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기계식 주차장 안전대책 강화 필요 -

자동차 등록대수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주차난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보다 많은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기계식 주차장 설치도 늘어나고 있으나 주차시 이용자 발빠짐, 자동차 추락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 2014년 1월 1일∼2017년 6월 30일까지 한국소비자원 위해감시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에 접수된 기계식 주차장 관련 위해사례는 총 17건이며, 이 중 사망사고는 5건임.

<기계식 주차장 관련 안전사고 사례>

[사례 1] 2013. 10. A씨(만59세)는 기계식 주차장 틈에 다리가 빠지면서 넓적다리에 타박상을 입음.

[사례 2] 2017. 02. B씨(만 65세)는 기계식 주차장 진입 대기 중 차량이 갑자기 돌진하여 출입문을 뚫고 추락 사망함.

이러한 사실은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사고가 다발하는 승강기식, 다층순환식, 평면왕복식 등 기계식 주차장 3종 60기를 조사한 결과로 밝혀졌다.

일부 주차장 ‘발빠짐’ 사고위험 높아

조사대상 기계식 주차장 60기 중 15기(25.0%)에서 운전자 보행경로 4cm 이상*의 틈(이하 ‘기준치 초과 틈’이라고 함)이 발생하여 이용자 발빠짐 사고 위험이 높았다.

*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16조의5(기계식주차장치의 안전기준) 제9호에 의거한 “기계식주차장치의 안전기준 및 검사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운반기 및 주차구획 등)에 따르면 기계식 주차장 운반기 또는 주차구획 바닥과 출입구 바닥과의 수평거리는 4cm이하로 해야 함.

차량과 운전자 동일 통로 사용, 통로 주위 '기준치 초과 틈' 존재, 발빠진 사고 발생 우려 

출입문 강도기준 없어 추락사고 발생 가능해

기계식 주차장 출입문은 별도의 강도기준 부재로, 주차대기 운전자의 부주의 또는 차량 오작동시 차량이 추락할 위험이 있어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조사결과, 기계식 주차장 60기 중 2기는 입고 대기 시 운반기가 최하층에 위치하고 있어 출입문이 잘못 열린 상태에서 차량이 진입하면 추락사고로 연결될 수 있었다.

 

대부분 별도 출입문 설치 되어 있지 않아

조사대상 60기 중 52기(86.7%)는 기계식 주차장 관리점검시 관리자 또는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출입문이 없었다. 별도 출입문이 설치된 주차장 8기도 운행시 이용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출입문이 자동으로 잠기거나 사람을 감지하여 작동을 정지시키는 등의 안전장치가 설치된 곳은 한 곳도 없어 안전사고 예방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별도 출입문이 설치된 주차장은 별도 출입 문이 작동 중 개방되어있거나 상시 개방된 상태였음.

안전시설 구비 및 관리도 미흡해 개선 필요

기계식 주차장 60기 중 22기(36.7%)는 조도(밝기)미달, 39기(65.0%)는 추락 예방표식 미설치, 12기(20.0%)는 신호장치 미설치 및 미작동, 15기(25.0%)는 짐을 쌓아놓는 등 기타 용도로 병행사용되고 있어 개선이 필요했다. 특히, 기계식 주차장 안전사고 예방에 기초가 되는 「주차장법」시행규칙 제16조의17(기계식주차장치 안내문 부착 위치 등)에 명시된 필수안내 사항 4가지(차량 입고 및 출고 방법, 긴급상황 발생 시 조치 방법, 긴급상황 발생 시 연락처, 기계식주차장치 관리인 성명 및 연락처)를 모두 게시한 곳은 1기에 불과했다.

기계식 주차장에 신호장치 미설치,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음. 

한국소비자원은 기계식 주차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관계부처에 ▲발빠짐 사고 관련 안전기준 강화 ▲차량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출입문 강도 등 안전기준 마련 ▲별도 출입문 및 안전장치 설치 의무화 등 안전대책 마련 ▲안전시설 전반에 관한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7-08-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20 온라인쇼핑몰 ASTERZON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4.03.14
3319 반사율 미흡해 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Miiepls 안전 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4.03.18
3318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Force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4.04.01
3317 리딩방 로또 환불을 빙자한 코인 매수 제안을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4.04.11
3316 강한 알칼리성을 띠는 APGAR 점 제거 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4.04.11
3315 금감원을 사칭하는 가짜 이메일 피싱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18.08.09
3314 소형 부품 삼킬 시 질식 위험 있는 말 모양 봉제인형 딸랑이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1.04.28
3313 포장 비닐 및 소형 부품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개구리 저울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2.07.19
3312 비대면 금융거래 민원 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2.12.12
3311 소형 부품과 고강력 자석으로 인해 질식 및 부상 위험 있는 아이스 하키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2.12.15
3310 싹딜(주식회사 엔씨지글로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2.12.26
3309 파트너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1.11
3308 사용금지 성분(HICC) 함유한 Rasasi 향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1.12
3307 뉴퍼마켓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8.10
3306 진드기와 쥐와의 거리두기로 건강한 추석명절과 가을을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9.20
3305 겨울철 야외활동을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1.17
3304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트로피칼 망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2.16
3303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파라다이스 펀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2.16
3302 안전 요건 미준수로 화재 및 감전 위험 있는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2.29
3301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Omouboi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3.18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