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만 12세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미접종 이유의 73.5%는 부작용 걱정, 실제로는 심각한 부작용 ‘0’건
-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백신 미접종자 보호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발표 -

◇10명 중 8.4명은 무료접종 알면서도 접종 안 해-8.4명 중 73.5%는 부작용 걱정 때문
◇ 실제 심각한 부작용은 50만건 접종 중 한 건도 없지만 잘못된 정보 때문에 보호자 우려 커
◇ 질본, 이상반응 관련 정확한 정보 제공으로 보호자의 백신 안전성 우려 완화에 힘쓸 것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16년도부터 만 12세 여성청소년에게 무료지원 중인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백신 미접종 사유 조사 결과, 실제로는 심각한 이상반응 신고가 한 건도 없는데도  불구하고, 미접종 이유의 73.5%가 부작용 걱정이었다고 밝혔다.

   ※ ’16년 대상자였던 ’03년생 여성청소년 중 미접종자(총 237천명 중 미접종자 98천명)의 보호자 1,000명을 시도별로 비례할당추출해 전화조사
     * ’16년도 대상자는 ’03∼’04년생 여성청소년이며, ’03년생은 ’16년에 1차 접종을 마친 경우에 한해 이후 2차 접종 지원함

□미접종 사유는 백신에 대한 부정적 정보 노출과 신뢰 정도에 따른 부작용 우려, 자궁경부암 인식 정도, 지역 특성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부작용 우려) 우선, 작년 ’03년생의 1차 접종률은 58.5%로, 미접종자의 84%는 무료접종이 지원됨을 알면서도 접종을 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로는 가장 많은 응답자(73.5%)가 ‘예방접종 후 부작용 걱정’을 꼽았다.

   - 특히 뉴스·인터넷 등에서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는 보호자들이 부작용 우려 때문에 접종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비율이 78.1%로, 관련 정보가 없던 보호자의 61.4%보다 높았다.

   - 이는 보호자들이 백신에 대해 긍정적인 정보보다 부정적인 정보를 더 많이 접하고, 긍정적 정보(신뢰도 3.38점)보다 부정적 정보(신뢰도 3.47점)를 더 신뢰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뉴스·인터넷 등에서 백신 관련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는 685명에게 해당 정보의 성격에 대해 조사 결과 백신에 대해 부정적 57.2%, 긍정적 34.9%로 응답(긍정적· 부정적 모두 접함 10.1%)

 ○ (인식도) 중요한 미접종 요인인 자궁경부암 관련 인식도 조사 결과, 실제로는 우리나라에서 매년 3,500여명이 발병하고 900여명이 사망하고 있으며, 백신으로 예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 이를 심각한 질병이라고 생각하는 보호자는 60.5%로 위험도 인식이 높지 않았고, 백신의 유용성을 인정하는 보호자도 45.7%에 불과했다.

 ○ (지역편차) 지역별로 미접종 사유에 대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부작용 우려 때문에 접종하지 않았다는 응답 비율은 제주(88.6%), 대전(85.4%), 세종(84.8%)에서 컸고,

   - ‘의료기관에 방문할 시간이 없어서’ 라는 응답은 대전은 4.9%에 불과한데 비해 전남(28.2%), 경북(24.4%), 충남(24.4%)은 높아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질병관리본부는 “미접종 사유를 분석한 결과 작년 6월 하반기에 시작한 신규사업임에도, 적극적인 홍보로 10명 중 8명은 사업을 알고 있었으나, 많은 보호자들이 예방접종에 대한 잘못된 정보 노출이 많고, 시간이 없어서 접종을 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부정적이거나 잘못된 정보에 많이 노출된 이유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의 부작용이 심각하다는 내용이 안아키 등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유포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특히, 잘못된 정보에 비해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일본 등 해외 보건당국에서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이 보행장애 등 증상과 관련이 없다고 밝힌 정확한 정보는 잘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잘못된 정보의 잦은 노출과 그에 따른 오해로,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예방접종 도입 후 약 50만 건이 접종되면서 사망이나 장애를 초래하는 중증 이상반응은 한 건도 없었음에도, 많은 보호자들이 부작용을 걱정해 접종을 주저한 것으로 판단된다.

     * 이상반응 신고 37건 중 긴장이나 통증으로 인한 접종 직후 일시적인 실신이 14건으로 가장 많고, 그 외 알레르기 6건, 어지러움 3건, 주사부위 통증 3건 등임

 ○ 자궁경부암 관련 인식이 높지 않은 사유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 후 자궁경부암 발병까지 십 년 이상의 시간이 걸리므로, 만 12세인 자녀의 암 발생 위험과 백신의 유용성을 즉시 체감하지 못하는 보호자가 많고,

   - 보수적인 성 문화로 인해, 주로 성 접촉으로 전파되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필요성을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 마지막으로 지역 간 미접종 사유 편차에 대해서는, 각 지자체마다 접종 독려 노력에 따라 보호자의 인식도 차이가 크고, 의료기관의 접근성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작년 ’03년생의 절반 이상이 방학 기간에 접종했는데, 이는 만 12세에 접종하는 대상자의 특성상 학기 중에는 의료기관 방문이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며,

   - 본 조사 결과에서도 시간이 없어 접종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17.8%로 부작용 우려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장(공인식)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의 장애요인으로 파악된 여성청소년 보호자들의 불신과 불편을 해소해, 목표접종률 70%를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 “교육당국의 협조를 통한 안내, 우편물·SMS 등을 통한 개별 안내를 방학과 연휴 기간 전에 집중적으로 실시하면서, 보호자들이 궁금해하는  백신의 효과성,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또한, “보호자들이 주요 개선점으로 꼽은 투명한 정보 공개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제공을 위해, 현재까지의 이상반응 의심 신고 현황과 이에 대한 전문가의 검토 결과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 “교육당국과의 긴밀한 협력과 보호자에 대한 접종 독려로 접종률을 끌어올린 지자체의 사례를 공유하고, 이러한 노력을 유도하기 위한 평가 방안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7-08-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99 당신의 소중한 재산을 노리는 유사수신 사기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2.02.03
2898 브로커 조직이 유인하는 실손의료보험사기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2.01.26
2897 “설 명절 택배, 상품권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2.01.19
2896 요오드 함유 소금 사용된 하나마루키 된장국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1.11.30
2895 누수로 인한 화상 위험 있는 Joy Mangano 스팀다리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1.06.24
2894 수산화칼륨이 과다 함유된 Ecover 세탁세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1.03.17
2893 유명 선글라스 브랜드 ‘레이밴’ 사칭 사이트 거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0.06.29
2892 국민청원 검사, 시중 모든 '인공눈물' 무균시험 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0.06.29
2891 엔젤케어베이비(Angelcare Baby) 유아용 목욕의자, 익사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0.05.21
2890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개인투자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0.04.07
2889 RED5 전동 거미 완구, 화재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11.04
2888 유명 피트니스플랫폼 피해신고 급증…소비자 이용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11.04
2887 식약처, 저출력심장충격기 및 모유착유기 안전관리 실태점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10.31
2886 안전사고 예방으로 즐거운 가을 축제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10.10
2885 일본뇌염 첫 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09.02
2884 Amigazone 스퀴시 완구, 유해물질 함유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03.12
2883 Intenze 문신잉크(Bright Red),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8.06.21
2882 Perlier 바디크림(Body Honey Miel - Fluid Cream Moisturizing),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8.03.21
2881 질식 위험 초래하는 School Bus Busy Board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4.10
2880 지지 기능이 미흡해 낙상 위험 있는 Sunveno 아기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4.10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