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dc0c5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61pixel, 세로 754pixel

 

2020. 10. 8.()

담 당 과

식품소비안전국 축산물안전과

식품안전정책국 식품안전인증과

 

강백원

(043-719-3203)

고지훈

(043-719-2851)

사 무 관

박재우

(043-719-3253)

이제명

(043-719-2854)

축산물 해썹 인증제 도입하여 축산물 안전관리 강화

우수 해썹 업체에 대한 인센티브도 확대하여 축산물 해썹 활성화 유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 축산물도 식품과 같이 해썹(안전관리인증기준, HACCP) 전문기관에서 심사하여 객관적으로 운영하도록 하는 축산물* 해썹 인증제 2020 10 8일부터 전면 시행 한다고 밝혔습니다.

    * (대상) 유가공업, 알가공업, 식육가공업(16년 기준 매출액 20억 이상), 식용란선별포장업

  동안 축산물은 영업자가 해썹 기준을 스스로 작성ㆍ운영해 왔으나, 앞으로는 해썹 인증 전문기관인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의 심사를 받아 인증 받게 됩니다.

  울러, 축산물 위생관리법 개정으로 해썹 인증이 의무인 영업자가 안전관리인증기준을 지키지 않거나, 위해 축산물의 출하・판매 일시중지 명령을 지키지 않는 영업자는 행정처분을 받게 됩니다.

    * 안전관리인증기준 미준수 : (1) 영업정지 7일 → (2) 15일 → (3) 1개월
출하・판매 일시중지 명령 위반 : (1) 영업정지 1개월 → (2) 2개월 → (3) 3개월

한편, 축산물의 해썹 기준 준수를 제고하기 위해 우수 해썹 축산물 업체 대해서는 인센티브 제공을 확대합니다.

  해썹 준수 평가 결과 총점의 95퍼센트 이상을 받은 영업자 해썹 조사・평가 1 면제 축산물 자가품질검사 1 면제 출입・검사는 2 주기로 실시합니다.

 

식약처는 “축산물 해썹이 자체 기준이 아닌 전문기관의 객관적인 심사 운영하게 되어 축산물 안전관리 신뢰도가 단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앞으로도 축산물에 대한 해썹 적용을 확대하여 국민들께 위생적이고 안전한 먹거리가 제공될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라고 밝혔습니다.

 

 

 

<첨부> 축산물 해썹 인증제 질의응답


[식품의약품안전처 2020-10-0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72 전자레인지로 컵라면 조리 시, 은박뚜껑은 완전히 떼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0.11.02
2471 방역수칙 철저히 지키며 안전한 문화생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0.11.06
2470 라벨에 표시되지 않은 내용물이 함유된 Boots 멀티비타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4.12
2469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재킷(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5.03
2468 쇠줄 혼입 가능성 있는 multivites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6.24
2467 무등록 제조한 기타농산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7.29
2466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9.14
2465 기준 초과 비소 함유한 Bubs Organic Banana Rice 영유아용 시리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10.08
2464 가을철 야외활동, 쯔쯔가무시증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10.08
2463 “상조서비스 계약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12.09
2462 PlayMaty 자석완구 흡입 시 질식·장 천공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18.03.21
2461 집중호우로 인한 위기상황 탈출법, 체험 통해 배운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18.04.30
2460 여름 휴가철 위험 신고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18.07.02
2459 식품·장난감 모양의 제품으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18.12.27
2458 아침기온 뚝! 일교차 큰 초겨울, 한랭질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0.11.12
2457 상조상품 불완전 판매로 인한 소비자 피해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0.11.23
2456 산업시설 화재, 작은 담배꽁초가 가장 큰 원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1.21
2455 단백질바(프로틴바), 허위.과대 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7.08
2454 키토제닉 식단, 정확히 알고 구매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9.02
2453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2.11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