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6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령자 낙상사고 주로 '침대'에서 발생
- 골절, 뇌출혈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져 -

고령자 낙상사고는 골절, 뇌출혈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재활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대부분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올바른 정보 제공을 통한 사전 예방이 더욱 중요하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과 위해정보제출기관*인 가천대 길병원(병원장 이근)은 고령자 낙상사고 위해사례를 분석하여 소비자안전주의보를 공동으로 발령했다.

* 위해정보제출기관 : 「소비자기본법」 제52조 및 동법 시행령 제39조에 따라 위해정보 제출이 의무화된 기관(병원 62개·소방서 18개)

CISS(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검색조건


□ 위해다발 품목 1위는 ‘침대’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3년 간(2013~2015)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65세 이상 고령자 낙상사고 위해사례 총 1,250건을 분석한 결과, 2013년 294건, 2014년 402건, 2015년 554건으로 매년 35%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 품목으로는 ‘침실가구’가 587건(47.0%)으로 나타났고, 특히 ‘침대(581건, 99.0%)’에서 떨어진 경우가 많았다. ‘의료용구(100건, 8.0%)’가 원인이 되는 경우에도 ‘의료용 침대’에서 떨어진 사고가 60건(60.0%)에 달했다.

□ 고령자 중상해 사고비율, 전체 연령대 대비 3.5배 높아

치료기간이 확인되는 376건을 분석한 결과, ‘1개월 이상의 치료기간이 소요된 중상해 사고’는 49건(13.0%)으로 전체 중상해 사고비율(3.7%)보다 약 3.5배 높았으며, 사망 사고는 2건(0.5%)으로 전체 사망 사고 발생비율(0.05%)의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낙상사고 시 ‘골절’, ‘뇌출혈’ 많이 발생

한편, 가천대 길병원에 따르면 고령자 낙상 시 ‘골절(179건, 50.3%)’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골다공증에 의한 정상적인 골조직 감소, 골절에 대한 저항력 감소 등이 주 원인이다.

또한, ‘뇌진탕·뇌출혈(71건, 19.9%)’ 발생비율도 높았는데, 머리 손상 시 사망률이 다른 연령군보다 4배 정도 높아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낙상사고를 당한 고령자는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고령자 본인 및 보호자, 의료기관 종사자 등은 안전사고 예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소비자원과 가천대 길병원은 고령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특히 침대 사용 시 추락으로 인한 낙상사고에 주의하고 ▲가급적 낮은 높이의 침대를 사용하며 ▲ 안전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고령자 안전에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6-12-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0 ‘무늬만’ 신규사업, 불공정거래 집중조사 및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1.18
339 방통위, 갤럭시 S24 이용자 사기 피해 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1.18
338 어그(UGG) 부츠 판매하는 사기의심 해외쇼핑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4.01.22
337 유명 패션브랜드 모방한 사칭사이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4.01.22
336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1.22
335 미신고(불법) 거래소를 통한 투자권유, 투자금만 받고 출금은 거부하는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4.01.22
334 웁스(WHOOPS)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4.01.23
333 롯데ON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1.24
332 녹말 이쑤시개는 식품이 아닙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1.24
331 매년 증가하는 스키·스노보드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4.01.24
330 ‘온라인에서 성행하는 유령 유사수신 업체’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1.25
329 고무볼 혼입 가능성이 있는 Branston 콩 통조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4.01.25
328 화재 위험 있는 MASPRO 보안 카메라 및 모니터 세트(WHC7M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4.01.25
327 화재 위험 있는 MASPRO 보안 카메라 및 모니터 세트(WHC10M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4.01.25
326 불법 채권추심 관련 3차 금융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1.30
325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1.31
324 설 선물 구매할 때 허위.과대.부당 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4.01.31
323 의약외품 액상소화제 용법·용량에 맞춰 복용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4.01.31
322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4.02.01
321 B형 인플루엔자 유행 증가세, 지금이라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4.02.01
Board Pagination Prev 1 ...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