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A씨는 아이폰6 액정이 파손되어 수리 업체를 방문했다. A씨는 액정만 교체하고 싶었으나, 애플 공인 서비스 센터는 액정만 교체할 것인지 전체 교체할 것인지 여부는 애플 진단 센터에서 결정한다면서, “애플 진단 센터에서 결정할 수리 내역을 미리 알 수 없으므로, 전체 교체 비용인 375,000원을 선결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결국, A씨는 전체 교체 비용인 375,000원을 선결제하고 애플 진단 센터의 결정에 따를 수 밖에 없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6개 애플 아이폰 수리 업체들의 불공정 약관 조항을 60일 이내에 수정할 것을 권고했다. 이들 업체는 고객의 수리 계약 해제를 제한하고, 수리 전에 수리 비용을 선결제 하도록 강제해왔다.

 

시정권고 대상은 ()유베이스, 동부대우전자서비스(), ()피치밸리, ()비욘드테크, ()투바, 종로맥시스템 등 애플공인서비스센터 6곳이다.

 

아이폰 A/S는 배터리 교체, 후면 카메라 수리 등은 애플 공인서비스센터에서, 액정 파손 등의 수리는 애플 진단센터를 통해 이뤄진다.

 

애플 공인서비스센터가 애플 진단센터에 수리를 의뢰하는 경우, 수리 내역과 비용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약을 체결하고 전체 교체 비용을 고객으로부터 선결제 받았다.

 

고객이 수리를 취소하거나 제품 반환을 요구하는 경우, 애플 공인서비스센터는 시정권고가 이루어진 약관에 근거하여 이를 거부했다.

 

하지만 아이폰 수리 계약은 도급 계약임으로, 수리를 맡긴 고객은 민법에 따라 수급인이 일을 완성하기 전에도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공정위는 수리 완성 이전 시점부터 계약을 해제할 수 없고, 제품 반환을 거부한 6개 업체의 불공정 약관 조항에 시정권고를 명했다.

 

아울러 최대 비용 선결제 강제 조항도 함께 시정권고를 내렸다.

 

민법 제665조에 따라 도급 계약에서 보수 지급은 완성된 목적물의 인도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투바는 수리 내역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교체 비용을 선결제하도록 강요하고, 실제 수리가 이루어진 후에 차액을 정산받도록 했다.

 

공정위는 시정권고 후 60일 이내에 수리 업체, 애플코리아()와 해당 약관 조항들에 대한 시정안 협의를 완료할 계획이다.

 

[공정거래위원회 2015-07-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60 금융소비자에게 불리한 금융약관 정비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1 70
12559 10월부터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재산의 소득환산율 4%로 완화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1 144
12558 금속 이물 혼입 ‘과자’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1 74
12557 10월부터 의료기기 추적관리대상 확대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1 103
12556 권익위, 공장 증설로 인한 기업-주민 간 갈등 중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2 82
12555 금융사기 피해자 분석결과 및 대응방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2 79
12554 고령자, 미끄러운 바닥재에서 가장 많이 다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2 82
12553 하자담보책임기간 따로 정할 경우 계약서에 명시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2 99
12552 질병관리본부, 잠복결핵감염검사 시약(PPD) 10월 초 40만명 분량 확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2 103
12551 10월 희망·내일키움통장 추가 모집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2 82
12550 보령·서천·태안·당진 등 8개 시·군 급수조정 및 절수지원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5 105
12549 추억의 경춘선, 이제 자전거로 달린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5 147
12548 『수면장애(sleeping disorder)』인구 10만명당 연평균 증가율, 30대에서 가장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5 86
12547 극희귀질환 및 상세불명 희귀질환 등 희귀질환자에 대한 건강보험지원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5 85
12546 ‘어르신을 위한 안전하고 올바른 의약품 사용안내 리플릿' 배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5 91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