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6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령자 낙상사고 주로 '침대'에서 발생
- 골절, 뇌출혈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져 -

고령자 낙상사고는 골절, 뇌출혈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재활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대부분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올바른 정보 제공을 통한 사전 예방이 더욱 중요하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과 위해정보제출기관*인 가천대 길병원(병원장 이근)은 고령자 낙상사고 위해사례를 분석하여 소비자안전주의보를 공동으로 발령했다.

* 위해정보제출기관 : 「소비자기본법」 제52조 및 동법 시행령 제39조에 따라 위해정보 제출이 의무화된 기관(병원 62개·소방서 18개)

CISS(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검색조건


□ 위해다발 품목 1위는 ‘침대’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3년 간(2013~2015)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65세 이상 고령자 낙상사고 위해사례 총 1,250건을 분석한 결과, 2013년 294건, 2014년 402건, 2015년 554건으로 매년 35%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 품목으로는 ‘침실가구’가 587건(47.0%)으로 나타났고, 특히 ‘침대(581건, 99.0%)’에서 떨어진 경우가 많았다. ‘의료용구(100건, 8.0%)’가 원인이 되는 경우에도 ‘의료용 침대’에서 떨어진 사고가 60건(60.0%)에 달했다.

□ 고령자 중상해 사고비율, 전체 연령대 대비 3.5배 높아

치료기간이 확인되는 376건을 분석한 결과, ‘1개월 이상의 치료기간이 소요된 중상해 사고’는 49건(13.0%)으로 전체 중상해 사고비율(3.7%)보다 약 3.5배 높았으며, 사망 사고는 2건(0.5%)으로 전체 사망 사고 발생비율(0.05%)의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낙상사고 시 ‘골절’, ‘뇌출혈’ 많이 발생

한편, 가천대 길병원에 따르면 고령자 낙상 시 ‘골절(179건, 50.3%)’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골다공증에 의한 정상적인 골조직 감소, 골절에 대한 저항력 감소 등이 주 원인이다.

또한, ‘뇌진탕·뇌출혈(71건, 19.9%)’ 발생비율도 높았는데, 머리 손상 시 사망률이 다른 연령군보다 4배 정도 높아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낙상사고를 당한 고령자는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고령자 본인 및 보호자, 의료기관 종사자 등은 안전사고 예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소비자원과 가천대 길병원은 고령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특히 침대 사용 시 추락으로 인한 낙상사고에 주의하고 ▲가급적 낮은 높이의 침대를 사용하며 ▲ 안전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고령자 안전에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6-12-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53 절대로 신분증.신용카드 사진을 보내지 마세요.-질병관리청 사칭, 지원금 지급한다며 신분증.신용카드 사진 요구한 사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2.21
2552 갑작스러운 추위에 한랭질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2.02.16
2551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1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2.02.14
2550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1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2.02.14
2549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10)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2.02.14
2548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9)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2.02.14
2547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8)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2.02.14
2546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7)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2.02.14
2545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6)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2.02.14
2544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2.14
2543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2.02.14
2542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22.02.14
2541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2.02.11
2540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2.11
2539 어린이제품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Tender leaf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2.02.11
2538 기준치 초과 PAH가 검출될 가능성이 있는 STIHL 장갑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2.02.11
2537 이물질 혼입 가능성으로 질식 위험이 있는 Kuhne 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2.11
2536 벤젠이 검출된 Odor-Eaters 발냄세 제거제(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2.02.11
2535 벤젠이 검출된 Odor-Eaters 발냄세 제거제(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2.02.11
2534 감전 위험 있는 영선전자 X10F 안마의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2.02.11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