위생적인 조리과정을 준수하며, 채소,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겨먹는 등 위생수칙을 준수해야한다.


 ○ 특히, 조개류의 경우 반드시 90℃에서 4분간 열을 가하거나 90초 이상 쪄서 섭취해야 하고, 상점과 식당에서는 안전성*이 확인된 조개젓만 판매·공급해야한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검사 등에서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은 제품


   ※ 바지락과 같은 껍데기가 두개인 조개류(이매패류)의 소화기관(중장선)에 A형간염 바이러스가 농축될 수 있음


 ○ A형간염은 예방접종으로 예방 가능하므로, 20-40대는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한다.


   - 20-30대(1981-2000년 출생자)는 항체보유율이 낮으므로 항체검사 없이 예방접종을 받고, 40대(1971-1980년 출생자)는 항체검사 후 항체가 없을 경우 접종을 받는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2019년 A형간염 환자 증가 원인이 조개젓임을 밝히고, 섭취 중단을 권고한 이후 환자 발생이 급속히 감소하였으나,


 ○ 최근 A형간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가정의 달인 5월에는 외식이 증가할 수 있어, A형간염 예방수칙을 잘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 A형간염 예방수칙>

 

1. A형간염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조개젓 섭취하지 않기

2. 조개류는 익혀먹고 안전한 물 마시기

3. 요리 전, 식사 전, 용변 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4. 20-40대는 예방접종 받기

5. 최근 2주 이내에 A형간염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예방접종 받기

6.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 먹기



 [ 질병관리청 2021-04-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060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Natava Super Foods 클로렐라 가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5.03
2059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Gamesa 시리얼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4.03.18
2058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4.03.18
2057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4.03.18
2056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4.03.18
2055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ionutra 모링가 분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5.10
2054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 있는 LA GRANDE EPICERIE DE PARIS 조미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8.25
2053 살구씨 식품 섭취 시 시안화중독 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4 2019.06.04
2052 산패 가능성 있는 Goldilocks Sweet Delights 쿠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21.06.02
2051 산업시설 화재, 작은 담배꽁초가 가장 큰 원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1.21
2050 산악사고, 산불 등 위험 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09.28
2049 산성 식품 접촉 금지 관련 표시사항 부적합해 건강 위험으로 리콜된 Nitori 냄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2.11.14
2048 산나물과 비슷한 독초 중독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5.11
2047 사회초년생 등 금융 취약계층을 타겟으로 하는 불법금융 사기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12.22
2046 사크라스트라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8.22
2045 사이클로핵세인 함유사실 미표시한 T9000-ELEpure 액상 접착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2.04.29
2044 사이드윙 보호 기능이 미흡한 Kinderkraft 유아용 카시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09.28
2043 사은품과 연계된 K-POP 기획상품 국제거래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1.12.10
2042 사용중지 중인 LG전자(주) 빌트인 듀얼 냉온정수기, 자발적 리콜 실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2.04.01
2041 사용자 부상 위험이 있는 Tendon 등산용 로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5.12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