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온라인상에서 효과가 없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이른바 ‘짝퉁’ 화장품 유통이 확산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에 따르면, 최근 3년간(’22.1.~’25.8.) 1372소비자상담센터* 및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접수된 온라인 가품 화장품 관련 상담은 총 447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한국소비자원, 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

구입경로는 ‘온라인 쇼핑 플랫폼’이 70.7%(316건)로 가장 많았고, ‘개인 쇼핑몰’ 18.3%(82건), ‘중고거래 플랫폼’ 8.7%(39건) 등의 순이었다.

☐  가품 화장품 상담, 향수가 51.5%로 가장 많아

품목별 상담 건수는 ‘향수’가 51.5%(230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초 화장품’ 26.0%(116건), ‘색조 화장품’ 11.9%(53건), ‘세정용 화장품’ 4.4%(20건) 등의 순이었다. 이중 ‘기초 화장품’ 및 ‘색조 화장품’은 최근 3년간 상담 건수가 계속 증가했다.
가품으로 의심한 이유는 ‘정품과의 향 또는 질감 차이’, ‘용기(분사구) 및 프린팅 차이’, ‘제품 일련번호 및 유효기간 미표시’, ‘화장품 사용 시 피부 이상 반응 발생’ 등이었다.

  가품 의심되는 저품질, 판매자 무응답 등 불만 사례 다양

가품 화장품 관련 상담 사유는 ‘품질’ 불만이 58.6%(262건)로 가장 많았는데 주로 정품이 아닌 것으로 의심되는 낮은 품질과 판매자의 정품 입증자료 미제공 등이었다.
다음으로는 가품 의심에 따른 문의 시 ‘판매자 무응답 및 사이트 폐쇄’ 등이 13.2%(59건)로 많았으며, 환급 요청 시 과도한 수수료(배송비)를 부과하거나 환급 처리를 지연하는 경우가 10.5%(47건)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소비자에게 가품 입증 책임을 전가한 사례, 가품일 경우 300% 보상을 약속했으나 환급 시 보상을 거부한 사례, 제품의 개봉·사용을 이유로 환급을 거부한 사례도 확인됐다. 

☐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 등 신뢰할만한 판매처에서 구입해야

한국소비자원은 가품 화장품 피해 예방을 위해 ▲ 화장품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 및 인증된 판매처를 통한 구입할 것, ▲ 화장품 구입 즉시 제품 이상을 확인할 것, ▲ 정품 보증서 및 라벨 확인할 것, ▲ 영수증, 구매내역 등 증빙자료를 보관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5-10-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283 과도한 화학물질이 검출된 헤드폰 판매차단 안내 new 소비생활센터운영자 0 2025.10.14
5282 농약 성분이 검출된 Kirkland Signature 고춧가루 판매차단 안내 new 소비생활센터운영자 0 2025.10.14
5281 질식 위험이 있는 베이비 라운저 판매차단 안내 new 소비생활센터운영자 0 2025.10.14
5280 과도한 카드뮴이 검출된 반지 판매차단 안내 new 소비생활센터운영자 0 2025.10.14
5279 과도한 납이 검출된 헤드랜턴 판매차단 안내 new 소비생활센터운영자 0 2025.10.14
5278 과도한 화학물질이 검출된 무선 노래방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0.13
5277 충전기 불량한 전기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0.13
5276 필수 경고문구 부재로 리콜된 DESIGNME 드라이 샴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5.10.13
5275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DermaRite 손 세정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0.13
5274 제품 성능 미달로 리콜된 Grace & Fire Pty Ltd 자외선 차단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0.13
»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화장품 구입 시 가품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5.10.10
5272 임부에 대한 최신 의약품 안전정보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5.10.10
5271 의료기기, 정식 허가받은 제품만 구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25.10.01
5270 식중독균 검출 수입 ‘냉동틸라피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4 2025.10.01
5269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장애와 관련한 금융회사 사칭 스미싱을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25.10.01
5268 교통사고 환자 유치를 통한 병,의원의 자동차 보험사기! 브로커의 은밀한 제안에는 단호하게 거절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25.10.01
5267 화장품 사용 시 주의사항 확인으로 안전하게 사용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7 2025.09.29
5266 정부, 추석 명절 연휴기간 스미싱 등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예방,대응 수칙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2 2025.09.29
5265 “역대급 추석 연휴, 민원 발생도 역대급?” 숙박업소 관련 ‘민원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4 2025.09.25
5264 아세트아미노펜, 임신부는 의약전문가와 상의하고 복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3 2025.09.2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5 Next
/ 26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