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6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령자 낙상사고 주로 '침대'에서 발생
- 골절, 뇌출혈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져 -

고령자 낙상사고는 골절, 뇌출혈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재활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대부분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올바른 정보 제공을 통한 사전 예방이 더욱 중요하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과 위해정보제출기관*인 가천대 길병원(병원장 이근)은 고령자 낙상사고 위해사례를 분석하여 소비자안전주의보를 공동으로 발령했다.

* 위해정보제출기관 : 「소비자기본법」 제52조 및 동법 시행령 제39조에 따라 위해정보 제출이 의무화된 기관(병원 62개·소방서 18개)

CISS(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검색조건


□ 위해다발 품목 1위는 ‘침대’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3년 간(2013~2015)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65세 이상 고령자 낙상사고 위해사례 총 1,250건을 분석한 결과, 2013년 294건, 2014년 402건, 2015년 554건으로 매년 35%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 품목으로는 ‘침실가구’가 587건(47.0%)으로 나타났고, 특히 ‘침대(581건, 99.0%)’에서 떨어진 경우가 많았다. ‘의료용구(100건, 8.0%)’가 원인이 되는 경우에도 ‘의료용 침대’에서 떨어진 사고가 60건(60.0%)에 달했다.

□ 고령자 중상해 사고비율, 전체 연령대 대비 3.5배 높아

치료기간이 확인되는 376건을 분석한 결과, ‘1개월 이상의 치료기간이 소요된 중상해 사고’는 49건(13.0%)으로 전체 중상해 사고비율(3.7%)보다 약 3.5배 높았으며, 사망 사고는 2건(0.5%)으로 전체 사망 사고 발생비율(0.05%)의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낙상사고 시 ‘골절’, ‘뇌출혈’ 많이 발생

한편, 가천대 길병원에 따르면 고령자 낙상 시 ‘골절(179건, 50.3%)’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골다공증에 의한 정상적인 골조직 감소, 골절에 대한 저항력 감소 등이 주 원인이다.

또한, ‘뇌진탕·뇌출혈(71건, 19.9%)’ 발생비율도 높았는데, 머리 손상 시 사망률이 다른 연령군보다 4배 정도 높아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낙상사고를 당한 고령자는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고령자 본인 및 보호자, 의료기관 종사자 등은 안전사고 예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소비자원과 가천대 길병원은 고령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특히 침대 사용 시 추락으로 인한 낙상사고에 주의하고 ▲가급적 낮은 높이의 침대를 사용하며 ▲ 안전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고령자 안전에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6-12-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93 리본에 목졸림 위험 있는 유아용 텐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4.02.20
4092 폼알데하이드 검출된 FRIGG 노리개젖꼭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2.20
4091 일부 제품에 재봉 바늘 혼입된 유아용 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2.20
4090 카드뮴 최대 허용 기준을 초과하는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2.20
4089 고수익으로 유혹하는 금융회사 사칭 불법 금융투자업자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2.19
4088 탈락한 부품 삼킴으로 질식 위험 있는 터널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2.16
4087 감전 위험 초래할 수 있는 Tomas 해충 포충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2.16
4086 과도한 납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유된 Duo Xin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2.16
4085 과도한 납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유된 미니 로봇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2.16
4084 과도한 납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유된 EMS 힙 트레이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2.16
4083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스트로베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4.02.16
4082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서던 피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2.16
4081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파라다이스 펀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2.16
4080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오션 블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2.16
4079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트로피칼 망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2.16
4078 26일부터 2차 청년월세 특별지원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2.16
4077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호박씨오일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2.15
4076 의약품 성분 함유된 The Grind 운동 보조제(아이스 블루 라즈베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2.15
4075 의약품 성분 함유된 The Grind 운동 보조제(아이스 체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2.15
4074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Frisia 캔디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2.15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