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9. 10. 31.()

담 당 과

의료기기안전국 의료기기관리과

(043-719-3815)

 

(  )

최지운

(043-719-3801)

사 무 관

(연 구 관)

최장용

(043-719-3815)

식약처, 저출력심장충격기 모유착유기 안전관리 실태점검  

공용으로 사용하는 의료기기의 성능 사용자 관리 실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 지난 4월부터 5개월 동안 전국에 설치된 저출력심장충격기와 산후조리원의 모유착유기 공동사용 의료기기에 대한 성능‧안전관리 실태 점검 안전사용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 공동사용 의료기기 점검 결과>

 

구분

총 점검대수

성능불량 기기

저출력심장충격기

1,541

333 (22 %)

모유착유기

2,805

8 (0.3 %)

   저출력심장충격기: 자동제세동기(AED) 등 의료기관 및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심정지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주어 심장이 정상리듬을 회복하도록 하는 제품 

   ※ 모유착유기: 모유를 흡인하는 수동식 또는 전동식 기구

  이번 점검은 복지시설, 산후조리원 안전 취약계층 이용시설에서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의료기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점검하고, 위생관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습니다.

노인, 아동, 청소년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 대상으로 저출력심장충격기 1,541대의 ▲작동 여부 ▲관리 상태 ▲성능 등을 점검하였습니다.

    * 어린이집, 경로당 등 저출력심장충격기 의무설치기관이 아닌 장소

 

  점검 결과, 패드 교체가 필요한 제품 318(20.6%), 기기가 작동하지 않은 제품 15(1.0%) 대해 수리‧교체하여 심정지  위급상황 발생 즉시 사용할 있도록 조치하였습니다.

  관리자 기관 직원만 접근이 가능한 장소에 설치된 190(12.3%) 일반인이 사용할 있는 위치로 옮기도록 권고하고,

   - 저출력심장충격기 사용법 숙지를 위해 254(16.5%) 관리자를 대상으로 올바른 사용방법을 교육 안내하였습니다.

  또한, 식약처는 가을 단풍철을 맞아 국립공원관리공단과 함께  저출력심장충격기 의무설치기관인 국립공원에서 등산객을 대상으로 올바른 저출력심장충격기 사용방법에 대하여 캠페인을 실시하였습니다.

산후조리원 보건소 대상으로 모유착유기 2,805대에 대한 ▲교차오염 여부 ▲관리 상태 ▲성능 등을 점검하였습니다.

  실태점검 결과, 흡인 성능이 불량한 제품은 8(0.3%) 전반적으로 관리가 양호하였습니다. 불량한 8대는 수리 조치하였습니다.

   - 깔때기 등과 같이 피부와 모유에 직접 접촉하는 개별 부품을 재사용하는 34개소(29.6%) 대하여 교차오염을 우려해 개별사용을 권장하고 사용상 주의사항 안내하였습니다.

   - 또한, 산모들이 많이 사용하는 모유착유기 대한 올바른 사용방법과 주의사항이 지속적으로 전달될 있도록 소책자를 제작하여 배포하였습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정부혁신 방안의 일환으로 저출력심장충격기  모유착유기와 같은 공동사용 의료기기에 대해 선제적 안전관리로 국민들이 생활 속에서 의료기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붙임 > 1. 공동사용 의료기기 실태점검 대상

         2. ‘공동사용의료기기 올바른 사용방법과 주의사항’ 소책자

 

[붙임1] 공동사용 의료기기 실태점검 대상

구분

유형

대수

비율

저출력

심장충격기

어린이집

101

6.6 %

청소년수련관

80

5.2 %

문화시설

324

21.0 %

유치원

78

5.1 %

종교시설

231

15.0 %

경로당

202

13.1 %

복지시설

486

31.5 %

요양시설

39

2.5 %

합계

1,541

100 %

모유착유기

산후조리원

1,474

52.5 %

보건소

1,331

47.5 %

합계

2,805

100 %

 

 

 

 

[붙임2]‘공동사용 의료기기 올바른 사용방법과 주의사항’ 소책자

< 저출력심장충격기 올바른 사용방법 등 안내 소책자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리플릿 앞면.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29pixel, 세로 78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리플릿 뒷면.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63pixel, 세로 818pixel

 

 

< 모유착유기 등 올바른 사용방법 등 안내 소책자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e3c276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90pixel, 세로 68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e3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89pixel, 세로 680pixel


                            [식품의약품안전처 2019-10-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33 코스존 / COSZONE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2.09.14
3032 비 올 때 위험해지는 지하 공간, 이렇게 대피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2.09.13
3031 LEMON YOGASHOP - 룰루레몬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3 2022.09.08
3030 올해 일본뇌염 첫 의사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09.07
3029 명품 구매대행 사크라스트라다 8월만 피해 200건 넘어 소비자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2.09.07
3028 화재 등 안전수칙 준수로 안전한 한가위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2.09.05
3027 온라인쇼핑몰 ‘스타일브이’ 배송 및 환급 지연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09.02
3026 더키월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09.01
3025 “추석 명절 택배, 상품권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08.31
3024 국내 플러그 기준에 부적합한 충전기 사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8.30
3023 가을철 농작업 시 진드기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30
3022 기기 및 오븐 과열돼 화상 및 화재 위험 있는 에어프라이어(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2.08.26
3021 기기 및 오븐 과열돼 화상 및 화재 위험 있는 에어프라이어(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2.08.26
3020 기기 및 오븐 과열돼 화상 및 화재 위험 있는 에어프라이어(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2.08.26
3019 규정 미준수 플러그로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전기절감기(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8.26
3018 규정 미준수 플러그로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전기절감기(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2.08.26
3017 규정 미준수 플러그로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전기절감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2.08.26
3016 기준치 초과하는 성분(아세설핌K) 함유한 Ichibiki 소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08.26
3015 안트라퀴논 잔류 함량이 높은 Kharta 마테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2.08.26
3014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Nippon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2.08.26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