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기계식 주차장 안전대책 강화 필요 -

자동차 등록대수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주차난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보다 많은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기계식 주차장 설치도 늘어나고 있으나 주차시 이용자 발빠짐, 자동차 추락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 2014년 1월 1일∼2017년 6월 30일까지 한국소비자원 위해감시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에 접수된 기계식 주차장 관련 위해사례는 총 17건이며, 이 중 사망사고는 5건임.

<기계식 주차장 관련 안전사고 사례>

[사례 1] 2013. 10. A씨(만59세)는 기계식 주차장 틈에 다리가 빠지면서 넓적다리에 타박상을 입음.

[사례 2] 2017. 02. B씨(만 65세)는 기계식 주차장 진입 대기 중 차량이 갑자기 돌진하여 출입문을 뚫고 추락 사망함.

이러한 사실은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사고가 다발하는 승강기식, 다층순환식, 평면왕복식 등 기계식 주차장 3종 60기를 조사한 결과로 밝혀졌다.

일부 주차장 ‘발빠짐’ 사고위험 높아

조사대상 기계식 주차장 60기 중 15기(25.0%)에서 운전자 보행경로 4cm 이상*의 틈(이하 ‘기준치 초과 틈’이라고 함)이 발생하여 이용자 발빠짐 사고 위험이 높았다.

*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16조의5(기계식주차장치의 안전기준) 제9호에 의거한 “기계식주차장치의 안전기준 및 검사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운반기 및 주차구획 등)에 따르면 기계식 주차장 운반기 또는 주차구획 바닥과 출입구 바닥과의 수평거리는 4cm이하로 해야 함.

차량과 운전자 동일 통로 사용, 통로 주위 '기준치 초과 틈' 존재, 발빠진 사고 발생 우려 

출입문 강도기준 없어 추락사고 발생 가능해

기계식 주차장 출입문은 별도의 강도기준 부재로, 주차대기 운전자의 부주의 또는 차량 오작동시 차량이 추락할 위험이 있어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조사결과, 기계식 주차장 60기 중 2기는 입고 대기 시 운반기가 최하층에 위치하고 있어 출입문이 잘못 열린 상태에서 차량이 진입하면 추락사고로 연결될 수 있었다.

 

대부분 별도 출입문 설치 되어 있지 않아

조사대상 60기 중 52기(86.7%)는 기계식 주차장 관리점검시 관리자 또는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출입문이 없었다. 별도 출입문이 설치된 주차장 8기도 운행시 이용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출입문이 자동으로 잠기거나 사람을 감지하여 작동을 정지시키는 등의 안전장치가 설치된 곳은 한 곳도 없어 안전사고 예방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별도 출입문이 설치된 주차장은 별도 출입 문이 작동 중 개방되어있거나 상시 개방된 상태였음.

안전시설 구비 및 관리도 미흡해 개선 필요

기계식 주차장 60기 중 22기(36.7%)는 조도(밝기)미달, 39기(65.0%)는 추락 예방표식 미설치, 12기(20.0%)는 신호장치 미설치 및 미작동, 15기(25.0%)는 짐을 쌓아놓는 등 기타 용도로 병행사용되고 있어 개선이 필요했다. 특히, 기계식 주차장 안전사고 예방에 기초가 되는 「주차장법」시행규칙 제16조의17(기계식주차장치 안내문 부착 위치 등)에 명시된 필수안내 사항 4가지(차량 입고 및 출고 방법, 긴급상황 발생 시 조치 방법, 긴급상황 발생 시 연락처, 기계식주차장치 관리인 성명 및 연락처)를 모두 게시한 곳은 1기에 불과했다.

기계식 주차장에 신호장치 미설치,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음. 

한국소비자원은 기계식 주차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관계부처에 ▲발빠짐 사고 관련 안전기준 강화 ▲차량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출입문 강도 등 안전기준 마련 ▲별도 출입문 및 안전장치 설치 의무화 등 안전대책 마련 ▲안전시설 전반에 관한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7-08-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93 코로나19 관련 마스크 사용 개정 권고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0.03.10
2992 베이비 모니터 설치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0.02.04
2991 감염병 예방수칙 지켜 건강한 설 명절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0.01.16
2990 상조 피해주의보 발령: 만기 시 100% 환급. 상조회사와 소비자의 동상이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7.24
2989 국세청 사칭, 이메일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6.03
2988 Peg Perego 승용완구, 납·카드뮴 함유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5.16
2987 일상화 되고 있는 임플란트, 보험사기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8.05.24
2986 학생들의 신학기 학교생활 시작, 인플루엔자·수두·유행성이하선염 등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8.03.02
2985 방문판매 교육서비스, 위약금 과다 등 계약해지 관련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7.10.20
2984 단락에 의한 발화 가능성 있는 FB-507 전기면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4.06
2983 금지 성분인 하이드로퀴논이 포함된 Fair & White 세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4.05
2982 접지 미흡으로 감전 위험 있는 Puhui 히터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3.13
2981 사용 금지된 요오드화염을 함유한 조미상사 후리카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1.12.27
2980 “휴대폰 허위·과장광고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10.19
2979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한 에코폭시(EcoPoxy) 에폭시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7.01
2978 소상공인 대상 금융지원 등을 가장한 보이스피싱 주의(소비자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4.08
2977 P2P 투자하기 전, 투자자 유의사항을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3.23
2976 바이러스 소독을 위한 메탄올(공업용 알콜) 사용 경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3.23
2975 2월 초 갑작스런 한파 시작, 한랭질환 발생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2.05
2974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19.07.22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