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여름철 단맛 음료 과잉 섭취, 청소년 건강 적신호!
- 복지부·건강증진개발원, 여름철 건강한 음료섭취 방법 제안 -


“불가마보다 뜨거워요” 최근 방학을 맞이한 중학교 1학년 이대환 군(가명)의 손에는 아이스크림이 들려있다. 옆에 선 김 군은 달짝지근한 탄산음료를 벌컥 들이키고 있다. 뜨거운 태양볕 아래 저마다 한 손에 빙과류, 달달한 탄산음료를 쥔 요즘 학생들의 모습은 우려할 만한 수준이다.

 


□ 보건복지부(박능후 장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정기혜 원장)은 청소년의 당 과잉 섭취의 주요 원인이 되는 단맛 음료*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고, 여름철 건강한 음료섭취 방법을 제안하였다.
   * 물에 녹아 단맛을 내는 단당류 및 이당류 등을 첨가한 음료(콜라, 이온음료, 농축 과일주스 등)


□ 우리나라 청소년(12~18세)의 일평균 당 섭취량(80g)은 다른 연령에 비해 높고, 이 중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57.5g)은 세계 보건기구(WHO)의 당 섭취량 기준(약 50g)을 넘는 수준이다. 

 

[1인 1일 평균 가공식품으로부터의 당류 섭취량]

* 출처 : 식약처/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년 우리국민 당류 섭취량 평가사업
 ○ 당 섭취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가공식품 중에서도 음료류를 통한 당 섭취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12∼18세에서 음료류를 통한 당 섭취량이 14.3g으로 가장 높고, 6∼11세는 7.5g으로 나타남
   * 출처 : 식약처/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년 우리국민 당류 섭취량 평가사업
   - 청소년의 단맛음료 주당 평균 섭취 횟수는 2.8회, 탄산음료는 2.1회이고, 그 섭취량도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 출처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2016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음료류 중 주요 당 급원 식품]
식약처/한국보건산업진흥원. 우리국민 당류 섭취량 평가사업. 2014.
[청소년 주 3회 이상 탄산음료 섭취율 추이]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2016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 당 과잉 섭취는 청소년에게서 비만 및 만성질환 유병율을 높여, 음료를 통한 당 섭취 제한이 시급한 상황이다.


  ※ (청소년 비만‧과체중율) ‘11년 12.2% → ’15년 15.4%, → ‘16년 17.3%
     * 출처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2016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 실제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한 당이 하루 권장 열량의 10%를 초과할 경우 비만, 당뇨병, 고혈압 유병율이 39.0%, 41.0%, 66.0%로 각 각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출처 : 식약처/한국보건산업진흥원. 우리국민 당류 섭취량 평가사업. 2014.

 ○ 또한, 다른 식품에 비해 특히 음료를 통한 당 섭취가 많을수록 체중증가, 심혈관질환 등 대사이상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강재헌‧허양임. 식품에 따른 총 당류 섭취와 아동‧청소년의 비만 및 대사 이상 위험과의 관련성. nutrients. 2016.

   - 특히 탄산음료를 주4회 이상 섭취(하루 0.5잔 이상) 하는 경우 거의 섭취하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74% 높고, 또 다른 메타분석 연구에서도 가당음료 수준이 높은 그룹의 경우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상대위험도가 2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Malik VS, Popkin BM, Bray GA, Després JP, Hu FB. Sugarsweetened beverages, obesity,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Circulation 121: 1356-1364 (2010)
 
 □ 인제의대 서울백병원 강재헌 교수는 "청소년의 가당음료 섭취 습관이 비만과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여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며 단맛 음료 섭취를 줄이려는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7-08-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949 과도한 납 함유한 Yuming 네일 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4.01.04
948 과도한 납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유된 미니 로봇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4.02.16
947 과도한 납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유된 EMS 힙 트레이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2.16
946 과도한 납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유된 Duo Xin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4.02.16
945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파라다이스 펀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2.16
944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트로피칼 망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2.16
943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오션 블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2.16
942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스트로베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4.02.16
941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서던 피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2.16
940 과기정통부, 연말연시 대비‘랜섬웨어 주의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0.12.23
939 과기정통부, 금품요구악성프로그램(랜섬웨어) 침해사고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2.02.09
938 공짜로 유인하는 사기 할부거래 기승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7.12.04
937 공정위 조사공문 사칭한 해킹메일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20.01.08
936 공정위 사칭한 해킹메일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17.08.22
935 공유숙박 플랫폼 계약 취소시, 위약금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8.02.01
934 공동주택 전기차 화재 시 안전한 대응요령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12.08
933 공기청정기 구입요령 및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8.05
932 공기 역류방지 밸브가 없어 익사의 위험 있는 튜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5 2020.04.13
931 공기 손실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Uniroyal 타이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3.03.13
930 공공아이핀 아이디(ID) 이용한 무차별 접속 시도 피해주의 요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18.01.11
Board Pagination Prev 1 ...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