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edc0c5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61pixel, 세로 754pixel

 

2020. 10. 8.()

담 당 과

식품소비안전국 축산물안전과

식품안전정책국 식품안전인증과

 

강백원

(043-719-3203)

고지훈

(043-719-2851)

사 무 관

박재우

(043-719-3253)

이제명

(043-719-2854)

축산물 해썹 인증제 도입하여 축산물 안전관리 강화

우수 해썹 업체에 대한 인센티브도 확대하여 축산물 해썹 활성화 유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 축산물도 식품과 같이 해썹(안전관리인증기준, HACCP) 전문기관에서 심사하여 객관적으로 운영하도록 하는 축산물* 해썹 인증제 2020 10 8일부터 전면 시행 한다고 밝혔습니다.

    * (대상) 유가공업, 알가공업, 식육가공업(16년 기준 매출액 20억 이상), 식용란선별포장업

  동안 축산물은 영업자가 해썹 기준을 스스로 작성ㆍ운영해 왔으나, 앞으로는 해썹 인증 전문기관인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의 심사를 받아 인증 받게 됩니다.

  울러, 축산물 위생관리법 개정으로 해썹 인증이 의무인 영업자가 안전관리인증기준을 지키지 않거나, 위해 축산물의 출하・판매 일시중지 명령을 지키지 않는 영업자는 행정처분을 받게 됩니다.

    * 안전관리인증기준 미준수 : (1) 영업정지 7일 → (2) 15일 → (3) 1개월
출하・판매 일시중지 명령 위반 : (1) 영업정지 1개월 → (2) 2개월 → (3) 3개월

한편, 축산물의 해썹 기준 준수를 제고하기 위해 우수 해썹 축산물 업체 대해서는 인센티브 제공을 확대합니다.

  해썹 준수 평가 결과 총점의 95퍼센트 이상을 받은 영업자 해썹 조사・평가 1 면제 축산물 자가품질검사 1 면제 출입・검사는 2 주기로 실시합니다.

 

식약처는 “축산물 해썹이 자체 기준이 아닌 전문기관의 객관적인 심사 운영하게 되어 축산물 안전관리 신뢰도가 단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앞으로도 축산물에 대한 해썹 적용을 확대하여 국민들께 위생적이고 안전한 먹거리가 제공될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라고 밝혔습니다.

 

 

 

<첨부> 축산물 해썹 인증제 질의응답


[식품의약품안전처 2020-10-0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612 주식회사 재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0.11.26
2611 뚜껑 결함으로 화상 위험 있는 Crock- Pot 전기 압력밥솥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1.27
2610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Malabar Black Peppercorns 통후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1.29
2609 작은 부품이 쉽게 탈락돼 질식의 위험 있는 잠금박스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2.08
2608 작은 부품 탈락해 질식 위험 있는 Scratch 기차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2.26
2607 주의사항이 표시되지 않은 Starplay 해바라기모양 이동형 풀장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4.12
2606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재킷(5)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5.03
2605 사용 중 손잡이가 파손될 수 있는 Morfboard 스케이트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6.24
2604 납 기준 초과한 수입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7.29
2603 아나필락시스 쇼크 보장보험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8.03
2602 단추형전지 배터리 단자함 고정 미흡으로 삼킴 위험있는 블루투스 추적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2.04.01
2601 부품 분리 및 삼킴 위험 있는 Kenwood 푸드 프로세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2.04.01
2600 제품 불량으로 파열 위험 있는 다이빙 호흡기 판매 중단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2.05.04
2599 스티어링 휠 조작 불가로 부상 위험 있는 브리지스톤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3.01.17
2598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중, 영유아·노인 등 고위험군은 의심증상 시 치료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18.01.12
2597 아로마 목욕제품(My Fair Lady Brulee) 먹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18.05.15
2596 감전 위험 있는 Comnail 왁스 히터 제모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0.04.13
2595 추석 연휴, 주택화재 발생에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0.09.23
2594 승인되지 않은 첨가제 함유한 JGB 멀티비타민 보충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1.27
2593 기준 초과 산화에틸렌 함유한 SUPERNATURE Catherine Kluger 그래놀라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1.28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