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대학이 수험생으로부터 받은 대입 전형료를 학교 광고비나 설명회 개최비 등으로 지출하는 부적절한 관행이 개선될 전망이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학입시 전형료 회계관리 투명성 제고방안’을 마련해 교육부에 권고했다고 25일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3일에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금년도 대학 입시부터 전형료를 인하할 것을 강조한 바 있다.
 
□ 대입 지원자의 수학 능력을 평가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인 대입 전형료는 각 대학이 결정해 징수한다. 대학은 수시․정시 모집별* 시험 시행 후 ‘대학알리미’를 통해 결산내역을 공시하고 있다.
* 수험생 1인 응시기회 : 수시(9.11~12.15) 6회, 정시모집(12.31~2.17) 3회
 
국민권익위는 대입 전형료가 지나치게 높다는 민원*이 국민신문고를 통해 지속적으로 제기되자 지난 4월부터 실태조사에 나서게 되었다.
* 국민신문고 민원(2015~2016) : 총 103건(‘15년 60건, ‘16년 43건)
 
□ 조사 결과 각 대학은 명확한 산정 근거도 없이 높은 전형료를 책정하거나 대입전형관리위원회에서 전형료 심의 시 외부인사 참여 없이 내부 위원만으로 결정해 공정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각 대학은 결산 시 전형료의 수입・지출 현황만 공개하고 예산편성 기준과 세부 예산서는 공개하지 않아 불신을 초래하고 있었다.
 
<국민권익위 실태조사>
▪공무원 5급 공채, 기술사 시험 등은 전형료가 1~2만원 이내인 반면 대입 수시 5~8만원, 정시 4~6만원 수준으로, 수시 6번 및 정시 3번을 모두 지원한 학생은 100여만원 지출
 
- 공무원 공채시험(5천~1만원), 기술사(2만원 내외), 3군 사관생도 선발(5천원)
 
대학 간에 전형 관련 수당이나 식비 등 항목별 기준이 제각각으로 운영되는 등 부적절한 집행 사례도 있었다.
 
<국민권익위 실태조사>
▪일부 대학은 1일 출제수당이 80~100만원에 이르고, 모집규모・경쟁률이 유사한 대학들이 시험기간 중 교직원 식비로 지출한 금액의 차이가 3~4배에 달함
 
국민권익위는 또한 전형료 수입금 중 공공요금은 15%, 홍보비는 40%를 초과 집행할 수 없도록 정해둔 규정이 오히려 필요 이상의 집행을 부추기는 요인이 된다고 보았다.
 
<국민권익위 실태조사>
▪(공공요금) 수험생 학교 방문일은 1~2일 이내로 공공요금 추정액은 약 2천만원 정도(우편 5백만원, 전기통신 15백만원)이나 수도권 ■■대학은 6억7천만원 지출
 
▪(홍보비) 수도권의 ▤▤대학은 홍보비로 8천7백만원, □□대학은 10억2천5백만원을 지출하는 등 대학 간 편차 심각(대부분 학교 이미지 광고, 설명회 참석 경비로 지출)
 
□ 이에 국민권익위는 전형 유형별 표준원가계산 실시, 전형료 예산편성 기준 및 예산서 공개, 전형관리위원회에 외부위원 참여 및 운영 내실화, 인건비성 수당‧공공요금‧홍보성 경비 등의 집행 기준 명확화 등의 개선안을 마련해 금년 수시모집부터 전형료를 실제 필요한 최소 경비 위주로 개선하도록 권고했다.
 
□ 국민권익위 관계자는 “이번 제도개선을 통해 대학입시 전형료가 인하되면 수시・정시에 응시하는 한해 60만 명 이상 수험생의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며 “앞으로 공공부문의 비정상적인 업무 행태나 예산 낭비요인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 국민권익위원회 2017-07-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70 2019년 11월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1 49
5869 국민의 소리에 담긴 생활 속 불편, 얼마나 개선되었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2 21
5868 보이스피싱 피해금 인출에 단순 가담한 외국인도 처벌 받을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2 16
5867 앞으로 부실한 장기요양기관 개설 어려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2 18
5866 달걀 껍데기 안전정보,‘내손안(安)’앱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2 16
5865 LED등기구, 광효율, 플리커(빛의 깜박임) 등 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2 24
5864 유튜브로 만나는 신나는 자전거길, 자전거 안전정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2 14
5863 지자체가 지급하는 보훈수당 전입자에게 안내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3 19
5862 자동차등을 범죄도구로 사용하면 ‘착한운전 마일리지’ 이용 못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3 39
5861 국내 액상형 전자담배 내 유해 의심성분 분석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3 14
5860 국내 액상형 전자담배 내 유해 의심성분 분석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3 14
5859 디부틸프탈레이트 기준 초과 수입 머그컵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3 50
5858 2018년 기준 신혼부부통계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3 19
5857 동남아 패키지여행 소비자 만족도, ‘여행일정·숙소·이동수단’ 높고, ‘선택관광·쇼핑·식사’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3 14
5856 한국의 사회동향 2019 보도자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3 25
Board Pagination Prev 1 ...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