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행정안전부는 2025년 고향사랑기부 상반기 모금 결과, 모금액과 모금 건수가 지난 2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각각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 2025년 상반기 고향사랑기부 총 모금액은 약 348억 8천만 원, 총 모금 건수는 약 27만 9천 건이다.

    ※ 온라인(약 297억 원, 약 25만 7천 건) / 오프라인(약 51억 8천만 원, 약 2만 2천 건)

 ○ 올해로 시행 3년 차를 맞이하는 고향사랑기부제는 지난 두 해 동안의 모금 실적을 모두 앞질러, 같은 기간 2023년 대비 약 1.5배, 2024년 대비 약 1.7배 수준의 모금액을 달성했다.

    ※ ’23년 모금액(약 233억 1천만 원) 대비 1.5배, 모금건수(약 15만 5천 건) 대비 1.8배
        ’24년 모금액(약 199억 8천만 원) 대비 1.7배, 모금건수(약 14만 8천 건) 대비 1.9배

 ○ 2025년 상반기까지 모금된 금액은 지난해 11월 초까지 누적 모금액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통상적으로 연말에 기부가 집중되는 점을 고려할 때 예년 모금액을 크게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 올해 고향사랑기부 상반기 모금 실적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월별로는 3월(약 98.2억 원, 약 8만 6천 건), 4월(약 85.9억 원, 약 6만 4천 건)에 전체 모금의 50% 이상이 집중됐다. 이는 지난 3월경 발생한 산불 피해 극복을 위한 대국민 기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3~4월 특별재난지역 8곳 모금액(82억 원)은 해당 기간 총 모금액(184억 원)의 약 44.6% 

 ○ 금액별로는 전액 세액공제 한도인 10만 원에 기부한 건수(23만 4천 건)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83.9%)이 가장 높았고, 500만 원 이상 기부 건수(775건*)는 약 0.3%를 차지했다.

    * 상반기 500만 원 이상 모금 건수는 ’23년1,371건 → ’24년730건 → ’25년775건

 ○ 한편, 올해부터 기부 한도가 5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상향되었다. 이에, 500만 원 초과 2,000만 원 미만 기부는 144건이었으며, 2,000만 원 기부는 총 39건으로 제도 개선 이후 고액 기부자의 수요가 기부에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 모금실적 증가와 함께 지방자치단체 답례품 판매액(약 91억 8천만 원) 역시 전년 대비 약 173%에 해당하는 수준을 달성해, 고향사랑기부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지속적으로 보탬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 지역사랑상품권을 제외한 답례품 중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제주 명품 은갈치 선물세트(2,119건)’가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고, 경상북도 청송군의 ‘청송 하늘아래 꿀사과(1,801건)’가 뒤를 이었다.
 
 ○ 특히, 영남 지역 산불피해 지방자치단체의 답례품 3건(청송 하늘아래 꿀사과, 의성진쌀, 안동참마돼지 무항생제 삼겹살)이 판매량 10위 내에 진입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재난피해 극복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고향사랑기부가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향사랑기부금법」 개정(2024.2.20.)으로 지난해 6월 4일에 공식 시행된 지정기부의 누적 모금액은 시행 1년여 동안 약 123억 원을 달성하며, 제도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2025년 상반기 동안 123개 사업 모금을 진행, 이 중 22개 사업은 모금 완료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은 ‘고창 청소년 앞날창창 프로그램’ 지정기부 사업 모금을 진행해, 모금액(총 6천만 원)을 장학재단에 전달하고 사회적 배려대상 청소년의 해외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데에 활용했다.

 ○ 경상남도 산청군은 ‘산청 청소년 관악합주단 후원’ 사업으로 산청군 청소년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음악을 배울 수 있도록 악보, 연습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정기 공연을 열어 지역주민과 음악으로 소통하는 기회도 마련해 지역사회와 함께 청소년의 꿈이 커가고 있다.

 ○ 이외에도 ‘공동생활가정 꿈꾸는 공부방 만들기(전라남도 목포시)’, ‘발달장애인들의 별스러운 합주, 세상 속으로(세종특별자치시)’ 등 사회적 취약계층의 지원, 지역주민의 문화·예술·보건 증진 등의 분야에서 모금이 진행되어 기부를 통한 지역문제 해결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행정안전부는 하반기에도 제도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기부절차·플랫폼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개선을 지속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기존에는 농협은행 창구(오프라인)에서 기부금 접수 후 ‘고향사랑e음 누리집(온라인)’에 접속해 답례품 신청을 해야 했지만, 하반기부터는 온라인 신청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위해 오프라인에서도 간단한 신청서를 작성하면 지역 대표 답례품을 배송받을 수 있다.


○ 또한 ‘고향사랑e음 누리집(ilovegohyang.go.kr)’을 통해 기부 확인증 발급이 가능해져 기부 내역 인증을 통해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 특히, 올해 상반기에 추가 개통한 농협은행(3월), 웰로(6월)를 포함, 운영 중인 8개 민간플랫폼 외에도 고향사랑기부 서비스 민간개방을 지속 추진해 고향사랑기부 접점을 확대할 방침이다.


□  김민재 차관은 “고향사랑기부제를 향해 보내주시는 지속적인 관심에 감사드린다”며, “고향사랑기부가 기부자와 지역을 잇는 통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기부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꾸준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25-07-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197 여름방학 맞이 ‘생생 여름학교’ 선보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6 1
» 고향사랑기부로 불어넣은 지역활력, 2025년 상반기 모금결과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6 1
15195 '25.6월 고용동향 및 평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6 1
15194 2025년 상반기 51차종 8만여 대 배출가스 결함시정(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5 1
15193 점주도 안심! 청년도 간편! 모바일 신분증으로 당신을 인증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5 1
15192 6월 OTT 계정공유 서비스 중단·연락두절로 인한 소비자상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5 2
15191 지역사회건강조사, 선택의 폭 넓어진다 비대면 방식 시범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5 1
15190 여름철 건강한 몸매, 마약류 식욕억제제에 의존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5 1
15189 저렴하고 맛좋은 한우로 시원한 여름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5 1
15188 ’25.7.22일부터 반사회적 대부계약 무효화 등 불법사금융을 근절하고 소비자를 두텁게 보호하기 위한 제도개선 사항이 시행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5 1
15187 버튼형·코인형전지 살 때 어린이보호포장을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5 1
15186 “아동학대 범죄 전력자, 학교 취업 못하게”… 교육감에게도 조회 권한 부여 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5 1
15185 시기별로 먼저 알려주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보, '국민비서' 클릭으로 받아보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4 1
15184 여름 휴가철, 국산 농축산물 최대 40% 할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4 2
15183 공공기관 보유 시설, 네이버지도·카카오톡에서 예약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14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14 Next
/ 101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