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외교부는 5.30(수) 15:00-15:30간 외교부 청사에서 재외국민 사건‧사고 초동대응을 담당할 목적으로 24시간 365일 가동되는‘해외안전지킴센터’의 현판식 및 개소 기념 행사를 개최하였다.
 ㅇ 금번 개소식에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 김경협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의원(더불어민주당), 정부 유관기관 주요인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
     * 청와대 위기관리센터장, 국무조정실 대테러센터장 등
□ 외교부는 재외국민보호를 위한 영사 업무 수요가 급증하는 현 상황에 대응해 나가기 위하여 현 정부 출범 이후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된 “해외 체류 국민 보호 강화 및 재외동포 지원 확대”과제를 적극 이행해 왔다. 금번 개소하는 “해외안전지킴센터”는 해외에 체류 중인 우리국민에게 적시의 효과적인 영사조력을 제공함으로써 급증하는 영사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ㅇ “해외안전지킴센터”는 △해외 사건‧사고 24시간 365일 모니터링 및 초동대응, △재외국민에게 실시간 안전정보 제공, △부처간 협업 및 상황 전파,  △피해자 및 가족 지원, △언론에 실시간 대응 정보제공 등의 역할을 담당
 ㅇ 특히, 영사콜센터를 해외안전지킴센터로 편입하여 영사콜센터를 통한 기존 사건‧사고 접수 업무를 지속 수행하는 한편, 해외안전지킴센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업무 관계 구축 
   ※ ‘해외안전지킴센터’, 2018.3.30. 외교부 직제 개정 시 재외동포영사실-해외안전관리기획관실 산하 조직으로 반영
   ※ (2017년 통계 기준) 해외여행객 2,640만명, 재외국민 250만명 시대, 우리국민 관여 해외 사건사고 건수(우리국민 피해, 가해, 강제추방 등 기타 포함) 18,410건(일평균 약 50여건) 발생
    
 ㅇ 또한, 해외 사건‧사고 대응 관련 정부 유관 부처 소속 직원의 파견근무를 통해 전문성 있는 현장 대응력을 강화하고, 외교부 본부-재외공관-관계부처 간 범정부적이고 유기적인 협력 체계 구축 도모  

□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우리 정부가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해외안전지킴센터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테러와 범죄, 재난으로부터 재외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컨트롤 타워의 역할을 수행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하였다.
 ㅇ 또한, 강 장관은 본부와 공관 사이의 즉각적이고 시차 없는 소통으로 사건사고를 예방하고 대응하여, 국민들이 안심하고 해외에 체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직원들의 노력을 당부
□ 김경협 의원도 축사를 통해 해외안전지킴센터가 앞으로 우리 재외국민에 대한 국가의 보호 의무를 수행하는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고 하며, 향후 해외안전지킴센터 운영을 비롯한 재외국민 보호제도 강화를 위해 국회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임을 강조했다.
□ 한편, 외교부는 해외에 체류 중인 우리국민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인프라 강화를 위하여 영사분야 인력 확충 및 예산 증액에도 힘써나가고 있다.
 ㅇ △“재외동포영사국”을“재외동포영사실”로 확대 개편하였으며, △재외공관 사건‧사고 담당 영사인력 확충, △재외국민보호의 법률적 기반 마련을 위한“재외국민보호를 위한 영사조력법”제정 등을 추진 중

□ 연간 해외출국자수 및 재외국민 사건‧사고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전 세계적으로 테러‧자연재해 등 긴급 상황으로 인한 위험이 고조되는 현 상황에서 외교부는“해외안전지킴센터”가동을 통해 우리국민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 외교부 2018-05-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973 괴로운 소변「신경인성 방광」, 지속적인 예방과 함께 꾸준한 수분섭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17.12.14
972 과충전 시 발화 위험 있는 JOWAY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11.29
971 과충전 방지 기능 미흡하여 발열 및 발화 위험있는 Barebones LED램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23.04.04
970 과체온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 있는 Milkiwai 영유아용 침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1.04
969 과전류로 인해 연기가 발생할 수 있는 Calm 휴대용 공기청정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1.10.28
968 과전류 차단 장치가 없어 화재,화상 위험 있는 고데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0.11.23
967 과전류 차단 장치가 없어 감전 위험 있는 Kemei 이발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21.05.13
966 과열에 따른 감전 위험성 있는 암염램프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98 2017.02.08
965 과열보호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 화재 위험이 있는 Jigong 열풍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2.15
964 과열로 화재 위험 있는 Trianium 휴대폰 배터리 케이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0.11.23
963 과열로 인해 화상 위험 있는 핸드그라인더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6 2016.11.30
962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 있는 블루투스 LP 플레이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08.18
961 과열로 인한 화상 및 화재 위험 있는 휴대용 스피커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00 2016.09.01
960 과열되어 화재를 낼 수 있는 Snap 리튬이온 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4.03.13
959 과열되어 화재 발생 가능성 있는 CSB2 배터리 충전기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0.18
958 과열되어 화상 입을 가능성 있는 Nexgio 프로젝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3.01.17
957 과열되어 화상 위험있는 MR.Marie Miffy 유아 조명등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2.03.08
956 과열 발생하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내장된 스마트워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2.06.07
955 과열 및 발연 위험이 있는 보조배터리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6 2017.06.02
954 과열 가능성 있는 휴대용 난방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8.23
Board Pagination Prev 1 ...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