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과 충북, 충남 등 충청지역에서 A형간염 환자 증가

 

조개류는 익혀먹고, 안전성이 확보된 조개젓 판매 및 제공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1년 3월부터 A형간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A형간염 예방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21년 들어서 주당 환자수가 100명 이하로 유지되었으나, 11주(3.7-13.)부터 환자가 100명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4월 들어 16주(4.11-17.) 158명, 17주(4.18-24.) 192명 등으로 ’20년 동기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였다.


   - 올해 17주까지 1,722명의 환자가 신고되어 ’19년 대규모 유행을 제외하고는 ’12년 이후 동기간 환자 수가 가장 많았다.



<주별 A형간염 환자 신고 현황 그림 붙임 참조>



□ 특히,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과 충북, 충남 등 충청지역에서 환자 발생이 많고*, 인구 10만 명당 신고건수는 충남, 경기, 인천, 충북, 서울 순이다.**


   * ’21년 시·도별 신고건수 : 경기 660명, 서울 393명, 충남 126명, 인천 123명, 충북 66명


   ** 인구 10만 명당 신고건수 : 충남 5.93명, 경기 5.02명, 인천 4.16명, 충북 4.13명, 서울 4.03명


 ○ 신고된 환자는 30-49세가 많은데*, 이는 ’70년 이후 태어난 사람들은  위생상태 개선으로 어린 시절 A형간염을 앓은 적이 없고, 예방접종도 받지 않아 A형간염에 대한 면역이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 ’21년 신고 환자 연령 : 40대 658명(38.2%), 30대 483명(28.0%), 50대 264명(15.3%), 20대 150명(8.7%)


□ A형간염은 물이나 식품으로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예방을 위해서는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조리하여 익혀먹고, 위생적인 조리과정을 준수하며, 채소,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겨먹는 등 위생수칙을 준수해야한다.


 ○ 특히, 조개류의 경우 반드시 90℃에서 4분간 열을 가하거나 90초 이상 쪄서 섭취해야 하고, 상점과 식당에서는 안전성*이 확인된 조개젓만 판매·공급해야한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검사 등에서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은 제품


   ※ 바지락과 같은 껍데기가 두개인 조개류(이매패류)의 소화기관(중장선)에 A형간염 바이러스가 농축될 수 있음


 ○ A형간염은 예방접종으로 예방 가능하므로, 20-40대는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한다.


   - 20-30대(1981-2000년 출생자)는 항체보유율이 낮으므로 항체검사 없이 예방접종을 받고, 40대(1971-1980년 출생자)는 항체검사 후 항체가 없을 경우 접종을 받는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2019년 A형간염 환자 증가 원인이 조개젓임을 밝히고, 섭취 중단을 권고한 이후 환자 발생이 급속히 감소하였으나,


 ○ 최근 A형간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가정의 달인 5월에는 외식이 증가할 수 있어, A형간염 예방수칙을 잘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 A형간염 예방수칙>

 

1. A형간염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조개젓 섭취하지 않기

2. 조개류는 익혀먹고 안전한 물 마시기

3. 요리 전, 식사 전, 용변 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4. 20-40대는 예방접종 받기

5. 최근 2주 이내에 A형간염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예방접종 받기

6.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 먹기



 [ 질병관리청 2021-04-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93 신기술조합 투자(출자)는 위험이 매우 큰 투자이므로, 판매 증권사를 통해 투자 관련 정보를 충분히 확인하세요 ? 소비자 경보 ‘주의’ 발령 및 행정지도 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9.15
2292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ausch+lomb 렌즈액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1.09.14
2291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1.09.14
2290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9.14
2289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9.14
2288 기준치 초과 에틸렌 옥사이드 검출 된 Bio-Moringa 제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1.09.14
2287 사용기한 내에 성분 함량이 미달 되는 나보린 약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21.09.14
2286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WIFI 연결 멀티탭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09.14
2285 겉창 핀 접착이 불량한 RBB 낚시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09.14
2284 시간이 경과할수록 품질 저하 우려 있는 GENTOS LED 헤드라이트(GH-100RG)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1.09.14
2283 시간이 경과할수록 품질 저하 우려 있는 GENTOS LED 헤드라이트(GH-003RG)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21.09.14
2282 이물질(철 성분) 혼입 가능성 있는 유니클로 에어리즘 탱크탑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1.09.13
2281 냉장보관 필요 표시사항을 누락한 델리 카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1.09.13
2280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Baladna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1.09.13
2279 2-클로로에탄올 성분 함유된 Abtei 마그네슘 칼슘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6 2021.09.13
2278 글리포세이트 성분 함유된 Arche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1.09.13
2277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Pileje 건강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1.09.13
2276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NUTRIGEE 건강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1.09.13
2275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SANTAROME BIO 건강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09.13
2274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LABORATORIES SCIENCE ET EQUILIBRE 건강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1.09.13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