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년 2월 17일 오전 9시 현재, 추가 확진환자 1명을 포함해 30명 확진 (21명 격리, 9명 격리해제), 7,733명 음성, 408명은 검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국내 신고 및 관리 현황 (2.17일 09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

 

구분

총계

확진환자

검사현황

격리중

격리해제

소계

검사 중

결과 음성

2.17.()

09시 기준

8,171

30

8,141

408

7,733

21

9

2.16.()

09시 기준

7,919

29

7,890

577

7,313

20

9

전일대비

증감

+252

+1

+251

-169

+420

+1

0

 
  ※ 28번째 환자 격리해제는 16시 통계에 반영될 예정

 ○ 새로 확인된 30번째 환자(52년생, 한국 국적)는 29번째 환자의 배우자로 29번째 환자 접촉자 대상 검사를 통해 확진되었다.

  - 현재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서울대학교병원)에 격리입원 중이며, 환자 상태는 안정적이다.
 ○ 또한 28번째 환자(89년생, 중국 국적)는 격리 입원 후 실시한 검사 결과 2회 연속 음성이 확인되어 금일부로 격리해제 된다.

□ 29번째 확진 환자에 대한 역학조사 경과도 안내하였다.

 ○ 29번째 확진 환자(38년생, 한국 국적)의 접촉자는 현재까지 114명이 확인되었고, 접촉자에 대해서는 자가격리 등 조치 중이다.

  - 환자는 2월 15일 흉부 불편감으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응급실에 내원하였으며, 안암병원 응급실 내에서는 코로나19를 의심한 즉시 신속하게 격리가 이뤄졌다. 다만, 현재까지 접촉자 76명*이 확인되었고, 자가격리, 1인실 격리 등 조치 중이다.

   * 의료진 및 직원 45명, 환자 31명 포함

  - 환자는 2월 5일부터 기침, 가래 증상이 발생하였으며, 증상 발현 1일 전부터 격리 시점까지 의료기관, 약국 등을 방문하였으며, 방문한 장소 및 접촉자에 대해 추가 조사 중이다. (붙임 참조)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 진단검사 확대를 통한 환자 조기발견 및 지역사회·의료기관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 의료기관의 감염 예방과 취약시설 보호 조치를 더욱 강화하는 등 지역사회· 의료기관 감염사례 차단에 집중할 시기라고 밝혔다.

 ○ 중국에서 지역사회 유행이 지속되고 있고, 싱가포르, 일본에서는 해외여행력 등 역학적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은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 금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특성상 증상이 경미한 상태에서도  빠르게 전파를 일으킬 수 있어 지역사회 감염 위험성이 상존하고,

  - 특히, 환자나 어르신들이 많은 의료기관 등을 중심으로 이러한 감염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 이에 따라, 해외여행력이 없더라도 의료진 판단에 따라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사례정의를 개정(2.7일~)한 바 있으며,

  - 원인 불명 폐렴 등으로 입원 중인 환자에게도 의료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진단검사를 적극 시행할 수 있도록 추가 지침 개정 등을 통해 안내할 예정이다.

 ○ 또한, 호흡기 감염병 관련 감시체계도 강화한다. (붙임3 참조)

  - 현재 13개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중증 급성 호흡기 감염병 감시체계*’에서 2월 18일부터 코로나19 검사를 추가 실시하고, 참여기관 확대도 추진한다.

   * Severe Acute Respiratory Infection Surveillance (SARI)란? 세계보건기구 사례정의에 맞는 중증 급성호흡기 감염병 환자 발생 양상과 원인병원체(세균 4종, 호흡기바이러스 8종)를 주요 표본 기관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체계

  - 아울러,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바이러스 감염증 병원체 감시체계*’ 에도 2월 18일부터 검사항목에 코로나19를 추가하고, 기관 확대를 추진하여 지역사회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다.

   * Korea Influenza and Respiratory Viruses Surveillance System, (KINRESS)란? 의료기관에 내원한 인플루엔자 의심환자의 호흡기 검체를 채취, 총 8종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바이러스 7종)에 대한 검사를 통해 발생을 감시하는 체계
□ 중장기적으로 코로나19 관련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독려하기 위한 긴급 연구과제도 공모한다.

  - 국내에서 확보된 코로나19 바이러스 원천 물질을 바탕으로,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항체후보물질이나, 확진자 대상 면역학적 특성 연구 등 총 4개 과제를 우선 추진할 예정이다. (별도 보도참고자료 참고)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중국 지역 방문객, 일반 국민,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감염예방 수칙 준수를 거듭 당부했다.

 ○ 최근 14일 이내 중국 등 지역사회 감염이 확인되고 있는 국가나 지역을 방문한 경우 가급적 외부 활동을 자제하고, 손씻기 및 기침예절을 준수하는 한편, 입국 후 14일간은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등) 발현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면서,

  - 증상 발현 시에는 반드시 관할 보건소, 지역 콜센터(☎지역번호+120) 또는 질병관리본부 상담센터(1339)로 먼저 연락하여 상담을 받은 뒤 선별진료소*를 방문해 줄 것을 강조하고, 이 경우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가급적 자차를 이용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누리집 (www.mohw.go.kr, 상단배너 '선별진료소 운영 의료기관 명단보기'), 질병관리본부 누리집 (www.cdc.go.kr, 상단배너 ‘선별진료소’)



[ 보건복지부 2020-02-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95 도심 하천.도로변 등 오염우려지역 야생 봄나물 섭취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4 85
7894 도심공원 내 CCTV, 효율적 설치·운영으로 안전 사각지대 해소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1 43
7893 도심부터 자연까지 휴식과 감성을 채울 4월 문화가 있는 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3 35
7892 도축장 검사 강화로 살충제 검출 산란노계 시중유통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1 40
7891 독감(인플루엔자) 백신, 정확하게 알고 접종 받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10 52
7890 독감치료제, 10~18세 대상으로 건강보험 지원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1 60
7889 독거노인이 마음을 터놓고 의지할 수 있는 친구 만들기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86
7888 독립적 감사기구 설치로 대학 자체감사 대폭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22
7887 독뱀·독충에 물린 응급환자 연간 6천명, 5월부터 증가 9월에 피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1 173
7886 돈가스, 소시지 등 22개 군납 급식류 품목 입찰 담합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3 79
7885 돈가스, 소시지 등 22개 군납 급식류 품목 입찰 담합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6 92
7884 돈가스, 햄버거패티 등 제조업체 안전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11 21
7883 돋보기안경 및 도수 수경(물안경) 온라인 판매 허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4 56
7882 돔페리돈 및 돔페리돈말레산염 사용상의 주의사항 변경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1 74
7881 동남아 거주자에서 16번째 지카 감염증 확진,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9 59
Board Pagination Prev 1 ...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