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과 충북, 충남 등 충청지역에서 A형간염 환자 증가

 

조개류는 익혀먹고, 안전성이 확보된 조개젓 판매 및 제공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1년 3월부터 A형간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A형간염 예방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21년 들어서 주당 환자수가 100명 이하로 유지되었으나, 11주(3.7-13.)부터 환자가 100명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4월 들어 16주(4.11-17.) 158명, 17주(4.18-24.) 192명 등으로 ’20년 동기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였다.


   - 올해 17주까지 1,722명의 환자가 신고되어 ’19년 대규모 유행을 제외하고는 ’12년 이후 동기간 환자 수가 가장 많았다.



<주별 A형간염 환자 신고 현황 그림 붙임 참조>



□ 특히,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과 충북, 충남 등 충청지역에서 환자 발생이 많고*, 인구 10만 명당 신고건수는 충남, 경기, 인천, 충북, 서울 순이다.**


   * ’21년 시·도별 신고건수 : 경기 660명, 서울 393명, 충남 126명, 인천 123명, 충북 66명


   ** 인구 10만 명당 신고건수 : 충남 5.93명, 경기 5.02명, 인천 4.16명, 충북 4.13명, 서울 4.03명


 ○ 신고된 환자는 30-49세가 많은데*, 이는 ’70년 이후 태어난 사람들은  위생상태 개선으로 어린 시절 A형간염을 앓은 적이 없고, 예방접종도 받지 않아 A형간염에 대한 면역이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 ’21년 신고 환자 연령 : 40대 658명(38.2%), 30대 483명(28.0%), 50대 264명(15.3%), 20대 150명(8.7%)


□ A형간염은 물이나 식품으로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예방을 위해서는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조리하여 익혀먹고, 위생적인 조리과정을 준수하며, 채소,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겨먹는 등 위생수칙을 준수해야한다.


 ○ 특히, 조개류의 경우 반드시 90℃에서 4분간 열을 가하거나 90초 이상 쪄서 섭취해야 하고, 상점과 식당에서는 안전성*이 확인된 조개젓만 판매·공급해야한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검사 등에서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은 제품


   ※ 바지락과 같은 껍데기가 두개인 조개류(이매패류)의 소화기관(중장선)에 A형간염 바이러스가 농축될 수 있음


 ○ A형간염은 예방접종으로 예방 가능하므로, 20-40대는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한다.


   - 20-30대(1981-2000년 출생자)는 항체보유율이 낮으므로 항체검사 없이 예방접종을 받고, 40대(1971-1980년 출생자)는 항체검사 후 항체가 없을 경우 접종을 받는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2019년 A형간염 환자 증가 원인이 조개젓임을 밝히고, 섭취 중단을 권고한 이후 환자 발생이 급속히 감소하였으나,


 ○ 최근 A형간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가정의 달인 5월에는 외식이 증가할 수 있어, A형간염 예방수칙을 잘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 A형간염 예방수칙>

 

1. A형간염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조개젓 섭취하지 않기

2. 조개류는 익혀먹고 안전한 물 마시기

3. 요리 전, 식사 전, 용변 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4. 20-40대는 예방접종 받기

5. 최근 2주 이내에 A형간염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예방접종 받기

6.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 먹기



 [ 질병관리청 2021-04-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69 유해물질 함유된 Bloodline 문신잉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0.02.17
2868 고혈압 처방약 성분 함유되어 부작용 위험 있는 Insane Labz 운동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4 2020.02.17
2867 알레르기 성분이 미표시된 Pot Noodle 컵라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9 2020.02.17
2866 Sacla 소스에 알레르기 성분이 미표시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2 2020.02.17
2865 스테로이드 등을 함유하여 부작용 위험 있는 H20 Jours, Neoprosone, Nadinola 피부미백제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0 2020.02.17
2864 화재 진압 실패 가능성 있는 WilliamsRDM 렌지후드 소화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0 2020.02.17
2863 화재 위험 있는 스타 마스터(Star Master) USB 조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0.02.17
2862 감전 위험 있는 케메이(Kemei) 전기면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0.02.17
2861 아기 침대 매트리스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2.17
2860 코로나19 악용 보이스피싱 전화, 스미싱 문자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6 2020.02.18
2859 캠핑장 안전사고의 30.8%가 화상·중독사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4 2020.02.20
2858 어린이 약 삼킴사고 예방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0.02.25
2857 질병관리본부, 대한의학회와 함께 ‘미세먼지 건강수칙’을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20.02.27
2856 전자담배 배터리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0.02.27
2855 건조한 3월, 산불·화재·황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20.03.05
2854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20.03.09
2853 cikimall / 씨키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5 2020.03.09
2852 검증되지 않은 코로나19 거짓광고로 인한 소비자 피해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0.03.09
2851 코로나 차단 목걸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20.03.10
2850 gohimall / 고하이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4 2020.03.10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