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르신들, 무더위 때는 논밭일 자제하세요!

- 폭염으로 인한 노인 사망자의 대다수가 무더위 시간대 농사일에 기인 -
- 낮 시간대(12시∼17시) 무더위 쉼터 이용 등 폭염대응 행동요령 이행 당부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올 여름 폭염이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어르신들이 폭염으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폭염대응 행동요령」을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 폭염: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경우
    ** 폭염주의보: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이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발령
   *** 폭염경보: 최고기온이 35도 이상인 날이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발령

▶ 라디오나 TV의 무더위 관련 기상상황에 매일 주목하세요.

▶ 물을 자주 마십니다

▶ 시원하게 지냅니다.

▶ 더운 시간대(특히 12~17)에는 휴식합니다.

▶ 응급상황 시 비상연락처(☎ 119, ☎ 1661-2129)로 연락합니다.


□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올해 여름철 평균기온이 평년(23.6℃)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평균 폭염일수*도 10.5일**(평균 온도 시 폭염일수) 이상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일 최고 기온이 33℃이상인 일수(전국 45개 지점 평균)
     ** 평년기온이 23.6℃인 년도(‘81, ’88, ‘06, ’14년)의 폭염일수 평균 값
 ○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폭염으로 인한 어르신들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 5월 24일 「2018년 폭염 대비 독거노인 보호대책」을 발표하였으며, 경로당·주민센터·노인복지관을 통한 폭염대비 행동요령 교육 및 홍보를 실시할 예정이다.
 
 ○ 특히,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신고현황을 분석한 결과 사망자 중 65세 이상의 비중이 높고, 그 중 많은 수가 논‧밭일을 하다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어르신들이 무더위 속에서 농사일을 하다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낮 시간대(12:00~17:00)에는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무더위 쉼터 등을 통해 충분히 휴식할 것을 집중 홍보할 예정이다.

    * ’17년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사망자 11명 중 6명(54.5%)이 65세 이상으로, 밭(2), 비닐하우스(1) 등 실외에서 주로 발생(붙임1 참조)

□ 아울러 보건복지부는 어르신들이 안전하게 여름을 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폭염대비 보호체계를 시행할 예정이다.

 ○ 폭염특보 발령 시 ‘노인돌봄기본서비스’ 대상자인 취약 독거노인(약 24만 명)에게 생활관리사(약 9,200명)가 매일 전화나 방문을 통해 안전을 확인한다.

   - 이와 함께, 이·통·반장 및 마을방송 등을 활용하여 ‘폭염대응 행동요령’을 집중 안내할 계획이다.

 ○ 또한, 하절기(7~8월) 동안 전국 약 6만 5000개 경로당에 월 10만 원(’17년 월 5만 원)씩 냉방비를 지원한다.

   - 더불어 ‘독거노인 사랑잇기 사업’에 참여하는 민간기업 및 단체(’18년 누적 110여개)의 후원을 받아 폭염에 취약한 독거 어르신에게 선풍기 등 냉방용품을 지원할 예정이다.

    * ’17년 지원실적 : 선풍기, 여름내의, 생필품 등 약 12만 명 지원(약 24억 원)
 ○ 보건복지부는 이와 같은 지원 대책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각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현장 위주의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 보건복지부 강민규 노인정책과장은 어르신들이 경로당을 시원하게 이용하실 수 있도록 각 지자체에서 냉방비를 차질 없이 지원하고, 지자체별로 폭염대비 독거노인 보호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8-06-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33 파손되며 소형 부품 발생해 질식 위험 있는 Earsoon 목욕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4.04
2732 삼킴 및 질식 우려 있는 Silicone Koala Rattle Collection 딸랑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4.29
2731 수은, 납 성분 함유한 피부미백크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5.03
2730 난연성 표준 준수하지 않아 화상 위험있는 HulovoX 유아용 가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5.04
2729 불법 고리사채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업체 이용시 반드시 기억해야 할 10가지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3.07.18
2728 “해외여행 전에 꼭 확인해요, 국가별 여행경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18.08.27
2727 눈 덮인 등산로 산행 시 조난에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19.01.10
2726 나노필터 등 일반 부직포 마스크 제품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0.11.09
2725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마루코메 즉석 미소국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03.17
2724 종합마트 GJMAR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04.22
2723 발화 우려가 있는 칼텍 휴대용 살균탈취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05.24
2722 ㈜쁘띠엘린 베이비룸 표면 페인트 납 검출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10.27
2721 곰팡이 오염된 Exito skin cream 피부크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4.04
2720 세인트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5.04
2719 라벨 미표기 성분 함유하여 알러지 위험 있는 AIR VAL international 바디로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8.25
2718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ORLANE 화이트닝 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12.07
2717 ‘로타바이러스 백신’안전하게 접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18.01.19
2716 유해물질 함유되어 발암 위험 있는 Clear Essence 바디로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0.04.13
2715 온라인으로 주문하는 '배달회' 안전하게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1.01.11
2714 어린이 안전용기 사용하지 않은 Rocky Mountain Oils 에센셜오일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1.01.28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