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부모 잃고 입양되었다가 다시 홀로 된 자녀도 유족연금 받는다.

- 입양‧장애호전 되더라도 유족연금 받을 권리가 사라지지 않도록 국민연금법 개정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 는 ‘입양’과 ‘장애호전’ 시 소멸되던 유족연금을 그 기간 동안만 연금이 일시 정지되도록 국민연금법을 개정하여 4월 25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 그간 국민연금의 유족연금을 받다가 입양되거나, 장애가 호전된 경우(장애3급 이하)에는 국민연금의 유족연금 수급권이 소멸되었다.

 ㅇ 이로 인해 입양 후 파양되거나, 장애가 다시 악화(장애2급 이상)된 안타까운 경우에도 유족연금을 아예 받을 수 없어 유족연금이 유족의 생활을 보호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많았다.

유족연금제도 개요

‣ (지급요건일정한 연금보험료 납입요건(72)을 채운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가 사망한 경우 사망할 당시 그에 의해 생계를 유지하고 있던 유족(73)에게 지급

 

‣ (지급수준사망한 자의 가입기간에 따라 기본연금액*의 40% ∼ 60% 지급(74)

· 가입기간 10년 미만 기본연금액의 40%

· 가입기간 10년 이상 ∼ 20년 미만 기본연금액의 50%

· 가입기간 20년 이상 기본연금액의 60%

기본연금액 20년 미만 가입자는 20년 가입한 것으로 의제하여 산정한 금액 , 20년 이상 가입자는 가입기간에 따라 산정한 금액

 

‣ (소멸정지수급자의 사망배우자인 수급자의 재혼자녀 및 손자녀인 수급권자의 연령도달 등으로 인해 수급권이 소멸되며(75), 배우자인 수급자의 소득 초과 및 소재불명 등의 경우 유족연금의 지급이 정지 됨(76

 

□ 이번 법률 시행을 통해 유족연금 수급자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상황에 있는 ⅰ) 주양육자를 잃은 자녀·손자녀, ⅱ) 중증장애를 가진 수급자의 생활을 두텁게 보호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ㅇ 예를 들어, 5세에 부모를 잃고 유족연금을 수급하던 아이가 입양되었다가 6세에 파양되더라도 이전까지는 유족연금을 받을 수 없었으나, 이번 개정 법률의 시행으로 입양 기간만 정지되어 파양되는 순간부터 25세가 될 때까지 유족연금을 다시 수급할 수 있게 된다.

□ 강준 보건복지부 연금급여팀장은 “신뢰받는 국민연금을 만들기 위해 그간 현장에서 불합리하게 운영되었던 연금급여제도를 지속 발굴하여 보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4월 25일 이후 최초로 입양 또는 장애호전 된 수급권자가 이후 파양되거나, 장애가 악화된 때에는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지급정지 해제 신청을 통해 유족연금을 다시 지급받을 수 있게 된다.



[ 보건복지부 2018-04-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00 농업인, 정부정책 혜택 받기 편리해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4 13
5599 농업용 면세유 가격 전면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8 177
5598 농업손실 보상 시 임차농민 ‘도장값’ 피해 없앤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30 261
5597 농업생산기반시설 관리 강화로 개인 재산권 보호에 적극 나선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16 65
5596 농업분야, 폭염·호우·태풍 피해예방 이렇게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2 43
5595 농업분야 외국인근로자 주거지원사업, 4.19일부터 신청·접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9 72
5594 농업기계 판매·폐기 신고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1 19
5593 농어촌의 직불금 신청, 어업경영체등록 확인도 온라인으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05 101
5592 농어촌민박, 재난배상책임보험 가입 서두르세요(재난보험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07 15
5591 농어촌민박, 이용객 편의 증진을 위한 제도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7 164
5590 농어촌민박, 숙박업소에 비해 화재 안전에 취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9 36
5589 농약잔류기준이 궁금하다면, 농약명.농산물명으로 찾아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5 9
5588 농약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 전면 시행 이후 상반기 농산물 부적합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7 25
5587 농약 안전사용기준 위반자에 대한 과태료 기준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9 82
5586 농심 라면가격 인상 적정성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1 59
Board Pagination Prev 1 ...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