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dc0c5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61pixel, 세로 754pixel

 

2020. 10. 8.()

담 당 과

식품소비안전국 축산물안전과

식품안전정책국 식품안전인증과

 

강백원

(043-719-3203)

고지훈

(043-719-2851)

사 무 관

박재우

(043-719-3253)

이제명

(043-719-2854)

축산물 해썹 인증제 도입하여 축산물 안전관리 강화

우수 해썹 업체에 대한 인센티브도 확대하여 축산물 해썹 활성화 유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 축산물도 식품과 같이 해썹(안전관리인증기준, HACCP) 전문기관에서 심사하여 객관적으로 운영하도록 하는 축산물* 해썹 인증제 2020 10 8일부터 전면 시행 한다고 밝혔습니다.

    * (대상) 유가공업, 알가공업, 식육가공업(16년 기준 매출액 20억 이상), 식용란선별포장업

  동안 축산물은 영업자가 해썹 기준을 스스로 작성ㆍ운영해 왔으나, 앞으로는 해썹 인증 전문기관인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의 심사를 받아 인증 받게 됩니다.

  울러, 축산물 위생관리법 개정으로 해썹 인증이 의무인 영업자가 안전관리인증기준을 지키지 않거나, 위해 축산물의 출하・판매 일시중지 명령을 지키지 않는 영업자는 행정처분을 받게 됩니다.

    * 안전관리인증기준 미준수 : (1) 영업정지 7일 → (2) 15일 → (3) 1개월
출하・판매 일시중지 명령 위반 : (1) 영업정지 1개월 → (2) 2개월 → (3) 3개월

한편, 축산물의 해썹 기준 준수를 제고하기 위해 우수 해썹 축산물 업체 대해서는 인센티브 제공을 확대합니다.

  해썹 준수 평가 결과 총점의 95퍼센트 이상을 받은 영업자 해썹 조사・평가 1 면제 축산물 자가품질검사 1 면제 출입・검사는 2 주기로 실시합니다.

 

식약처는 “축산물 해썹이 자체 기준이 아닌 전문기관의 객관적인 심사 운영하게 되어 축산물 안전관리 신뢰도가 단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앞으로도 축산물에 대한 해썹 적용을 확대하여 국민들께 위생적이고 안전한 먹거리가 제공될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라고 밝혔습니다.

 

 

 

<첨부> 축산물 해썹 인증제 질의응답


[식품의약품안전처 2020-10-0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051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3.18
2050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ionutra 모링가 분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5.10
2049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 있는 LA GRANDE EPICERIE DE PARIS 조미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8.25
2048 살구씨 식품 섭취 시 시안화중독 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9.06.04
2047 산패 가능성 있는 Goldilocks Sweet Delights 쿠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1.06.02
2046 산업시설 화재, 작은 담배꽁초가 가장 큰 원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1.21
2045 산악사고, 산불 등 위험 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9.28
2044 산성 식품 접촉 금지 관련 표시사항 부적합해 건강 위험으로 리콜된 Nitori 냄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11.14
2043 산나물과 비슷한 독초 중독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18.05.11
2042 사회초년생 등 금융 취약계층을 타겟으로 하는 불법금융 사기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12.22
2041 사크라스트라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8.22
2040 사이클로핵세인 함유사실 미표시한 T9000-ELEpure 액상 접착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2.04.29
2039 사이드윙 보호 기능이 미흡한 Kinderkraft 유아용 카시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9.28
2038 사은품과 연계된 K-POP 기획상품 국제거래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1.12.10
2037 사용중지 중인 LG전자(주) 빌트인 듀얼 냉온정수기, 자발적 리콜 실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4.01
2036 사용자 부상 위험이 있는 Tendon 등산용 로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05.12
2035 사용이 금지된 시클라민산 나트륨이 검출된 Bamboe 소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1.08
2034 사용기한 내에 성분 함량이 미달 되는 나보린 약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1.09.14
2033 사용금지 성분(HICC) 함유한 Rasasi 향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1.12
2032 사용 중 화재 위험 있는 Vevor 자동차 온풍기 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4.24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